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자의 실험 목적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about the Purpose of Scientists' Experiment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3 no.6, 2013년, pp.1248 - 1258  

김지혜 (광명동초등학교) ,  신영준 (경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과학자의 실험 목적에 대한 응답을 통하여 인식의 정도를 확인 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G시 한 초등학교의 초등학생 193명(남학생 96명, 여학생9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초등학생들의 응답을 성별, 학업성취도별, 과학관련 직업 희망여부별로 그 경향성을 나누어 살펴보았다. 학습자 특성이 과학자의 실험 목적에 대한 인식과 어떠한 상관이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학생들은 과학자의 실험 목적에 대하여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기 위해서'라는 내적가치인지적 영역과 관련된 항목에 34.2%, '생활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라는 외적 가치의 사회적 영역에 대한 항목에 26.9%의 응답을 보였다. 이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과학자들의 실험 목적을 사실의 획득이나 사회적으로 도움이 되기 위해서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응답의 분포를 성별로 살펴보면, 여학생이 사회적 유용성 영역에 관한 인식이 높았으며 남학생이 논리 객관적 요소에 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응답의 분포를 학업성취도별로 살펴보면, 과학자의 실험 목적에 대하여 상위권 학생이 사회적 유용성 영역에 관한 인식이 높았으며, 중 하위권 학생들은 인지적 영역에 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과학관련 직업을 희망하는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을 대상으로 한 과학실험의 목적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과학 관련 직업을 희망하는 학생의 인식이 더욱 다양하며, 그렇지 않은 학생은 인지적 영역에 대한 응답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the "purpose of scientists' experiments" and discovered what roles teachers can take to provide guidance. The study subjects were 193 elementary school students (96 boys and 97 girls) in a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The resp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에 대해 초등학생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남·여학생들의 과학자 실험 목적에 대한 인식을 통해 성별에 따른 차이의 유무를 밝히고자 하였다.
  • 그러한 맥락에서 과학 관련 직업으로 진로를 결정하는데 과학의 주요 활동인 실험에 대한 목적 인식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 관련 진로 선택의 여러 요인들 중 과학교육에서 핵심적이고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실험의 목적 인식에 집중하고자 했다.
  • 초등학생들의 응답을 성별, 학업성취도 별로 그 경향성을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학습자의 인식에 기초한 교사들의 과학 실험 지도 방향성에 대하여 시사성을 주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직업 인식이라는 개인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학습자의 과학 관련 직업에 대한 장래 희망에 따라 과학자의 실험 목적 인식에 어떤 경향을 갖는지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엿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과학자의 실험 목적에 대한 응답을 통하여 인식의 정도를 확인 하고자 한 것이다. 초등학생들의 응답을 성별, 학업성취도 별로 그 경향성을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학습자의 인식에 기초한 교사들의 과학 실험 지도 방향성에 대하여 시사성을 주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개인 특성 중 하나로 과학관련 직업 희망 여부에 따른 학생들의 과학자 실험 목적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지에 과학관련 직업과 비과학관련 직업을 구분하여 제시하고 미래 희망 직업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과학자의 실험 목적에 대한 응답을 통하여 인식의 정도를 확인 하고자 한 것이다. 초등학생들의 응답을 성별, 학업성취도 별로 그 경향성을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학습자의 인식에 기초한 교사들의 과학 실험 지도 방향성에 대하여 시사성을 주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직업 인식이라는 개인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학습자의 과학 관련 직업에 대한 장래 희망에 따라 과학자의 실험 목적 인식에 어떤 경향을 갖는지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엿보고자 하였다.
  •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따른 과학자 실험 목적에 대한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학업성취도는 1학기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전 교과 성적의 평균과 과학교과 점수를 기준으로 학습자 수준을 구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과학자의 실험 목적에 대한 응답을 통하여 인식의 정도를 확인하고자 조사 분석 한 결과는? 학습자 특성이 과학자의 실험 목적에 대한 인식과 어떠한 상관이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학생들은 과학자의 실험 목적에 대하여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기 위해서'라는 내적가치 중 인지적 영역과 관련된 항목에 34.2%, '생활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라는 외적 가치의 사회적 영역에 대한 항목에 26.9%의 응답을 보였다. 이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과학자들의 실험 목적을 사실의 획득이나 사회적으로 도움이 되기 위해서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응답의 분포를 성별로 살펴보면, 여학생이 사회적 유용성 영역에 관한 인식이 높았으며 남학생이 논리 객관적 요소에 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응답의 분포를 학업성취도별로 살펴보면, 과학자의 실험 목적에 대하여 상위권 학생이 사회적 유용성 영역에 관한 인식이 높았으며, 중 하위권 학생들은 인지적 영역에 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과학관련 직업을 희망하는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을 대상으로 한 과학실험의 목적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과학 관련 직업을 희망하는 학생의 인식이 더욱 다양하며, 그렇지 않은 학생은 인지적 영역에 대한 응답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가치는 어떤 영역으로 나뉘는가? 과학자 실험의 목적을 크게 내적 가치(Intrinsic Value)와 외적 가치(Extrinsic Value)의 대범주로 나눴다. 내적가치는 다시 인지적 영역(Cognitive Domain)과 정의적 영역(Affective Domain)의 두 범주로, 외적가치는 사회적 유용성영역(Social Useful Domain)과 개인적 유용성 영역(Private Useful Domain)으로 나누어 소범주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과학자 실험의 목적을 크게 어떻게 나눴는가? 과학자 실험의 목적을 크게 내적 가치(Intrinsic Value)와 외적 가치(Extrinsic Value)의 대범주로 나눴다. 내적가치는 다시 인지적 영역(Cognitive Domain)과 정의적 영역(Affective Domain)의 두 범주로, 외적가치는 사회적 유용성영역(Social Useful Domain)과 개인적 유용성 영역(Private Useful Domain)으로 나누어 소범주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o, H., & Park, S. (2001).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2nd). Seoul : Kyoyukkwahaksa. 

