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애니메이션 영화의 흥행에 관한 탐색적 연구
The Success of Animation in Korean Film Industry: An Exploratory Analysis 원문보기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19 no.12, 2014년, pp.57 - 70  

김효동 (아주대학교 미디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애니메이션 영화의 흥행성적과 관련 된 요인들에 대한 탐색적인 연구방법을 제안한다. 2004-2013년 동안 흥행성적 상위 100위권에 들었던 애니메이션(104)을 선정한 후, (1) 개봉스크린 규모가 어떻게 변모하였으며; (2) 애니메이션 흥행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무엇인지; (3) 수입 애니메이션의 주류인 미국과 일본 애니메이션의 차이점; 그리고 (4) 미국 애니메이션이 갖는 특성의 미국시장, 세계시장, 그리고 한국시장의 성적에 대한 효과가 어떻게 비교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스크린 규모는 10년 동안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애니메이션의 흥행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도(FTA직후 시기), 월시기(여름과 겨울방학시기)와 스크린 규모라고 파악이 되었다. 미국과 일본 애니메이션은 자국의 애니메이션 산업에서 파생된 각각의 특징이 장르와 플롯에 존재한다고 분석하였다. 또한 미국, 세계, 한국 시장에서의 흥행성적에 모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점수주기에 참여한 사용자 숫자였으며, 한국시장의 흥행성적에만 영향을 준 요소는 연도(FTA)였고, 미국 내에서의 성공과 관련된 변인은 배우자지수와 예산을 꼽을 수 있었다. 애니메이션에 강점을 나타내는 미국, 일본 모두 애니메이션 문화의 역사성과 사회성이 존재하며, 자국에서의 관련 콘텐츠 소비가 해외시장에서의 선전과 관련이 있다고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proposes an exploratory analysis on the success of animation films in Korea industry. It identifies animation films that have been successful in the Korean film industry during 2004-2013 period and explores (1) how the number of screens allocated to the films have been changed; (2) what a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애니메이션 영화의 흥행성적에 관한 탐색적 연구결과 흥행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엇인가? 2004-2013년 동안 흥행성적 상위 100위권에 들었던 애니메이션(104)을 선정한 후, (1) 개봉스크린 규모가 어떻게 변모하였으며; (2) 애니메이션 흥행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무엇인지; (3) 수입 애니메이션의 주류인 미국과 일본 애니메이션의 차이점; 그리고 (4) 미국 애니메이션이 갖는 특성의 미국시장, 세계시장, 그리고 한국시장의 성적에 대한 효과가 어떻게 비교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스크린 규모는 10년 동안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애니메이션의 흥행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도(FTA직후 시기), 월시기(여름과 겨울방학시기)와 스크린 규모라고 파악이 되었다. 미국과 일본 애니메이션은 자국의 애니메이션 산업에서 파생된 각각의 특징이 장르와 플롯에 존재한다고 분석하였다.
미국의 애니메이션은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가? 반면에 미국의 애니메이션은 40% 내외의 세계 시장점유율을 보이며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독보적인 경쟁력의 원동력은 극장용 애니메이션을 위한 과감한 투자와 구조화된 제작방법, 그리고 이 투자금을 회수하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한류를 알리는 대표적인 콘텐츠 상품으로 무엇이 거론되고 있는가? 한류를 알리는 대표적인 콘텐츠 상품으로 흔히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이 거론된다[1]. 그 중 애니메이션 분야는 향후 5년간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J. M. Ko, "Content Export 1%: More than the Value," Creative Industries & Contents, Vol. 6, Sep. 2013. 

  2.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KOCCA), "Trends in Foreign Content Markets," KOCCA Report, Feb. 2012. 

  3. C. W. Park, "Light and Shdow of Hanryu" Creative Industries & Contents, Vol. 6, pp. 28-31, Sep. 2013. 

  4. W. Jung, "Predicting Box Office Performance for Animation Movies : Evidence from Movies Released in Korea, 2003-2008," Catoon & Animation Studies, pp. 21-32, Aug. 2009. 

