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pirulina maxima의 초음파 및 열수 추출 공정에 따른 항염증 효과 비교 탐색
Comparison of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pirulina maxima Extract by Ultrasonication and Water Extraction Proces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12, 2014년, pp.1852 - 1857  

신재빈 (강원대학교 생물의소재공학과) ,  최운용 (강원대학교 생물의소재공학과) ,  강도형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이현용 (서원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실험은 초음파 전처리를 통한 Spirulina maxima 추출물이 기존의 열수 추출 공정과 비교하여 항산화, 항염증 효과가 증진되는지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낮은 세포 독성을 통해 안정성을 확보하였으며, 항염증성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항산화 효능에서는 DPPH의 경우 약 50% 정도 이상의 효능을 보였다. Flavonoid 함량에서는 열수 추출물보다 초음파 공정을 거친 추출물은 10% 정도의 함량 증가를 보였으며, total phenol에서도 함량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 결과로 일반 천연물보다 항산화능이 좋을 뿐 아니라 독성도 낮은 결과를 얻어 S. maxima의 뛰어난 효능을 입증하였다. 항염증 효과의 경우 NO, TNF-${\alpha}$IL-6 생성량을 확인한 결과 3가지 생성량 모두 열수 추출물보다 초음파 공정을 통하여 항염증 효능의 증대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음파 공정을 이용해 낮은 온도에서 활성물질들의 파괴가 없을뿐더러 초음파의 높은 에너지로 인하여 더 많은 활성물질들을 추출하여 효능들의 증대로 보이며, 초음파 공정 전처리를 통하여 S. maxima의 두꺼운 세포벽을 효과적으로 파쇄하여 생리활성 물질의 추출이 효과적으로 진행되어 항산화능이 증가하게 되고, 항산화능의 증가로 항염증 효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 실험 결과들을 바탕으로 S. maxima의 활성 증진 및 기능성 식품으로의 개발에 적용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Spirulina maxima treated with ultrasonication and water extraction process. S. maxima extracted via ultrasonication showed low cytotoxicity (16.90%) in a normal human cell line, CCD-986sk. Especially, S. maxima ultrasonic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기존에 연구된 초음파 추출 방법을 통해 항산화 물질로 알려진 flavonoid와 total phenol의 파괴가 최소화된다고 알려져 있으며(13), 미세조류의 두꺼운 세포벽이 초음파 공정의 공동현상으로 인하여 효과적으로 분쇄되어 추출 속도 개선 및 높은 수율을 확보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14,15).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 maxima 추출물의 항산화능과 항염증 효능에 대해 조사함과 동시에 고온 추출에서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저온 초음파 공정을 통한 효능 증대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실험은 초음파 전처리를 통한 Spirulina maxima 추출물이 기존의 열수 추출 공정과 비교하여 항산화, 항염증 효과가 증진되는지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낮은 세포 독성을 통해 안정성을 확보하였으며, 항염증성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항산화 효능에서는 DPPH의 경우 약 50% 정도 이상의 효능을 보였다.

가설 설정

  • 2)Means with different capital letters in a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at IL-6.
  • 2)Means with different letters in a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05).
  • 3)Means with different small letters in a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at IL-6.
  • 3)Means with different small letters in a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at IL-6.
  • 5) Means with different small letters in a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05) at TNF-α.
  • 5)Means with different small letters in a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05) at TNF-α.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pirulina의 외형적 특징은? Spirulina는 나선형 모양을 가진 조류로써 길이 200∼ 500 μm, 너비 약 8 μm 정도의 크기로 존재하며, 현재 35종이 아프리카, 중남미 등 아열대와 열대 지방의 호수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1,2). 이러한 Spirulina의 영양성분은 단백질 55∼70%, 지방 6∼9%, 탄수화물 15∼ 20%와 무기질, 비타민 및 색소들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3), 섬유소가 없고 세포벽이 얇아 소화 흡수가 빠르고 많은 열량을 가지고 알려져 있어 기능성 식품으로 효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Spirulina의 영양성분 함량분포는? Spirulina는 나선형 모양을 가진 조류로써 길이 200∼ 500 μm, 너비 약 8 μm 정도의 크기로 존재하며, 현재 35종이 아프리카, 중남미 등 아열대와 열대 지방의 호수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1,2). 이러한 Spirulina의 영양성분은 단백질 55∼70%, 지방 6∼9%, 탄수화물 15∼ 20%와 무기질, 비타민 및 색소들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3), 섬유소가 없고 세포벽이 얇아 소화 흡수가 빠르고 많은 열량을 가지고 알려져 있어 기능성 식품으로 효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Spirulina의 항산화능이 뛰어난 이유는? 특히 Spirulina maxima는 Spirulina platensis보다 단백질 함량이 더 높다고 알려져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4), 단백질 함량이 높기 때문에 단백질 이용률(net protein uti-lization, NPU)이 높고 완전단백질 식품처럼 우수한 단백질 식품으로 평가되고 있다(5). 또한 phycocyanin과 비타민 B12 및 다량의 phenolic acid와 tocopherols 등을 함유하고 있고 flavonoid와 phenol 함량이 많아 일반 천연물의 항산화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1,6). 게다가 Spirulina에 함유된 carotenoid 색소와 phycocyanin, novel sul-fated polysaccharide는 항암, 노화 방지 및 종양 전이 억제 등 많은 효과가 있다고 한다(7-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ay RA. 1991. Microalgae as food and supplement. Crit Rev Food Sci 30: 555-573. 

