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행 혁신성과 품목별 활용도가 정장 및 등산복의 가격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성별 차이
Gender Differences on the Effects of Fashion Innovativeness and Utilization on the Price Perception of Formal Wear and Climbing Wear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7 no.7, 2013년, pp.972 - 983  

정인희 (금오공과대학교 소재디자인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fashion innovativeness and utilization on the price perception of formal wear and climbing wear as well as gender differences on price perception and the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Price perception measurements were based on reference price and reserv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시장 상황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려운 신제품이나 신상품의 경우에는 소비자가 지불하고자 하는 가격대를 가늠해보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이다. Jun and Rhee(2009)는 신소재 개발 혹은 기술적으로 새로운 기법을 통한 새로운 패션 스타일이나 기술적 변화를 수반하지 않더라도 소비자의 인식 속에서 기존의 패션 상품 스타일과 차별화된 유행 경향을 표현한 것을 패션에서의 혁신이라고 정의한 바, 본 연구에서는 기술적 변화를 수반한 패션 상품과 스타일이 차별화된 패션 상품 두가지 품목을 선택하여 소비자의 가격 지각에 나타나는 품목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일반적으로 유행 혁신성이 높은 소비자일수록 더 새로운 패션 제품을 채택할 의사가 높을 것으로 예측되지만 과연 그들의 가격 지각 수준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은 흥미로울 것이다. 또한 얼마나 즐겨 사용하고 자주 사용하는지의 품목별 활용도가 가격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가장 기본적인 인구통계적 변수인 성별은 많은 소비자 행동에 차이를 유발하는 변수인 만큼 가격 지각에 있어서도 유의한 성별 차이가 기대된다.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유행 혁신성과 품목별 활용도가 해당 품목의 준거 가격과 유보 가격을 지각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결과에 있어서 성별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이 된 품목은 패션 상품 중 스타일 차별성이 반영될 수 있는 정장과 기술적 차별성이 반영될 수 있는 등산복이었다.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가격 지각 영향 요인에 있어서 성별 차이와 품목별 차이를 확인하였다. 남성들은 활용도가 높을수록 높은 준거 가격과 유보 가격을 답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여성들에게서는 활용도와 가격 지각 수준의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 , 2003). 본 연구에서는 유행 혁신성이 소비자의 가격 지각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지 그 관계를 확인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패션 상품의 품목 및 성별에 따라 소비자의 준거 가격과 유보 가격 지각에 미치는 영향 요인이 다른지 규명하기 위해 스타일과 기능성이 중요하게 고려되는 두 가지 품목인 정장과 등산복을 대상으로 하여 소비자들의 준거 가격과 유보 가격을 측정하고, 유행 혁신성 및 품목별 활용도가 각 품목의 준거 가격과 유보 가격에 미치는 영향 및 그 성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소비자 가격 지각 연구의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문제 3. 소비자의 유행 혁신성과 정장 및 등산복의 활용도가 정장과 등산복의 준거 가격과 유보 가격 및 프리미엄 가격 비율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 연구문제 5. 소비자의 유행 혁신성과 품목별 활용도가 정장과 등산복의 준거가격과 유보가격 및 프리미엄 가격 비율에 미치는 영향에 성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 연구문제 1. 유행 혁신성과 품목별 활용도에 성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 연구문제 4. 정장과 등산복의 준거 가격과 유보 가격 및 프리미엄 가격 비율에 성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 본 연구에서는 품목 선호도와 착용 빈도를 통합한 개념으로 품목 활용도를 도입하였다. 즉, 어떤 품목을 얼마나 자주 사용하고 즐겨 사용하는가의 활용도가 패션 소비자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품목별 활용도의 가격 지각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ung(2012)의 연구에 따르면 아웃도어 스포츠웨어 구매 시 소비자들이 중요하게 고려하는 속성은 어떻게 조사되었는가? 등산복의 경우 등산복으로 한정되어 수행된 연구보다는 아웃도어 웨어나 스포츠 레저 웨어에 포함되어 이루어진 연구가 많다. 아웃도어 스포츠 웨어의 한 종류로 등산복을 포함하여 연구한 Sung(2012)은 아웃도어 스포츠웨어 의복 구매 시 소비자들이 중요하게 고려하는 속성은 착용감, 품질, 사이즈, 가격의 순이며, 60.3%의 구매가 10만 원에서 29만 원 사이에서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패션 상품이라는 하나의 범주에 여러 품목들을 묶어서 이루어지는 가격 연구와 더불어 품목별 특성을 고려한 연구도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패션 상품의 가격 전략은 비용과 경쟁사의 가격 및 소비자가 지각하는 가치와 지불하고자 하는 가격 수준 등을 두루 고려하여 수립되며, 준거 가격과 유보가격은 소비자를 고려한 가격 책정을 할 때 고려해야 하는 대표적인 변수이다. 그런데 패션 상품은 정장과 같이 내구재의 성격을 띠는 것도 있고 스타킹과 같이 비내구재의 성격을 띠는 것도 있으며, 시즌별로 스타일 차이가 거의 없는 베이식 상품부터 매 시즌 새로 등장하는 트렌디 상품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가 매우 넓다. 따라서 패션 상품이라는 하나의 범주에 여러 품목들을 묶어서 이루어지는 가격 연구와 더불어 품목별 특성을 고려한 연구도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유행 혁신성이 높은 소비자는 어떻게 예측되는가? 패션 상품은 대표적인 유행 상품인 만큼 매 시즌별로 신상품이 시장에 출시되기 마련이고, 따라서 패션에 대한 소비자 평가 및 채택에 대해서는 소비자의 혁신성이 가장 중요한 변수로 고려되어 왔다 (Jun & Rhee, 2009; Kang & Jin, 2007; Noh & Park, 2011). 일반적으로 유행 혁신성이 높은 소비자일수록 더 새로운 패션 제품을 채택할 의사가 높을 것으로 예측되지만 과연 그들의 가격 지각 수준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은 흥미로울 것이다. 또한 얼마나 즐겨 사용하고 자주 사용하는지의 품목별 활용도가 가격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ung, I. H. (1998). The interaction between clothing-wearing motives and fashion phenomenon: A qualitative approac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 Chung, I. H. (2009). A study on the premium price perception for highly functional sports/leisure wear related to sports/leisure activity, well-being health consciousness, and demographic variabl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9), 1506-1518. 

