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후 6개월 이내 산모의 수면의 질, 산후 피로도 및 산후 우울
Sleep Quality, Fatigue, and Postpartum Depression of Mother at Six Months after Delivery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0 no.4, 2014년, pp.266 - 276  

김미은 (을지대학병원) ,  허명행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rrelation study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sleep quality, fatigue, and postnatal depression in mothers who have given birth during the past 6 month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survey with questionnaires to 329 mothers who visited E University Medic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산후 6개월 이내 산모의 수면의 질과 산후 피로도가 산후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산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정신적 피로, 수면의 질, 출산 횟수, 신경 ‧ 감각적 피로이었다.
  • 본 연구는 출산 후 6개월 이내에 산모를 대상으로 한 수면의 질, 산후 피로 및 산후 우울에 관한 횡단적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 앞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산후 우울은 국외보다 국내에서 유병률이 높으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현 가능성이 있다. 특히 출산 후 산모의 낮은 수면의 질과 산후에 발생하는 피로는 산후 우울에 가장 영향력이 있는 요인이라 생각되지만, 세 가지 변수의 관계의 명확성에 관한 선행연구가 많지 않으므로 본 연구는 출산 후 6개월 이내 산모를 대상으로 수면의 질과 산후 피로 및 산후 우울을 파악하고 그 변수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관계를 규명하여 간호중재와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의 높은 우울증 이환율의 이유는 무엇인가? 우울증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2배 정도 높은 유병률을 보인다. 여성의 높은 우울증 이환율은 사춘기 이후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월경 주기와 생애에 걸쳐서는 임신, 수유 등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성선 호르몬의 변동을 겪기 때문이다. 특히 많은 여성들은 임신과 출산이라는 일생에서 의미 있는 생활 사건을 통해 극적인 호르몬의 변화를 경험하므로 산후 우울이 흔히 발병하게 된다[1].
우울증의 남녀 유병률 차이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우울증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2배 정도 높은 유병률을 보인다. 여성의 높은 우울증 이환율은 사춘기 이후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월경 주기와 생애에 걸쳐서는 임신, 수유 등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성선 호르몬의 변동을 겪기 때문이다.
산후 우울이 있는 산모의 부족한 아기와의 상호작용이 아기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또한 산후 우울이 있는 산모는 모유 수유를 어렵게 여기거나 모유 수유를 하더라도 일찍 중단하게 되고, 아기와의 상호 작용이 결여되거나 단절되어 아기 돌보는 것을 스트레스원으로 받아들이게 된다[3]. 그 결과 모아간 불안정한 애착 형성과 상호작용의 결핍으로 영아는 행동 장애, 인지 장애, 정서적·사회적 발달 장애를 겪게 될 수 있다[4]. 산후 우울은 가족 관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산후 우울증을 경험하는 여성의 배우자는 임상적으로 우울하고, 부부 사이에 긴장이 지속되어 가족관계에 어려움을 호소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ark WM, Min KJ. Text book of depressive disorders. Sigma Press. Seoul. 2012:295-300. 

  2. Halbreich U, Karkun S. Cross-cultural and social diversity of prevalence of postpartum depression and 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06;91(2-3):97-111. 

  3. Stewart RC. Maternal depression and infant growth-a review of recent evidence. Maternal & Child Nutrition. 2007;3(2):94-107. 

  4. Avan B, Richter LM, Ramchandani PG, Norris SA, Stein A. Maternal postnatal depression and children's growth and behaviour during the early years of life: exploring the interaction between physical and mental health.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2010;95(9):690-695. 

  5. Wee KY, Skouteris H, Pier C, Richardson B, Milgrom J. Correlates of ante-and postnatal depression in father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11;130(3):358-377. 

  6. Wolf AW, De Andraca I, Lozoff B. Maternal depression in three Latin American samples.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2002;37(4):169-176. 

  7. Cho EJ. Subjective sleep quality in depressed and non-depressed mothers during the late postpartum period.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9;15(2):108-120. 

  8. Bozoky I, Corwin EJ. Fatigue as a predictor of postpartum depression.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2002;31(4):436-443. 

  9. Dennis CL, Ross L. Relationships among infant sleep patterns, maternal fatigue, and development of depressive symptomatology. Birth. 2005;32(3):187-193. 

  10. Jung MH, Kim JI.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prenatal emotional status, preparation for delivery, postpartum social support and postpartum blue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5;11(1):38-45. 

  11. Lancaster CA, Gold KJ, Flynn HA, Yoo H, Marcus SM, Davis MM. Risk factors for depressive symptoms during pregnancy: a systematic review.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0;202(1):5-14. 

  12. Signal TL, Gander PH, Sangalli MR, Travier N, Firestone RT, Tuohy JF. Sleep duration and quality in healthy nulliparous and multiparous women across pregnancy and postpartum.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7;47(1):16-22. 

  13. Ford DE, Cooper-Patrick L. Sleep disturbances and mood disorders: An epidemiologic perspective. Depress Anxiety. 2001;14(1):3-6. 

  14. Ross LE, Murray BJ, Steiner M. Sleep and perinatal mood disorders: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Psychiatry and Neuroscience. 2005;30(4):247-256. 

  15. Corwin EJ, Brownstead J, Barton N, Heckard S, Morin K. The impact of fatigue on the development of postpartum depression.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2005;34(5):577-586. 

  16. Rychnovsky J, Hunter LP.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characteristics and fatigue in healthy postpartum women. Women's Health Issues. 2009;19(1):38-44. 

  17. Reeves N, Potempa K, Gallo A. Fatigue in early pregnancy: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Nurse-midwifery. 1991;36(5):303-309. 

  18. Snyder-Halpern R, Verran JA. Instrumentation to describe subjective sleep characteristics in healthy subject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987;10(3):155-163. 

  19. Kim KS. The effect of preparatory audiovisual information with videotape influencing on sleep and anxiety of abdominal surgical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994;1(1):19-36. 

  20. Pugh LC. Childbirth and the measurement of fatigu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993;1(1):57-66. 

  21. Song JE. A comparative study on the level of postpartum women's fatigue between rooming-in and non rooming-in group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1;7(3):241-255. 

  22. Cox JL, Holden JM, Sagovsky R. Detection of postnatal depression. Development of the 10-item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987;150:782-786. 

  23. Han K, Kim M, Park J. The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 reliability and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2004;10(2):202-207. 

  24. Park JW.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1985. 

  25. Hedman C, Pohjasvaara T, Tolonen U, Suhonen-Malm AS, Myllyla VV. Effects of pregnancy on mothers' sleep. Sleep Medicine. 2002;3(1):37-42. 

  26. Kempler L, Sharpe L, Bartlett D. Sleep education during pregnancy for new mothers. BMC Pregnancy and Childbirth. 2012;12(1):155. 

  27. Choi SY, Gu HJ, Ryu EJ. Effects of fatigue and postpartum depression on maternal perceived quality of life (MAPP-QOL) in early postpartum mother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1;17(2):118-125. 

  28. Song JE. Predictors of postpartum fatigue between early and late postpartum period in parturient women: divided by 3/4 weeks of postpartum period.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7;13(4):299-309. 

  29.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Prevalence of self-reported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17 states, 2004-2005.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2008;57(14):361-366. 

  30. Jang EJ. Psychosocial and obstetric factors associated with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master's thesis]. Gyeongju: Donggu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