$\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둔상성 중증 외상환자에서 내원 초기에 시행한 동맥혈 염기결핍과 예후의 관계
The Usefulness of the Admission Base Deficit as a Marker of Mortality in Severely Injured Patients with Blunt Trauma 원문보기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JTI, v.26 no.1, 2013년, pp.1 - 5  

유병철 (가천대학교 길병원 외상외과) ,  정민 (가천대학교 길병원 외상외과) ,  이길재 (가천대학교 길병원 외상외과) ,  이정남 (가천대학교 길병원 외상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base deficit (BD) at admission in severely injured patients has been shown to predict the adequacy of resuscitation and outcome, but this relationship is not well established in the Korean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association between arterial blood gas (A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염기 결핍과 사망률의 연관성을 분석한 국내의 연구는 몇 편이 있으나,(9,10) 중증 둔상성 외상 환자만을 대상으로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를 제외한 중증 둔상성 외상환자만을 대상으로 동맥혈 가스분석의 염기 결핍 정도와 사망률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맥혈 가스 분석이란 무엇인가? 동맥혈 가스 분석(ABGA)은 신속하게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 환자의 전반적인 환기, 관류 상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검사이다. 여러 연구들에서 동맥혈 가스분석결과는 응급실에서 즉각적인 처치를 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동맥혈 가스분석의 염기결핍(base deficit)과 젖산(lactate)의 수치는 쇼크 환자의 중증도 및 소생술의 적절성을 반영하는 지표가 될 뿐만 아니라 환자들의 사망률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왔다.
동맥혈의 염기결핍 정도는 무엇과 연관성이 있는가? 여러 연구들에서 동맥혈 가스분석결과는 응급실에서 즉각적인 처치를 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동맥혈 가스분석의 염기결핍(base deficit)과 젖산(lactate)의 수치는 쇼크 환자의 중증도 및 소생술의 적절성을 반영하는 지표가 될 뿐만 아니라 환자들의 사망률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왔다.(1-5) 또한, 외국의 외상 센터에서 보고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동맥혈의 염기결핍 정도는 손상정도계수(Injury Severity Score, ISS), 수혈요구량, 합병증의 발생 여부, 다발성 장기 기능 부전증의 발생 여부 및 사망률과 연관성이 있다고 한다.(1,4,6-8)
3,000명 이상의 외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염기결핍이 25 이상인 경우 총상이나 둔상에서는 70%에서 80%의 사망률을 보였지만, 자상에서는 사망률이 20%에 불과한 것이 시사하는 바는? 이 후 Tremblay(8) 등이 3,000명 이상의 외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염기결핍이 25 이상인 경우 총상이나 둔상에서는 70%에서 80%의 사망률을 보였지만, 자상에서는 사망률이 20%에 불과하다고 하였다. 이는 손상 기전이 염기결핍과 사망률의 연관성의 정도에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동맥혈 가스분석은 손상 첫 수시간 이내에 이루어져야 저산소 손상이 길어지는 것과 소생술의 결과로 나타나는 역효과를 피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Davis J, Shackford S, Holbrook T. Base deficit as a sensitive indicator of compensated shock and tissue oxygen utilization. Surg, Gynecol & Obstet 1991;173:473. 

  2. Davis JW, Parks SN, Kaups KL, Gladen HE, O'Donnell- Nicol S. Admission base deficit predicts transfusion requirements and risk of complications. J Trauma 1996;41:769. 

  3. Rixen D, Raum M, Bouillon B, Lefering R, Neugebauer E. Base deficit development and its prognostic significance in posttrauma critical illness: an analysis by the trauma registry of the Deutsche Gesellschaft fur unfallchirurgie. Shock 2001;15:83. 

  4. Rutherford EJ, Morris Jr JA, Reed GW, Hall KS. Base deficit stratifies mortality and determines therapy. J Trauma 1992;33: 417. 

  5. Ziglar MK. Application of base deficit in resuscitation of trauma patients. Int J Trauma Nurs 2000;6:81-4. 

  6. Davis JW, Mackersie RC, Holbrook TL, Hoyt DB. Base deficit as an indicator of significant abdominal injury. Ann Emerg Med 1991;20:842. 

  7. Husain FA, Martin MJ, Mullenix PS, Steele SR, Elliott DC. Serum lactate and base deficit as predictors of mortality and morbidity. Am J Surg 2003;185:485-91. 

  8. Tremblay LN, Feliciano DV, Rozycki GS, MORRIS JA. Assessment of initial base deficit as a predictor of outcome: Mechanism of Injury does make a difference. Discussion. Am Surg 2002;68:689-94. 

  9. Lee EH, Choi JY, Choi YC, Hwang SY. The usefulness of initial arterial base deficit in trauma patients. J Korean Soc Traumatol 2006;19:67-73. 

  10. Moon JD, Kim SJ, Moon CK, Choi SH, Jun JM, Lee SW, et al. Prognostic Value of Base Deficit in Severe Trauma Patients. J Korean Soc Emerg Med 2001;12:243-50. 

  11. Kincaid EH, Miller PR, Meredith JW, Rahman N, Chang MC. Elevated arterial base deficit in trauma patients: a marker of impaired oxygen utilization. J Am Coll Surg 1998;187:384- 92. 

  12. Paydar S, Fazelzadeh A, Abbasi H, Bolandparvaz S. Base Deficit: A Better Indicator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Shock in Trauma Patients. J Trauma. 70:1580. 

  13. Ouellet JF, Roberts DJ, Tiruta C, Kirkpatrick AW, Mercado M, Trottier V, et al. Admission base deficit and lactate levels in Canadian patients with blunt trauma: Are they useful markers of mortality? J Trauma Acute Care Surg 72:1532-5. 

  1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Prevention,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Social Affairs.Injury Surveillance Report.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15. Lee KJ JK, Jang JM, Kim JY, Baek SJ, Song SY, et al. Delayed transfer of major trauma patients under the current emergency medical system in Korea. J Korean Soc Traumatol 2011;24:25-3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