  3. Chung, I. H. (2012). Consumer's multi-channel choice in relation to fashion innovativeness and fashion items.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Cases, 14(4), 27-34. 

  4. Clark, R. A., & Goldsmith, R. E. (2006). Interpersonal influence and consumer innovative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30(1), 34-43. 

  5. Im, S., Bayus, B. L., & Mason, C. H. (2003). An empirical study of innate consumer innovativenes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new-product adoption behavior.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1(1), 61-73. 

  6. Jun, D. G. (2007). (The) Effects of clothing consumers' innate innovativeness on fashion innovativeness and fashion adop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7. Jun, D. G., & Rhee, E. Y. (2009). The effects of fashion innovativeness and style-innovation attributes on fashion adop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10), 1564-1574. 

  8. Jung, H. J., & Lee, Y. R. (2011). The expected values of appearance management of 20s-30s and 40s-50s male consumers on their men's suit buying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2), 125-135. 

  9. Kang, K. Y., & Jin, H. J. (2007). Influences of consumers' fashion innovativeness and technological innovativeness on attitudes and buying intention toward smart cloth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9 (1), 35-40. 

  10. Kim, H. N. (2000). Consumer segmentation of clothing products by fashion conformity/innovativeness and their reference group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1. Kim, M. J., & Lee, S. H. (2004). A study on men's suit purchasing behavior (Part 1)-Focusing on men in their 20's- 4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2), 320-331. 

  12. Lee, E. H. (2010). A study on the suitability of outdoor wear among female trekker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9), 1470-1478. 

  13. Lee, K. H. (1995). Multidimensional effects of price on consumer's purchasing process of clothing produc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4. Lowe, B. (2006). Pricing strategy and the formation and evolution of reference price perception in new product categor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riffith University, Brisbane. 

  15. Nam, M. W. (2009). The effects of personal materialism and price-perception on store patronage of apparel shopping.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10(1), 75-86. 

  16. Nam, M. W. (2010). Price attitude of apparel products and store choice behavior according to vanity type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8(2), 23-38. 

  17. Noh, M. J., & Park, H. H. (2011). Acceptance of the smart clothing according to trend and information innov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11), 350-363. 

  18. Park, H. H., & Noh, M. J. (2012). The influence of innovativeness and price sensitivity on purchase intention of smart wea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6(2), 218-230. 

  19. Park, Y. H. (2010). A study on the selection behavior and the post-purchase satisfaction for men's sui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2(1), 46-59. 

  20. Rhee, E. Y. (1991). Fashion marketing (2nd ed.). Seoul: Kyomunsa. 

  21. Rhee, Y. J., & Lee, E. O. (2011). The qualitative study on outdoor sportswear purchase behavior-Focusing on functional fabric awareness level and benefits sought-.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5), 1088-1011. 

  22. Rhee, Y. S. (1991). Consumer's clothing involvement and external information searc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3. Shin, Y. K., & Lee, M. H. (2008). Preference and wearing frequency of knit-wears related to self-imag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6(3), 518-532. 

  24. Sung, H. W. (2012). A study on purchasing behavior of outdoor sportswear: Based on sports types and sports participation motivati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1(2), 315-329. 

  25. Yoon, N. H., & Youn, S. (2010). The effects of fashion luxury consumption values on the perceived acquisition value and the role of reservation pric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8(4), 774-78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