  2. Kim, H., & Song, J. (2003). Middle school students' ideas about the purpose of laboratory work.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3(3), 254-264. 

  3. Kim, J., & Shin, Y. (2003).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about the aims of school science experiments by gender and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2), 159-168. 

  4. Joung, Y., Jang, M., & Kim, H. (2011a).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views about the purpose of science experiment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2), 255-270. 

  5. Joung, Y., Jang, M., & Kim, H. (2011b). Why do we do science experiments? : Scientifically gifted children's views about the purpose of science experiment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2), 189-203. 

  6. Joung, Y., & Song, J. (2002). Investigating students' and teachers' views on ' the necessity of learning science' by the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2(4), 806-819. 

  7. Lee, S. (2000). The nature and structure of experimentation : Epistemic approach founded on theory-network. Ph. D. dissertation. Seoul,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8. Shin, Y. (2000). The effects of problem-oriented interdisciplinary science program based girl friendly I3E science teaching strategy. The Korean Journal of Biology Education, 28(2), 100-109. 

  9. Bybee, R. & Deboer, G. (1994). Research on goals for the science curriculum. In Dorothy l. Gabel(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NY: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0. Carey, S., Evans, R., Honda, M., Jay, E., & Unger, C. (1989). "An experiment is when you try it and see if it works": A study of grade 7 students'understanding of the construction of scientific knowledg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1(5), 514-529. 

  11. Chalmers, A. F. 신인철, 신중섭 역(1985). 현대의 과학 철학. 서울: 서광사. 

  12. Falk, D. F. (1980). Biology teaching methods. Malabar, F: Robert E. Krieger Publishing Company. 

  13. Gower, B. (1997). Scientific method: An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introduction. London: Routledge. 

  14. Hacking, I. (1983). Experimentation and scientific realism. Philosophical Topics. 13(1). 71-87. 

  15. Hart, C., Mulhall, P., Berry, A., Loughran, J., & Gunstone, R (2000). What is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Or can students learn something from doing experim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7), 655-675. 

  16. Kelly, A. (1987). Why girls don't do science, In Kelly, A.(ed.) Science for girls?. 110-112. Open University Press. 

  17. Lazarowitz, R., & Tamir, P. (1994). Research on using laboratory instruction in science. In Dorothy, L. Gabel (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94-128. NY;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8. Lederman, N. (1992). Students'and teachers'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A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31-359. 

  19. Martinez, & Michael E. (1989). Gender differences in science interest. 

  20. Watson, R. (2000). The Role of practical work. In M. Monk and J. osborne (Eds.), Good practice in science teaching; What research has to say (pp. 57-71).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21. Wellington, J. J. (1998). Practical work in science : Which way now? In J. J. Wellington(Ed.).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NY: Routledge. 

  22. White, R. T. (1996). The link between the laboratory an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8(7), 761-774. 

  23. Woolnough, B. E. (1991). Practical science. Milton Keynes: Open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