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용 교재․교구 인증에 관한 유아교육현장 인식 및 요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Nee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on Authentication of Teaching Materials and Implements for Young Childre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2, 2014년, pp.793 - 800  

강영식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  박정환 (제주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아용 교재 교구 인증에 관한 유아교육현장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갖고, 대전광역시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종사하고 있는 교사와 원장 350명을 대상으로 2013년 9월 21일부터 30일까지 설문조사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유아용 교재 교구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먼저 전체 59.4%가 유아용 교재 교구 평가인증이 필요하며, 32.9%는 교육현장 인식도가 높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39.4%가 교육현장 요구도가 높다고 하였으며, 45.1%가 유아용 교재 교구 평가인증에 대한 제도의 도입 시 기대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인 유아용 교재 교구 평가인증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교육적 측면, 기능적 측면, 영역적 측면 순으로 요구도가 나타났다. 또한 각 영역별로 교육적 측면에 있어서는 사회적 발달 중점, 기능적 측면에 있어서는 안전성 중점, 영역적 측면에 있어서는 언어발달 중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유아용 교재 교구의 다양성으로 인해 교육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에서 사회적 발달촉진과 안전성 측면에서 평가인증된 교재 교구를 사용함으로써 유아들의 쌓기놀이, 읽기자료, 조작자료, 만들기 도구 등 실험관찰 도구의 사용이 높아지면서 품질보증이 가능한 교재 교구에 대한 높은 평가인증이 요구됨을 실증해 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need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on authentication of teaching materials and implements for young children.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on 350 teachers and directors in Daejeon-based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유아교육기관의 인증평가에서 더 나아가 교재·교구의 인증평가에 대한 유아시설 종사자의 인식수준과 요구도를 알아보고, 교재·교구의 평가인증 정착을 통해 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교육의 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변인은 무엇인가? 유아교육기관의 교재․교구의 활용과 같이 교육환경을 조성하고, 유아의 행동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적절한 교재․교구의 사용과 제공은 유아교육의 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변인이 된다[4].
유아의 인지적, 언어적 발달에 도움을 주는 교재․교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질 좋은 교재․교구의 제공은 유아의 인지적, 언어적 발달과 더 나은 발달적 결과에 기여하며, 지속적인 효과를 높여 줄 것이다[7]. 특히 블록 쌓기, 조작놀이, 만들기, 수 놀이 등의 교재․교구는 유아교육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전성이나 품질기준에 대한 인증평가기준은 정착되 있지 않다.
많은 수의 유아교육기관이 보이는 문제점은? 2013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만 3-5세 유아의 80% 가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다니고 있듯이 그동안 정부는 유아교육기관의 양적 확충에 주력하여 왔다[2]. 그러나 아직도 많은 수의 유아교육기관이 최소한의 설립인가 기준을 충족하고 있거나, 영리에 치중하여 경쟁적으로 시설을 운영하는 것에만 관심을 둘 뿐 교육용 교보재를 비롯한 유아교육의 질적 수준 및 관리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3]. 질높은 유아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 정부 및 유아교육기관은 유아교육의 질적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각도로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특히 교육자료의 활용이 높은 유아들의 교재․교구의 평가인증에 대한 노력을 통해 양질의 유아교육이 정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S. H. Jeong, and Y. J. Lee, "A Study on the Developing Criteria of Teaching Materials and Implements for Children's Class in Child Care Center". Journal of Montessori: Education, Vol.15, pp. 59-83, 2010. 

  2. H. W. Park, Action Research on The Aesthetics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Ph. 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3. 

  3. S. M. Kim,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Child-care Policy for Young Children in Family Child-care Centers. MS Thesis Daejon University, 2008. 

  4. S. K. Kang, and K. S. Lee, "Evaluator's Perception and Need Regarding Kindergarten Evaluation Meaning and Improvement".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Vol.5, No.1, pp. 77-104, 2010. 

  5. D. K. Lee, and S. G. Kim, "A Discussion for the Improvement of Assessment of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3, No.3, pp. 165-180, 2008. 

  6. J. W. Lee, and S. H. Ryu, "A Study of the Daycare Center Heads Awareness of Evaluative Accreditation System". The Korea Associ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Vol.45, pp. 361-381, 2006. 

  7. D. McDonald, Elevating the Field: Using NAEYC Early Childhood Program Accreditation to Support and Reach Higher Quality in Early Childhood Programs. NAEYC Public Policy Report, 2009. 

  8. J. P. Bloom, The Quality of Life in Early Childhood Programs: Does Accreditation make a Difference?. In S. Bredekamp, and B. A. Willer(Eds.), NAEYC Accreditation: A Decade of Learning and the Years Ahead(pp.13-24). Washington, DC: NAEYC, 1996. 

  9. G. Westervelt, A. Sibley, and D. Schaack, Quality in Early Childhood Programs. In S. Feeney, A. Galpert, and C. Seefeldt(Eds.), Continuing Issu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p. 83-99).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2009. 

  10. M. Whitebook, L. Sakai, and C. Howes, NAEYC Accreditation as a Strategy for Improving Child Care Quality: An Assessment. Final Report. Washington, DC: Center for the Child Care Workforce, 1997. 

  11. K. C. Kim, and A. N. Kim, "Principal and Teachers Participating in Kindergarten Evaluation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3, No.6, pp. 41-67, 2008. 

  12. S. K. Yoo, and Y. S. Song, "An Inquiry into the Narratives of In-service Teachers Regarding Kindergarten Evaluation".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9, No.1, pp. 181-207, 2009. 

  13. J. H. Lim, Perceptions of Directors and Teachers at Kindergartens Participating in the Kindergarten Accre.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09. 

  14. Y. S. Cha, H. J. You, and M. J. Kang, "Experience of Child-care Teachers during the Participation of Child-care Center's Accreditation System".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32, No.6, pp. 83-109, 2012. 

  15. K. H. Kim, Teachers' Perception Before and After the Evaluation of Kindergartens. MS Thesis Kyungsung University, 2009. 

  16. M. S. Oh, A Study on the Awareness of Directors of Daycare Centers about Daycare Center Accreditation and Their Relevant Satisfaction Level.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07. 

  17. N. Y. Lee, The Perceptions of People Working at Childcare Facilities of the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of Childcar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Facility Types. MS Thesis Dongguk University, 2006. 

  18. S. Y. Nam,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Center Directors about the Accreditation System of Child-care Centers: focused on the Centers Obtaining Accreditation in 2005. M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2007. 

  19. Gangwon Provincial Office, Standard of Teaching Materials and Equipments in Kindergartens. http://www.kwe.go.kr, 2008. 

  20. Geonggi Provincial Office, Standard of Teaching Materials and Equipments in Kindergartens. http://www.goe.go.kr, 2006. 

  21. Y. J. Kim, S. S. Han, H. K. Yoon, J. W. Choi, and M. S. Hyun, Introduction to Child Care & Education. Dongmunsa, 2004. 

  22. M. H. Kang, Management of Education Institute for Young Children, Hakjisa,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