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생식건강증진행위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Undergraduate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1 no.5, 2014년, pp.29 - 43  

조호윤 (부산대학교병원) ,  김영혜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손현미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develop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measuring the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undergraduates. Methods: The initial questionnaires were made of 106 items from four domains through literature review. All questionnaire items were revised by an expert gr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문가 집단에게 연구목적과 취지를 설명하고, 연구 참여의 동의를 구하였다. WHO의 생식건강 정의를 기반으로 한 대학생의 생식건강증진행위의 구성요인과 문항 내용의 타당성 및 누락된 범주나 수정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의견을 함께 제시해 줄 것을 요청하면서 조사하였다. 문항의 내용타당도를 조사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에게 각 문항의 내용이 대학생의 생식건강증진행위를 측정하는데 어느 정도 적절한지를 각 문항별로 ‘전혀 적절하지 않다’ 1점, ‘다소 적절하지 않다’ 2점, ‘거의 적절하다’ 3점, ‘매우 적절하다’ 4점의 4점 likert척도로 질문하여 각 문항에 대해 3점 또는 4점이라고 응답한 문항의 비율인 내용타당도 지수(Index of Content Validity [CVI])를 계산하여 확인하였다.
  • 이를 위해 초기 문항 작성과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초기 도구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내적일관성을 확인하며,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여 최종 도구를 완성한다. 또한 완성된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고 대학생의 생식건강증진행위의 구성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국내 처음으로 대학생의 생식건강증진행위 측정 도구를 개발할 목적으로 시도한 연구였으나 연구 윤리적 문제로 성경험이 있는 학생만을 표집할 수 없었고, 단순히 성관련 문헌이 아닌 생식건강 및 생식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이론적 근거와 선행연구들이 많지 않아 초기에 설정된 구성개념과 최종도구의 구성요인에 차이가 있었다. 그러므로 추후 이에 대한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생식건강증진행위 측정도구 개발을 위해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생식건강증진 행위의 구성 개념과 주요 영역에 의해 개념적 기틀을 설정하였다. 설정된 영역별로 생식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초기문항 106개를 작성하고, 예비조사와 전문가 그룹에 의해 안면타당도와 내적 타당도 검증과정을 거쳐 도구를 수정하였다.
  • 본 연구는 생식건강증진행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세계보건기구의 생식건강 정의를 기반으로 문헌 고찰하여 생식건강증진행위 개념틀을 구성하고, 구체적 행위로 문항을 조작화하면서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설정된 개념 틀에 따라 생식건강증진행위의 4가지 영역인 안전 성행위, 생식기 관리, 생식능력관련 건강관리, 정신사회적 생식건강 영역 별로 문항을 작성하였으며 대상자들의 실제 행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현 시점의 한국 남녀대학생의 성행위 실태 및 생식건강 관련 지식과 실천 수준에 근거하여 개발된 도구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최종도구는 향후 한국 사회의 성문화가 변화함에 따라 이에 대한 추후 검증과 수정보완이 요구될 수 있지만 현재 한국 대학생의 성 문화와 인식 및 성행위 실태를 잘 반영할 수 있는 생식건강증진행위 측정도구이다.
  • 5이상이면 가능하므로 전체 분산의 누적 백분율이 도구의 최소 설명력인 60% 이상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정할 수 있다(Barbara, 2001). 본 연구도 남녀의 생식건강증진행위를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여러 방법으로 요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리하여 설명력이 가장 높은 최종도구를 완성하여 대학생의 생식건강증진행위의 구성요인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대학생들의 생식건강증진행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초기 문항 작성과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초기 도구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내적일관성을 확인하며,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여 최종 도구를 완성한다.
  • 본 연구의 설계는 대학생들의 생식건강증진행위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대학생의 생식건강을 유지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첫 단계로 선행문헌을 토대로 대학생의 생식건강증진행위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여 우리나라 대학생의 생식건강증진행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통해 향후 대학생의 생식건강증진행위의 수준과 이에 대한 관련성과 영향 등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들의 촉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 때의 생식건강이 다른 연령보다 악화될 가능성이 높은 이유는? , 2008). 특히 한국에서는 대학 입시 위주인 고등학교 때와는 달리 대학생이 되면 성인문화가 허용되고 이성교제 또한 자유로워져 외국보다 대학생시기에 더 많이 성경험을 시작한다고 알려져 있다(Eton et al., 2012; Shin, Park, Bae, & Cha, 2010). 하지만 성경험 대학생의 절반이상이 성병이나 임신 예방조치를 하지 않고 있으며(shin, Park, Bae, & Cha, 2010) 성경험이 있는 대학생 10%는 성병 감염 경험이 있고(Lee, 2003), 17.7%는 임신경험, 그 중 88.5%는 낙태수술을 한 적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Kang, 2012). 이처럼 대학생 때의 생식건강은 다른 연령보다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
잘못된 건강행위가 지속되면 어떻게 되는가? 고등학생 때보다 자율성이 높아진 대학생 시기에 많은 학생들은 음주와 흡연을 시작하고(Paek & Kwon, 2011), 불규칙하고 불건강한 생활습관과 식습관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잘못된 건강행위가 지속될 경우 비만, 당뇨병, 폐질환 및 간질환 등의 다양한 만성질환을 초래할 수 있다(Park, 2009). 음주, 흡연과 약물남용은 성욕 감소, 정자 기형, 정자 수 감소로 인한 불임의 중요한 원인이 되며, 태아 염색체의 이상과도 관련이 있고(Kennedy, Griffin, & Frishman, 1998), 과도한 외모지상주의로 인한 무리한 체중 감소와 영양장애는 성호르몬 균형을 파괴하여 월경 장애와 불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Parent-Stenvens & Burns, 2000).
고등학생 때보다 자율성이 높아진 대학생 시기에 주로 어떤 생활습관이 형성되는가? 고등학생 때보다 자율성이 높아진 대학생 시기에 많은 학생들은 음주와 흡연을 시작하고(Paek & Kwon, 2011), 불규칙하고 불건강한 생활습관과 식습관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잘못된 건강행위가 지속될 경우 비만, 당뇨병, 폐질환 및 간질환 등의 다양한 만성질환을 초래할 수 있다(Park,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hn, S. H., Park, I. S., Han, J. S., Kim, T. I., Kwak, M. S., & Chung, H. S. (2008). Health Behavior, Reproductive Health History, and Sexual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4(3), 205-212. 

