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얼갈이 배추와 열무에 엽면 살포된 농약의 김치 제조 및 김치냉장고 저장에 의한 변화
Change of Pesticide Residues In Field-sprayed Young Chinese Cabbages and Young Radishes During Kimchi Preparation and Storage in Kimchi Fridge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8 no.4, 2014년, pp.221 - 227  

권혜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손경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김택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홍수명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조남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얼갈이 배추와 열무를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하여 안전사용기준을 준수하여 농약을 살포하고(얼갈이배추: diazinon EC, dimethomorph WP, imidacloprid WP, 열무: diazinon EC, imidacloprid WP, procymidone WP) 수확한 후 김치로 제조하고 67일 동안 $-1.8^{\circ}C$의 김치냉장고에 저장하면서 잔류농약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얼갈이 배추의 김치 담금 및 저장에 의한 잔류농약 제거율을 살펴보면 절임 및 세척시 31~52%, 양념 첨가시 57~74%, 상온에서 14시간 숙성시 61~76%, 김치냉장고 저장 39일차에 70~82%의 제거율을 보였고 이후로는 변화가 없었다. 열무의 경우 양념 첨가시 57~85%, 상온에서 17시간 숙성시 59~86%, 김치냉장고 저장에 11일째에 74~91%의 잔류농약이 제거된 이후 변화가 없었는데 이는 절임과 세척 과정이 저장기간 동안의 발효 과정보다 더 효과적으로 농약을 제거했음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change of pesticide residues in young Chinese cabbages and young radishes sprayed with pesticides (young Chinese cabbage: diazinon EC, dimethomorph WP and imidacloprid WP, young radish: diazinon EC, imidacloprid WP and procymidone WP) during Kimchi preparation and s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각 시료를 잔류농약의 분석에 적합한 무게로(무세척: 20~50 g, 세척시료 : 20~150 g, 김치: 100~250 g) 500 mL 톨비이커에 취하고 acetone 100~150 mL를 가하여 균질기(DI 25basic; IKA®-WERKE GmbH & Co. KG, Staufen, Germany)로 균질화하고 여지(No. 2)에 celite545를 깔아둔 Büchner funnel에서 감압여과 하였다.
  • 1℃인 김치냉장고(LG딤채, DC-R2227DCG)에서 67일간 저장하였다. 김치시료는 양념첨가 후, 14시간 상온 숙성 후, 저장 4일, 11일, 18일, 25일, 39일, 53일, 67일째에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첨가한 양념은 실험 농약 성분을 검사하여 실험 농약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였다.
  •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하절기에 재배하여 김치를 제조하여 먹는 얼갈이 배추와 열무를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하여 안전사용기준을 준수하여 농약을 살포하고 수확한 후 김치로 제조하고 김치냉장고에 67일 동안 보관하면서 잔류농약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 약제살포는 약제를 표준희석배수로 희석하여 배부식 분무기를 사용하여 Table 1과 같이 작물별 안전사용기준을 준수하여 7일 간격으로 살포하였다. 미등록 농약의 경우 7일전에 1회만 살포한 후 수확하였다.
