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유아용 교재 · 교구 활용에 대한 품질인식과 인증평가제도 적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ived Quality and Application of Authentication Evaluation System of Teaching Materials and Implements for Children and the tren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11, 2013년, pp.5601 - 5609  

강영식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  박정환 (제주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유아용 교재 교구 활용에 대한 품질인식과 인증평가 제도적용에 대한 실태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갖고, 2013년 4월 20일부터 30일까지 충남, 대전지역 어린이집에 종사하는 3년차 이상된 영유아반 지도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교재 교구 활용실태는 유아와의 상호작용에서 교재 교구의 질 중요성은 전체 96.1%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대다수 교사가 교육, 보육과정을 고려한 교재 교구사용시 수량과 품질에 대한 높은 인식을 보였다. 또한 현장에서 유아교사와 교구간의 사용시 가장 불편한 점으로는 발달의 적합성(47.3%)이 가장 높고, 유아에 대한 사용의 편리성은 평균 3.54점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놀이와 교구의 사용시 유아들의 교구활용에 대해 평균 3.89점으로 유익하다고 나타났으며, 현재 유아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는 유아 교구에 대해 평균 3.29점으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재 교구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평균 3.99점으로 비교적 긍정적이었다. 이같은 결과는 유아의 어린이집에서의 교재 교구활용에 따른 교재 교구의 질이 매우 중요시 되고 있음을 입증시켜 주었다. 이는 교재 교구의 중요성과 유용성을 고려할 때 품질기준과 시설평가와 함께 교재 교구도 평가인증제도를 도입하여 품질이 보증된 제품의 공급으로 유아들의 안전과 사용에 따른 편익성을 보장할 수 있는 제도적 정책의 도입이 요구됨을 시사해 준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application of perceived quality and authentication evaluation system of teaching materials and implements for children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from April 20 to April 30, 2013 on 150 guidance t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의 시대의 변화에 따라 보육의 문제에 관심을 가져왔으며, 미국, 영국, 일본, 호주 그 외의 다른 여러 나라도 기관을 시설뿐만 아니라 교재ㆍ교구도 평가하는 평가인증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재ㆍ교구의 평가인증 체제와 가장 근접한 미국과 호주의 경우를 우리나라와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조사방법은 본 연구자가 2013년 4월 20일부터 30일까지 상기지역 소재 어린이집에 직접 방문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지 제공과 함께 간단한 설문의 목적 및 설문방법을 설명 후 현장에서 배부 후 바로 직접 회수하였다. 수거된 설문지 중 불성실 응답자와 결측치 21부를 제외한 129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교사의 담당학급이나 경력에 따라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특히, 영아반을 운영하려는 신규시설과 평가인증 미준비시설의 경우 표준보육과정에 맞는 영아반 교재ㆍ교구를 비치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러한 현실 때문에 어린이집에 적합한 영아반 교재ㆍ교구 비치기준과 평가인증제가 마련되어야 하는 이유임과 동시 동연구의 필요성과 함께 목적을 갖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육시설 중 정원 20인 이하의 소규모 보육시설은 전체의 몇%를 차지하는가? 2012년 현재 설치ㆍ운영되고 있는 보육시설 중 정원 20인 이하의 소규모 보육시설이 전체에서 40%를 차지하고 있다[2]. 이들 영세한 소규모 보육시설로 인해 표준보육과정을 충실히 이행할 수 있는 환경구성이 어렵고 더욱이 교재ㆍ교구에 대한 점검과 인증평가를 위한 관련 연구 또한 전무한 실정이다[3-5].
평가인증 지침서에 제시된 보육과정에 교재ㆍ교구의 비치 내용의 한계는 무엇인가? 현재 평가인증지침서 ‘영역 2’의 보육과정에 교재ㆍ교구의 비치에 대한 종목이 간략적으로 제시되어 있어[1] 교재ㆍ교구 마련에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평가인증을 준비하는 시설과 통과한 시설은 참고할 수 있는 지침이 되고 있다[3]. 그러나 평가인증지침서에 제시되어 있는 교재ㆍ교구 종목이 매우 포괄적이고, 영역별로 중복되는 종목이 많아 반드시 준비해야 하는 항목이 아닌 단지 예시로 나와 있는 정도로 교재ㆍ교구의 정확한 비치여부를 인식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7]. 특히, 영아반을 운영하려는 신규시설과 평가인증 미준비시설의 경우 표준보육과정에 맞는 영아반 교재ㆍ교구를 비치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러한 현실 때문에 어린이집에 적합한 영아반 교재ㆍ교구 비치기준과 평가인증제가 마련되어야 하는 이유임과 동시 동연구의 필요성과 함께 목적을 갖는다.
재정적 어려움이 있는 많은 시설들이 보육의 질적 저하를 야기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누리과정을 제대로 실행할 수 있는 교재ㆍ교구를 바르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재정적 어려움이 있는 많은 시설들 또한 교재ㆍ교구를 제대로 비치하지 못하고, 어려운 환경으로 인기 있는 교재ㆍ교구를 비치할 수 없는 취약점으로 인하여 보육의 질적 저하를 야기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E. Y. Kim, J. K. Kim, K. S. Choi, W. J. Cho, H. J. Cho, and J. Ann, A Study on Developing Facility Standard of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09.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valuation Authentication Guideline for Day-care Center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3. M. S. Oh, A Study on the Awareness of Directors of Daycare Centers about Daycare Center Accreditation and Their Relevant Satisfaction Level.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07. 