  2. Son MH, Park KH, Choi AR, Yoo G, In MJ, Kim DH, Chae HJ. 2009. Investig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enzymatic hydrolysate of Spirulin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36-141. 

  3. Romano I, Bellitti MR, Nicolaus B, Lama L, Manca MC, Pagnotta E, Gambacorta A. 2000. Lipid profile: a useful chemotaxonomic marker for classification of a new cyanobacterium in Spirulina genus. Phytochemistry 54: 289-294. 

  4. Saeid A, Chojnacka K, Korczynski M, Korniewicz D, Dobrzanski Z. 2013. Biomass of Spirulina maxima enriched by biosorption process as a new feed supplement for swine. J Appl Phycol 25: 667-675. 

  5. Zao X, Yang YH, Cho YS, Chun HK, Song KB, Kim MR.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irulina-added salad dressing. J East Asian Soc Diet Life 15: 292-299. 

  6. Yang HN, Lee EH, Kim HM. 1997. Spirulina platensis inhibits anaphylactic reaction. Life Sci 61: 1237-1244. 

  7. Hernandez-Corona A, Nieves I, Meckes M, Chamorro G, Barron BL. 2002. Antiviral activity of Spirulina maxima against herpes simplex virus type 2. Antiviral Res 56: 297-285. 

  8. Jung SW, Lee NK, Kim SJ, Han D. 1995. Screening of tyrosinase inhibitor from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91-896. 

  9. Kim IS, Cho ZS. 1993. Modulation of human fibroblast proliferation and collagen production by prostaglandin E2. Korean Biochem J 23: 40-52. 

  10. Toma M, Vinatoru M, Paniwnyk L, Mason TJ. 2001.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ultrasound on vegetal tissues during solvent extraction. Ultrason Sonochem 8: 137-142. 

  11. Vinatoru M. 2001. An overview of the ultrasonically assisted extraction of bioactive principles from herbs. Ultrason Sonochem 8: 303-313. 

  12. Chung KW, Kim WI, Hong IK, Park KA. 2000. Ultrasonic energy effects on squalene extraction from amaranth seed. Appl Chem 4: 149-152. 

  13. Yu SH, Chong MS, Kim HJ, Lee KN. 2007. Studies on the extraction method and polysaccharide of Tricholoma matsutake using the supersonic wave and microwave.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1: 1431-1436. 

  14. Lee SB, Lee SM, Hong IK. 2003. Energy density analysis in ultrasound assisted solvent extraction process. J Korean Ind Eng Chem 14: 989-993. 

  15. Oh SH, Ahn J, Kang DH, Lee HY. 2011. The effect of ultrasonificated extracts of Spirulina maxima on the anticancer activity. Mar Biotechnol 13: 205-214. 

  16. Dietz BM, Kang YH, Liu G, Eggler AL, Yao P, Chadwick LR, Pauli GF, Farnsworth NR, Mesecar AD, van Breemen RB, Bolton JL. 2005. Xanthohumol isolated from Humulus lupulus inhibits menadione-induced DNA damage through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Chem Res Toxicol 18: 1296-1305. 

  17. Kong SH, Choi YM, Lee SM, Lee JS. 2008.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methanolic extracts from milling fractions of black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815-819. 

  18.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s. J Am Oil Chem Soc 58: 966-998. 

  19. Green LC, Wagner DA, Glogowski J, Skipper PL, Wishnok JS, Tannenbaum SR. 1982. Analysis of nitrate, nitrite, and [ $^{15}N$ ] nitrate in biological fluids. Anal Biochem 126: 131-138. 

  20. Kwon MC, Kim CH, Na CS, Kwak HG, Kim JC, Lee HY. 2007. Comparison of Immuno-modulatory regulatory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by ultra high pressure extracts process. Korea J Medicinal Crop Sci 15: 398-404. 

  21. Kim HJ, Kim IH, Lee JH. 2008. B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the seawater algae, Chlorella elliposidea C020. Korean J Biotechnol Bioeng 23: 125-130. 

  22. Shin JH, Choi DJ, Lee SJ, Cha JY, Sung NJ.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965-971. 

  23. Tatake PA, Pandit AB. 2002. Modelling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 into cavity dynamics and cavitational yield: influence of dual frequency ultrasound sources. Chem Eng Sci 57: 4987-4995. 

  24. Kim AK, Cho SJ, Kwak JE, Kum JY, Kim IY, Kim JH, Chae YZ. 2012. Heavy metal contents and safety evaluation of commercial salts in Seoul.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29-135. 

  25. Kwak CS, Lee JH. 2014.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sprout of evening primrose (Oenothera laciniata) and gooseberry (Actinidia argu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207-215. 

  26. Lee YJ, Wok SC, Kim HJ, Lee JH, Kim MR.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raw and cooked Spirulina added noodle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6: 23-3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