  • 미등록 농약의 경우 7일전에 1회만 살포한 후 수확하였다. 얼갈이 배추의 경우 제형에 따른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유제(diazinon)와 수화제(imidacloprid, dimethomorph) 처리구를 따로 두었으며 열무의 경우 시험포장 및 김치냉장고 보관 공간 등 시험여건을 고려하여 한 개의 처리구에 농약을 혼합 살포하여 시료로 이용하였다. 처리구는 3반복으로 하였으며 약제살포 및 시료채취 시기는 얼갈이배추는 6월 8일~6월 22일, 열무는 6월 2일~6월 16일이었다.
  • 얼갈이배추 김치와 열무김치의 pH 측정을 위하여 pH meter (Corning Pinnacle 540; Corning, Inc., NY, USA)를 이용하였다.
  • 1℃인 김치냉장고(LG딤채, DC-R2227DCG)에서 67일간 저장하였다. 열무김치 시료는 양념첨가 후, 17시간 상온숙성 후, 저장 4일, 11일, 18일, 25일, 39일, 53일, 67일째에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첨가한 양념은 실험 농약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였다.
  • 잔류분석법의 효율을 검증하기 위하여 각 농약성분의 검출한계수준을 고려하여 무처리 시료에 각 용매에 녹인 표준품을 두 수준의 농도로 첨가하여 잘 혼합하고 1시간 이상 방치한 후 상기 각 분석방법별로 추출 및 정제하고 분석하여 회수율을 산출하였다.
  • 절인 열무에 양념을 첨가하여(절인 열무 100 g당 마늘 3.0 g, 생강 1.5 g, 파 8.0 g, 고춧가루 4.3 g, 멸치액젓 6.3 g((주) 해찬들), 풋고추 7.0 g의 비율) 혼합하여 열무김치를 제조한 후 2.4 L통에 각각 2 kg씩 넣어 상온에서 17시간 숙성시킨 후 온도조건이 −1.8 ± 0.1℃인 김치냉장고(LG딤채, DC-R2227DCG)에서 67일간 저장하였다.
  • 절인배추는 양념을 첨가하여(절인배추100 g당 마늘 3.7 g, 생강 1.5 g, 파 5.1 g, 고춧가루 4.8 g, 멸치액젓 6.2 g((주)해찬들), 녹말풀 8.0 g(찹쌀 :풀-1 : 9)의 비율) 잘 버무려 얼갈이배추 김치를 제조한 후 2.4 L 통에 각각 2 kg씩 넣어 상온에서 14시간 숙성시켜서 −1.8 ± 0.1℃인 김치냉장고(LG딤채, DC-R2227DCG)에서 67일간 저장하였다.
  • 얼갈이 배추의 경우 제형에 따른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유제(diazinon)와 수화제(imidacloprid, dimethomorph) 처리구를 따로 두었으며 열무의 경우 시험포장 및 김치냉장고 보관 공간 등 시험여건을 고려하여 한 개의 처리구에 농약을 혼합 살포하여 시료로 이용하였다. 처리구는 3반복으로 하였으며 약제살포 및 시료채취 시기는 얼갈이배추는 6월 8일~6월 22일, 열무는 6월 2일~6월 16일이었다.
  • 김치시료는 양념첨가 후, 14시간 상온 숙성 후, 저장 4일, 11일, 18일, 25일, 39일, 53일, 67일째에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첨가한 양념은 실험 농약 성분을 검사하여 실험 농약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였다.
  • 1에 흐름도로 나타냈다. 크기가 비슷한 것을 선별한 뒤 시든 잎을 떼어내고 1반복의 시료당 18 kg의 얼갈이 배추를 4~5 cm 길이로 썬 후 7% 소금물 36 L에 1시간 동안 담가 절인 후 75 L의 물에 1분간 흔들어 세척하고 바구니에 받쳐서 1시간 동안 탈수하였다. 절인배추는 양념을 첨가하여(절인배추100 g당 마늘 3.
  • 크기와 모양새가 비슷한 것을 선별한 후 열무의 밑동을 다듬고 1반복의 시료당 18 kg의 열무를 4~5 cm 길이로 잘라 36 L의 7% 소금물에 2시간 동안 절인 후 75 L의 물에 1분 동안 흔들어 세척하고 1시간 동안 탈수하였다. 절인 열무에 양념을 첨가하여(절인 열무 100 g당 마늘 3.

