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 이러닝 콘텐츠 기반 학습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과 학습동기가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관계분석
Structural Analyses on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Learning Motivation on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College Learning Environments with e-Learning Cont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11, 2013년, pp.1014 - 1023  

강민석 (경희사이버대학교) ,  임걸 (건국대학교 교육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 발전은 온라인을 통한 교육 콘텐츠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이로 인해 사이버대학 등 새로운 형태의 대학이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사이버대학의 교육 콘텐츠는 오프라인 대학의 수업과 다소 상이한 모습을 지니며, 이에 따라 학습효과 제고를 위해서 여러 변인들이 새롭게 고려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 이러닝 콘텐츠 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의 구조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기조절학습과 학습동기는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조절학습과 학습동기의 경우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을 매개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의 경우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이러닝 콘텐츠 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의 구조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향후 사이버대학 이러닝 콘텐츠 기반 학습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apid development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ICT) have made people learn with online contents allowing learning at onilne universities. The environments of offering educational contents at online universities differ from those at offline-based ones, so that alternative variabl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와 관련된 변인이 교수자와 관련된 변인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성과 영향관계를 규명하는 종합적인 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습자 관련 변인인 자기조절학습과 학습동기변인이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변인과 학업성취도 변인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살펴보고,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변인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종합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전통적 교수-학습 상황이 아닌 이러닝 콘텐츠 제공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는 우리나라의 사이버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이러닝 학습활동에 초점을 두었다.
  • 한편, 이와 같은 변인들은 이러닝 콘텐츠 제공환경에서 성공적인 학습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그들간의 상호 유기적인 관계성 및 영향관계를 분석적으로 접근한 연구를 찾아보기는 매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닝 관련 변인 중 자기조절학습, 학습동기,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에 대해 고찰하고 이들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종합적인 관계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와 관련된 변인이 교수자와 관련된 변인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성과 영향관계를 규명하는 종합적인 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습자 관련 변인인 자기조절학습과 학습동기변인이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변인과 학업성취도 변인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살펴보고,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변인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종합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공학기술의 교육적 적용이 활발해지고, 대학에서의 이러닝 콘텐츠 기반 교육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속에서 학습자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규명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특히 이러닝 콘텐츠, 자기주도학습 등으로 일관되는 원격교육과 관련한 기존의 담론들, 그에 따라 자칫 간과될 수 있는 원격교육에서의 교수자의 참여와 개입에 대한 역할과 책임의 필요성을 다루고 있다는 데 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 이러닝 콘텐츠 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의 구조적인 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특히 자기조절학습, 학습동기,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학업성취도에 대한 종합적인 구조 모형을 살펴보았다.
  • 구체적으로, 학습자 관련 변인인 자기조절학습과 학습동기변인이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변인과 학업성취도 변인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살펴보고,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변인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종합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전통적 교수-학습 상황이 아닌 이러닝 콘텐츠 제공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는 우리나라의 사이버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이러닝 학습활동에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사이버대학 이러닝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학습자 관련 요인과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요인의 최적의 모형을 탐색하고 관계성을 검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수립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 자기조절학습은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 자기조절학습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 학습동기는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 학습동기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 :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이버대학 이러닝 콘텐츠 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의 구조관계를 연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 이러닝 콘텐츠 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의 구조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기조절학습과 학습동기는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조절학습과 학습동기의 경우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을 매개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의 경우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이러닝 콘텐츠 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의 구조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향후 사이버대학 이러닝 콘텐츠 기반 학습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동기 수준이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학습동기는 직접적으로 학습행동을 발생시키는 중요한 기제로서, 자기조절학습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특히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동기 수준이 요구되는 이유는 스스로 학습하지 않는 경우 교사의 물리적 지원이 실시간으로 발생되기 어려운 환경적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Jonassen과 Grabowski[14]는 학습동기가 높은 학습자들이 낮은 학습자들보다 더욱 성실히 과제를 수행하고 학습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임정훈과 이항녕[15] 또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요인으로 학습동기가 관련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자기조절학습이란? 자기조절학습은 학습자가 학습 및 과제 수행을 위해 학습과정을 계획하고 모니터링 하는 인지적 활동으로서, 행동적, 목표지향적, 자기통제적 행위가 발현된다[4][5]. 이러닝 환경은 특히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학습 기회를 제공하므로, 학습자들이 학습을 스스로 계획하고 통제하는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요구된다[6-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송상호, "e-Learning 플랫폼의 기능과 발전방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0권, 제3호, pp.151-182, 2004. 

  2. 산업통상자원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한국U러닝 연합회, 2011-2012 이러닝 백서, 2013. 

  3. http://www.cuinfo.net/home/eudc/statistics.sub.action?gnb55 

  4. L. Corno and E. B. Mandinach, "The role of cognitive engagement in learning from instruction," Educational Psycologist, Vol.18, pp.88-108, 1983. 