  5. Y.-S. Kwon, "Study on Unfair Trade of Japanese Animation Industry," Humanities Contens, pp. 115-144, March 2010. 

  6. Y. Jung and W. Park, "The impacts of screen quota in the screen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 14(12), pp. 217-223, Dec. 2009. 

  7. B.-H. Chang and E.-J. Ki, "Devising a Practical Model for Predicting Theatrical Movie Success: Focusing on the Experience Good Property," Journal of Media Economics, Vol. 18, pp. 247-269, Oct. 2005. 

  8. J. Prag and J. Casavant, "An Empirical Study of the Determinants of Revenues and Marketing Expenditures in the Motion Picture Industry,"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Vol. 18, pp. 217-235, Sep. 1994. 

  9. A. Elberse, "The Power of Stars: Do Star Actors Drive the Success of Movies?," Journal of Marketing, Vol. 71, pp. 102-120, Oct. 2007. 

  10. A. Elberse and J. Eliashberg, "Demanding and Supply Dynamics for Sequentially Released Products in International Markets: The Case of Motion Pictures," Marketing Science, Vol. 22, pp. 329-354, April 2003. 

  11. B. R. Litman and L. S. Kohl, "Predicting financial success of motion pictures: The'80s experience," Journal of Media Economics, Vol. 2, pp. 35-50, Feb. 1989. 

  12. B. R. Litman, "Predicting Success of Theatrical Movies: An Empirical Study," Journal of Popular Culture, Vol. 16, pp. 159-175, March 1998. 

  13. J. Eliashberg and S. Sugan, "Film Critics: Influence or Predictors," Journal of Marketing, Vol. 61, pp. 61-68, May 1997. 

  14. W. T. Wallace, A. Seigerman, and M. Holbrook, "The Role of Actors and Actresses in the Success of Films: How Much is a Movie Star Worth?,"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Vol. 17, pp. 1-27, June 1993. 

  15. S.-H. Park and W.-K. Jung, "The Determinants of Motion Picture Box Office Performance: Evidence from Movies Released in Korea, 2006-2008,"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Vol. 9, pp. 243-276, Dec. 2009. 

  16. H. Y. Jeong and H. J. Yang, "Predicting Financial Success of a Movie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ference of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 21, pp. 275-278, July 2013. 

  17. W. Duan, B. Gu, and A. B. Whinston, "The Dynamics of Online Word-of-Mouth and Product Sales: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Movie Industry," Journal of Retailing, Vol. 84, pp. 233-242, June 2008. 

  18. Y. Liu, "Word of Mouth for Movies: Its Dynamics and Impact on Box Office Revenue," Journal of Marketing, Vol. 70, Jan. 2006. 

  19. E.-M. Kim, "The Determinants of Motion Picture Box Office Performance: Evidence from Movies Exhibited in Korea,"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47, pp. 190-220, April 2003. 

  20. J. M. Ko, "Research on the Financial Success of Korean Films " Media Economics and Culture, Vol. 6, pp. 7-39, Nov. 2008. 

  21. W. K. Chung, "Analysis of Success of Animation in Korean Motion Picture Industry: 2006-2011," Cartoon Animation Research, Vol. 16, pp. 21-32, March 2009. 

  22. J. Kwon and B. Hong, "The Determinants of Animation Movies" Box Office Performance: Evidence from Movies Released in 2004 -2011 in Korea," Culture Industry Research, Vol. 12, pp. 93-106, March 2012. 

  23. H. D. Kim, "Exploratory Analysis of the Success of Korean and the US Films in Korean Film Industry with Social Network Analysis Approach," The Korean Journal of Animation, Vol. 10, pp. 120-142, Dec. 2014. 

  24. K. T. Im, "A Thesis on Globalization of Japanese Poplular Culture," Korean Journal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Vol. 55, pp. 259-281, Dec. 2012. 

  25. M. N. Seong, "Analysis of Competitiveness of Japanese Animation Industry," Academic Association of Global Cultural Contents, pp. 101-137, June 2011. 

  26. G. Ren and W. Jin, "The Comparison of Animation Industries of US, Japan, South Korea And China,"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ogistics Systems and Intelligent Management, 2010, pp. 1901-1904, J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