대상 데이터

  • 시험농약은 각 작물에 등록된 농약들 중에서 약제간의 화학적 특성이 상이하도록 다이아지논 유제(a.i. 34%), 이미다클로프리드 수화제(a.i. 4%), 디메토모르프 수화제(a.i. 15%)를 선정하였고, 아울러 미등록 농약이지만 잔류농약 검출빈도가 높은 농약(김 등, 2013; 한 등, 2012)인 프로사이미돈수화제(a.i. 50%)를 추가로 선정하여 시험에 사용하였으며 약제별 이화학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의 저자가 수행한 농약을 살포한 얼갈이 배추와 열무의 잔류농약 변화에 대한 조사 결과는? 8^{\circ}C$의 김치냉장고에 저장하면서 잔류농약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얼갈이 배추의 김치 담금 및 저장에 의한 잔류농약 제거율을 살펴보면 절임 및 세척시 31~52%, 양념 첨가시 57~74%, 상온에서 14시간 숙성시 61~76%, 김치냉장고 저장 39일차에 70~82%의 제거율을 보였고 이후로는 변화가 없었다. 열무의 경우 양념 첨가시 57~85%, 상온에서 17시간 숙성시 59~86%, 김치냉장고 저장에 11일째에 74~91%의 잔류농약이 제거된 이후 변화가 없었는데 이는 절임과 세척 과정이 저장기간 동안의 발효 과정보다 더 효과적으로 농약을 제거했음을 보여주었다.
농약을 살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농산물을 재배하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병해충의 방제를 위해 살포되는 농약은 농산물의 조리 과정을 통해 잔류량이 변화될 수 있다. 다양한 조리 방법 중에서 세척(Krol 등, 2000; Guardia-Rubio 등, 2007; Liang 등, 2012) 및 껍질 벗기기 (Awasthi, 1993; Hegazy 등, 1988) 등은 대표적인 잔류농약을 줄이는 조리 방법이다.
잔류농약을 줄이는 조리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농산물을 재배하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병해충의 방제를 위해 살포되는 농약은 농산물의 조리 과정을 통해 잔류량이 변화될 수 있다. 다양한 조리 방법 중에서 세척(Krol 등, 2000; Guardia-Rubio 등, 2007; Liang 등, 2012) 및 껍질 벗기기 (Awasthi, 1993; Hegazy 등, 1988) 등은 대표적인 잔류농약을 줄이는 조리 방법이다. 그러나 건조(Athanasopoulos 등, 2005; Cabras 등, 2005; 남 등, 2007) 또는 끓이기(Bonnechère 등, 2012; Elkins 등, 1972; Chavarri 등, 2005; Elkins 등, 1989) 등의 조리 방법은 가열에 의해 수분이 감소되므로 농약의 성질에 따라 잔류농도가 감소되거나 증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bou-Arab, A. A. K. (2002) Degradation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by meat starter in liquid media and fermented sausage. Food and Chemistry Toxicology, 40:33-41. 

  2. Awasthi, M. D. (1993) Decontamination of insecticide residues on mango by washing and peeling. Journal of Food Science Technology, 30:132-133. 

  3. Athanasopoulos, P. E., C. Pappas, N. V. Kyriakidis and A. Thanos (2005) Degradation of methamidophos on soultanina grapes on the vines and during refrigerated storage. Food Chemistry, 91:235-240. 

  4. Banna, A. A. and N. S. Kawar (1982) Behavior of parathion in apple juice processed into cider and vinegar.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Health Part B Pesticides Food Contaminants and Agricultural Wastes, 17(5):505-514. 

  5. Bonnechere A., V. Hanot, R. Jolie, M. Hendrickx, C. Bragard, T. Bedoret and J. V. Loco (2012) Effect of household and industrial processing on levels of five pesticide residues and two degradation products in spinach. Food Control, 25: 397-406. 

  6. Cabras P. and A. Angioni (2000) Pesticide residues in grapes, wine and their processing products. Journal of Agricultural Food and Chemistry, 48:967-973. 

  7. Cabras, P., A. Angioni, V. L. Garau, M. Melis, F. M. Pirisi and F. Cabitza (2005) Pesticide residues on field-sprayed apricots and in apricot drying processe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46:2306-2308. 

  8. Chavarri M. J., A. Herrera and A. Arino (2005) The decrease in pesticides in fruit and vegetables during commercial processing.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Science & Technology, 40:205-211. 

  9. Choi I. H., J. S. Noh, J. S. Han, H. J. Kim, E. S. Han and Y. O. Song (2013) Kimchi, a fermented vegetable, improves serum lipid profiles in healthy young adults: Randomized clinical trial. Journal Of Medicinal Food, 16:223-229. 

  10. Elkins E. R., R. P. Farrow and E. S. Kim (1972) The effect of heat processing and storage on pesticide residues in spinach and apricots. Journal of Agricultural Food and Chemistry, 20:286-291. 

  11. Elkins E. R. (1989) Effect of commercial processing on pesticide residues in selected fruits and vegetables.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72:533-536. 

  12. Guardia-Rubio M, M. J. Ayora-Canada and A. Ruiz-Medina (2007) Effect of Washing on Pesticide Residues in Olives. Journal of Food Science, 72:139-143. 

  13. Han S. H., S. K. Park, O. H. Kim, Y. H. Choi, H. J. Seoung, Y. J. Lee, J. H. Jung, Y. H. Kim, I. S. Yu, Y. K. Kim, K. Y. Han and Y. Z. Chae (2012)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commercial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northern area of Seoul,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6(2):109-120 

  14. Hegazy, M. E. A., M. Abdel-Razik, M. M. Diab and M. M. Abu-Zahw (1988) Sumithion residues on and in potato tubers. Annals of Agricultural Science-Cairo, 33:1291-1298. 