  2. Barbara, H. M. (2001). Statistical methods for health care research (4th ed.). Philadelphia, NY: Lippincott-Williams and Wilkins. 

  3. Bellows, N. M., Bellows, B. W., & Warren, C. (2011). The use of vouchers for reproductive health services in developing countries: systematic review. Tropical Medicine and International Health, 16(1), 94-96. 

  4. Chavarro, J. E., & Willet, W. C. (2008). Fertility Diet (Jeong H. W., Chang, B. W., Han, J. E., Jeng, G. A., Heu, S. E., & Lee, S. R., Trans.). Seoul: Joyun communication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2007) 

  5. Choi, J. S., Won, J. W., Chae, S. M., Park, E. J., & Seo, K. (2010). Policy Issues on Abortion in Korea. Research Report (2010-30-12),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6. Eisenberg, M. E., Garcia, C. M., Frerich, E. A., Lechner, K. E., & Lust, K. A. (2012). Through the Eyes of the Student: What College Students Look for, Find, and Think about Sexual Health Resources on Campus. Sexuality Research and Social Policy, Published online, 19 May 2012. 

  7. Eton, D. K., Kann, L. Kinchen, S., Shanklin, S., Flint, K. H., Hawkins, J., Harris, W. A. Lowry, R., Mcmanus, T., Chyen, D., Whittle L. Lim C., & Wechsler, H. (2012). Youth risk behavior surveillance-United States, 2011.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61(4), 1-168. 

  8. Han, K. S. (2005). Self Efficacy,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ymptoms of Str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5(3), 585-592. 

  9. Hoh, J. K., & Park, M. I. (2011).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preconception care for men.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4(8), 808-817. 

  10. Hong, B. K., Lee, H. Y., & Rhee, S. J. (2006). The Working Conditions and Reproductive Health of female Hairdress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3(4), 105-124. 