  5. P. R. Pintrich, Understanding self-regulated learning, San Francisco: Jossey-Bass, 1995. 

  6. 박인우, "e-러닝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역할에 대한 토론", 2004 한국교육공학회 e-러닝학술세미나 자료집, pp.47-50, 2004. 

  7. 서혜전, 웹기반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학습성과 관련 요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8. M. N. Gibbson, The self-directed learning handbook challenging adolescent student to excel, CA: Jossey Bass, 2005. 

  9. S. Wulff, J. Hanor, and R. J. Bulik, The Roles and interrelations of pres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effective world wide web-based pedagogy, In R. A. Cole(ed.). Issues in web-based pedagogy: A critical primer, Westpost, CT: Greenwood Press, 2000. 

  10. 강명희, 김세은, "온라인 프로젝트 수행을 지원 하는 자기규제학습 촉진 전략의 효과", 교육공학연구, 제18권, 제1호, pp.3-22, 2002. 

  11. 이인숙, "e-learning 환경에서의 자기조절학습전략, 자기효능감과 e-learning 학술전략 수준 및 학업성취도 관련성 규명", 교육공학연구, 제19권, 제3호, pp.41-68, 2003. 

  12. 홍기칠, 자기조절 기능의 발달수준에 따른 컴퓨터 본위 수업의 통제방략이 학습과 동기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교육학과 박사학위 논문, 1994. 

  13. Y. C. Yang, The effect of self-regulatory skills and type of instructional control on learning from CBI,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Florida State University, 1991. 

  14. D. H. Jonassen and B. L. Grabowski, Handbook of Individual deferences, learning, and instruction, Hilsdale, NJ: Lawrence Erlbaum, 1993. 

  15. 임정훈, 이항녕, "웹기반 교육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원격교육연구, 제3권, 제1호, pp.179-207, 2002. 

  16. http://www.editlib.org/index.cfm?fuseactionReader.ViewAbstract&paper_id7481 

  17. http://www.emergingonlinelearningtechnology.org/conference/proceedings/1999Summer/paper s/99summer_fredericksen2.pdf 

  18. 강민석,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교수자 상호작 용감 모형 및 측정도구 개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19. 정재삼, 임규연, "웹기반 토론에서 학습자의 참여도, 성취도 및 만족도 관련 요인의 효과 분석", 교육공학연구, 제16권, 제2호, pp.107-135, 2000. 

  20. 구교정, 성인 원격교육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21. 정혜영, 웹 기반 학습에서 학습자 요인과 참여도가 학습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22. 원효진, "e-Learning 프로그램 교수설계요인이 학습전이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8호, pp.482-489, 2013. 

  23. 이종만, "이러닝에서 사회성, 사용용이성, 유용성, 즐거움이 수용의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관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417-425, 2012. 

  24. 임진호, 초등학생의 e-러닝에서 인지된 효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 모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25. 김규동, 사이버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의 관계 분석,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6. 심선경, "온라인수업에서 학습도구와 학습성취, 학습만족간의 관계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pp.487-497, 2012. 

  27. P. R. Pintrich and E. V. De Groot, "Motivated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3. No.1, pp.33-40, 1990. 

  28. J. J. Stein, Asynchronous computer conferencing as a supplement to classroom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The impact of selected learner characteristics on user satisfaction and the amount of intera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ayne State University. 1997. 

  29. S. B. Eom, H. J. Wen, and N. Ashill, "The determinants of students' perceived learning outcomes and satisfaction in university online education : An empirical investigation," Decision Sciences Journal of Innovative Education, Vol.4, No.2, pp.215-135, 2006. 

  30. P. Sun, R. J. Tsai, G. Finger, Y. Chen, and D. Yeh, "What drives a successful e-learning?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learner satisfaction," Computers & Education, Vol.50, No.4, pp.1183-1201, 2008. 

  31. S. Hong, M. L. Mali, and M. K. Lee,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non-western s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y Measurement, Vol.63, pp.636-654, 2003. 

  32. J. C. Anderson and D. W. Gerb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Vol.103, No.3, pp.411-423, 1988. 

  33. R. P. Bagozzi and Y. Yi, "Multitrait-Multimethod Matrices in Consumer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7, No.4, pp.426-439, 1991. 

  34. A. H. Segars and V. Grover, "Strategic information systems planning success: an investigation of the construct and its measurement," MIS Quarterly, Vol.22, No.2, pp.139-163, 1998. 

  35. P. M. Bentler, EQS structural equations program manual. Los Angeles: BMDP, 1988. 

  36. R. C. MacCalum, M. W. Browne, and H. W. Sugawara, "Power analysis and determination of sample size for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Psychological Methods, Vol.1, No.2, pp.130-149,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