  15. Hwang L. H., I. S. Cho, M. J. Kim, T. H. Cho, Y. H. Park, H. W. Park, K. A. Park, H. J. Kim and M. S. Kim (2011) Removal of pesticide residue during the preparation of Baechu Kimchi and Perilla Leaf Pickle.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26(4):403-409 

  16. Jung J. K., S. Y. Park, S. H. Kim, J. M. Kang, J. Y. Yang, S. A. Kang, H. K. Chun and K. Y. Park (2009) Removal Effects of Bifenthrin and Metalaxyl Pesticides during Preparation and Fermentation of Baechu Kimch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8(9):1258-1264 

  17. Kim H. Y., S. Y. Lee, C. G. Kim, E. J. Choi, E. J. Lee, N. G. Jo, J. M. Lee and Y. H. Kim (2013) A Survey on the Pesticide Residues and Risk Assessment for Agricultural Products on the Markets in Incheon Area from 2010 to 2012.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2(1):61-69 

  18. Krol W. J., T. L. Arsenault, H. M. Pylypiw and M. J. Incorvia Mattina (2000) Reduction of Pesticide Residue on Produce by Rinsing. Journal of Agricultural Food and Chemistry, 48: 4666-4670. 

  19. Kwon H. Y., T. K. Kim, S. M. Hong, C. S. Kim, M. K. Baeck, D. H. Kim and K. A. Son (2013) Removal of Pesticide Residues in Field-sprayed Leafy Vegetables by Different Washing Method.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7(4):237-243 

  20. Lee E. Y., D. K. Kim, I. Y. Park, H. H. Noh, Y. S. Park, T. H. Kim, C. W. Jin, K. I. Kim, S. S. Yun, S. K. Oh and K. S. Kyung (2008) Residue Patterns of Indoxacarb and Thiamethoxam in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L.) Grown under Greenhouse Conditions and Their Estimated Daily Intak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7(1):92-98. 

  21. Lee M. G. and S. R. Lee (1997) Elimination of insecticide EPN residues during rice cooking and kimchi preparation.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6(1):39-43 

  22. Liang Y, W. Wang, Y. Shen, Y. Liu and X. J. Liu (2012) Effects of home preparation on organophosphorus pesticide residues in raw cucumber. Food Chemistry, 133:636-640. 

  23. Nam H. J., Y. J. Kwak, C. G. Kim, Y. S. Han, S. H, Oh, J. S. Jang, S. S. Lim, S. H. Kwon, S. E. Jang, E. Y. Yeo, E. J. Lee, S. S. Kim, S. W. Yoon, H. S. Park, J. M. Go and Y. H. Kim (2007) Residual patterns of pesticides on vegetables during drying process.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22(4):300-305. 

  24. Noh H. H., J. Y. Lee, S. H. Park, O. S. Jeong, J. H. Choi, A. S. Om and K. S. Kyung (2012) Residual characteristics and processing factors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 rotenone in chilli pepper.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6(4):302-307. 

  25. Pardez-Lopez, O., J. Gonzales-Casteneda and A. J Carabenz-Trejo (1991) Influence of solid substrate fermentation on the chemical composition. Journal of Fermentation and Bioengineering, 71:58-62. 

  26. Park J. A., P. B. Tirupathi Pichiah, J. J. Yu, S. H. Oh, J. I. Daily amd Y. S. Cha (2012) Anti-obesity effect of kimchi fermented with Weissella koreensis OK1-6 as starter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C57BL/6J mice.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113:1507-1516. 

  27. Park J. W., L. A. Joo and J. E. Kim (2002) Removal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during makig and fermentation of kimchi.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17(2):87-93 

  28. Ruediger, G. A., K. H. Pardon, A. N. Sas, P. W. Godden and A. P. Pollnitz (2005) Fate of pesticides during the winemaking process in relation to malolactic fermentatio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3:3023-3026. 

  29. Soliman K. M. (2001) Changes in concentration of pesticide residue in potatoes during washing and home preparation.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39:887-891. 

  30. Woo N., S. H. Ko and Y. J. Park (2013)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Vegetables Collected in Chungbuk, Korea.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26(4):865-878. 

  31. Yun S. J. (1989) The change of residual chlorpyrifos during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1(4):590-59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