  11. Hwang, S. W., & Chung, C. W. (2011). Contraception Behavior and Related Factors in Unmarried Female and Mal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7(1), 77-87. 

  12. Kang, D. W. (2005). Kangdongwoo S clinic, Institute of human sexuality. Retrieved from http://www.sex-med.co.kr/Sub04/Sub04_01.aspx?modeview&srno1764&categoryID5&searchKeyD&searchKeyWord¤tPage1 

  13. Kang, S. W. (2012). Two of 10 college students experienced sex have the pregnancy experience. The Babynews, Society. 

  14. Kennedy, H., Griffin, M., & Frishman, G. (1998). Enabling conception and pregnancy: Midwifery care of women experiencing infertility. Journal of Nurse Midwifery, 43(3), 190-207. 

  15. Kim, M. J., Kim, T. I., & Kwon, Y. J. (2008). A Stud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Contraception in Married Immigrant Women. Korean Journal Women Health Nurse, 14(4). 323-332. 

  16. Kim, Y. H., & Son, H. M. (2010). Relating factors on reproductive health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2(4B), 1935-1950. 

  17. Lee, K. Y. (2003). 10% of college students experienced sexual intercourse have venereal disease. The Munhwa Ilbo, Society. 

  18. Lynn, MR.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6), 382-385. 

  19. Lym, I. J., Kim, S. Y., & Park, H. J. (2003). Principles of psychological measurement. Seoul: Hakyeonsa. 

  20. Nemcic, N., Novak, S., Maric, L., Novosel, I., Kronja, O., Hren, D., Marusic, A., & Marusic, M. (200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questionnaire measuring attitudes towards sexual health among university students. Croatia Medical Journal, 46(1), 52-57. 

  21. Nunnally, J. C., & Bernstein, I. H. (1994). Psychometric theory. 3rd Ed. New York: McGrow-Hill. 

  22.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1). Doing better for families. Social policies and data. Retrieved from http://www.oecd.org/els/family/47701118.pdf 

  23. Paek, K. S., & Kwon, Y. S. (2011).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eparation Stage to Quit Smoking among College Smok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2(2), 173-183. 

  24. Parent-Stevens, L., & Burns, E. (2000). Menstrual disorders. In M. Smith, & L. Smith (Eds.), 20 Common problems in women's health care. New York: McGrow-Hill. 

  25. Park, H. J. (2008). Metabolic syndrome and male infertility. Korean Journal of Andrology, 26(1), 1-7. 

  26. Park, Y. C. (2009). Uterine lifetime (Menstruation point! Infertility stop!) about which Oriental doctor father tells to daughter. Seoul: Kunkang digest press. 

  27. Pinar, G., & Taskin, L. (2011). The efficiency of sexual health and reproductive health training program developed for University youth. Gulhane medical Journal, 53(1), 1-8. 

  28. Reis, N., Kilic, D., Engin, R., & Karabulutlu, O. (2011).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needs of adolescent girls from conservative and low-income families in Erzurum, Turkey. Health, 3(6), 370-377. DOI: 10.4236/health.2011.36063 

  29. Saydam, B.K., Ceber, D., Bilge, A., Ozturk Can, H., Mermer, G. Demireloz, M., & Ozenturk, G. (2010).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productive Health Scale for Turkish adolescents. Turkiye Klinikleri Journal of Medical Science, 30(2), 659-668. 

  30. Siebold, C. (2011). Factors influencing young women's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Contemporary Nurse, 37(2), 124-136. 

  31. Song, J. J. (2009). SPSS / AMOS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necessitated to create paper. Paju; 21Cbook. 61-99. 

  32. Shin, K. R., Park, H. J., Bae, K. E., & Cha, C. Y. (2010). Sexual behavior, health risk behaviors related to reproductive health and sexual experiences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e, 22(6), 624-633. 

  33. Waltz, C. F., Strickland, O. L., & Lenz, E. R. (2010). Measurement in nursing and health research(4th ed)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3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 Reproductive Health Indicators. Guidelines for their generation, interpretation and analysis for global monitoring. Retrieved July 9, 2012, from http://www.who.int /reproductivehealth/publications/monitoring/924156315x/en/index.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