  4. M. O. Kang, The Recognition and Demands about a Assist for the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of Gyeongnam Child-care Facilities. MS Thesis Gyeongnam University, 2008. 

  5. Y. M. Shim, Analysis on Educational Materials of Toddler Classes in Child Care Center. MS Thesis Kong Ju National University, 2012. 

  6. S. H. Jeong, A Study on the Developing Criteria of Teaching Materials and Implements for Children's Class in Child Care Center. MS Thesis Kong Ju National University, 2010. 

  7. J. S. Lee, Perception of Directors and Teachers about Child 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Ph. D.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010. 

  8. M. H. Kang, J. H. Ryu, A. H. Yoon, K. H. Lee, and J. O. Jung,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of Early Childhood Program, hakjisa, 2002. 

  9. Office of Day-care Center Evaluation Authentication, Source Book on The Second Promotion Plan Hearing for Evaluation Authentication of Day-care Centers. Office of Day-care Center Evaluation Authentication, 2009. 

  10. http://www.naeyc.org/accreditation 

  11. NAEYC, NAEYC Accreditation, 2006. http://www.naeyc.org/accreditation. 

  12. C. Howes, and E. Gailnsky. Accreditation of Johnson & Johnson Child Development Center. in S. Bredekamp, and B. A. Willer(EDs). NAEYC Accreditation: A Decade of Learning and Years Ahead. Washington, DC: NAEYC, 1996. 

  13. http://www.ncac.gov.au. 

  14. NAEYC, Signs of Quality in Early Childhood Programs, 2001. http://www.naeyc.org/ accreditaion. 

  15. G. L. Zellman, A. S. Johansen, and J. Van Winkle. Examining Effects of Accreditation on Military Child Development Center Operations and Outcomes. Santa Monica, CA: Rand, 1994. 

  16. D, K. Lee, Plans for Establishing the Publicness and Responsibi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Humanities Research, Vol.22, pp. 111-130, 2005. 

  17. O, Lee, Introduction and Implications of the evaluation Authentication System of Day-care Centers.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Vol.1, pp. 83-103, 2004. 

  18. D. R. Kim, A Study on the Operation Process and Post?]management of Accreditation System Perceived by Child Care Personnel. Ph. D.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7. 

  19. S. J. Park, and H. O. Lee, The Needs of Child Care Workers Concerning Accreditation Support.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Vol.2, No.1, pp. 59-78,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