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행자 우선도로 개선 사업으로 인한 교통사고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Traffic Accidents Around the Pedestrian Priority Zone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6 no.2, 2018년, pp.112 - 128  

장재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이영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김숙희 (수원시정연구원 안전환경연구실) ,  최회균 (협성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는 온실가스를 줄이고 보행자 중심의 친환경 도시를 지향하고자 일부지역에 보행자 우선지역을 시행하고 있다. 이는 대중교통 중심의 서비스 개선 및 여유로운 보행공간의 확보 측면에서 시민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친환경 교통수단의 도입으로 온실가스의 감축효과에 기여했다. 그러나 보행자 우선지역은 보행환경 개선 측면에는 영향력이 높지만 주변 교통흐름에는 악영향을 주는 만큼 시행에 따른 교통 환경 변화를 예측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수원시 행궁동 생태교통 지역을 중심으로 보행자 우선도로 시행에 따라 행사주변의 효과를 도출하기 위해 사전사후 평가를 활용한 교통사고 특성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보행자 우선도로는 보행자 중심으로 설계되어 운영되는 만큼 보행자 관련 사고는 줄었으나, 차량의 회전교통 제한에 따른 불법유턴 사고 및 속도 저하에 따른 신호위반 사고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지역에는 행사를 시행하기 전 운전자에게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며, 행사구역 인근에 본 연구 특성이 반영된 안전표지판 및 어플 정보를 제공하여 교통사고에 유념할 필요가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are implementing pedestrian priority zone policy to certain districts to reduce greenhouse gas and to develop eco-friendly city which has more focus on pedestrians' walking environment. This policy has contributed to citizens' satisfaction level with improved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as we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OECD의 ‘한국도로의 포용적 성장견인과 교통안전’ 보고서에 따르면 보행자가 시속 30km이하 차량과 부딪칠 경우 생존율이 90% 이상을 나타내며, 시속 45km를 기점으로 50% 이하의 안전성을 보인 만큼 보행자 우선도로를 통해 차량의 속도를 줄이거나 통행을 금지시켜 보행자 사고 및 치사율을 낮추는 것이 본 정책의 목적이다.
  • 본 연구는 보행자 우선도로 개선사업으로 인한 영향요소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 보행자 우선도로와 유사한 차없는 거리, 보행자 우선구역(보호구역), 보행자 전용도로 등을 포함하여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 본 연구는 보행자 우선도로 개선사업을 시행하기 전과 후의 특성변화를 비교하는 것으로 개선 사업화 된 주변에서 발생하는 사고특성의 변화를 분석한 뒤 시행에 따른 개선사항 및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보행자 우선도로 개선사업의 시행에 따라 사업지 주변 교통 환경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2013년 수원시 행궁동에서 시행한 생태교통지역을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이외 평가지표는 교통사고 특성변화의 사전사후분석을 기반으로 보행자 우선도로에 따른 인근 지역의 사고변화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보행자 우선도로 사업시행에 따른 인근지역의 효과분석을 시행했다는 점과 사업 전후의 교통사고 자료를 확보하여 비교분석 한 점에서 연구의 시사성을 찾을 수 있다.
  • 본 연구는 보행자 우선도로 사업시행으로 발생하는 외부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행사장 주변에서 일어나는 교통사고특성의 변화를 분석한 뒤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사고특성은 교통사고 성격의 변화를 평가지표로 선정하였고, 분석지역은 2013년 수원시 행궁동에서 시행한 생태교통 지역을 선정하였으며, 사업시행에 따른 영향권 범위는 생태교통 지역을 중심으로 반경 1km내 교차로를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 보행자 우선도로 행사로 발생 된 영향권 범위 내의 사고특성 변화가 행사특성(event)의 영향인지 또는 일반특성(General)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장안구 및 팔달구를 대상으로 사고특성분석을 동일하게 시행하였다. 즉, 행사구역의 인접지역을 비교분석하여 내부효과인지 외부효과인지를 판단하고자 하였다. 일반지역의 사전평가(befor)는 2010-2012년의 연간 평균사고건수, 사후평가(after)는 2014-2015년 연간 평균사고건수를 비교하였고, 행사지역도 동일한 자료를 기반으로 변화율을 분석하여 두 지역 간을 비교하였다.

가설 설정

  • 우선 Levene의 등분산 검정결과를 보면 유의확률이 0.05보다 적은 경우 두집단의 분산이 같다는 귀무가설이 기각되므로 두 집단은 등분산이라고 볼 수 없는 만큼 등분상이 가정되지 않음의 통계량을 살펴보았으며 반대로 0.05보다 큰 경우는 등분산이 가정됨의 통계량을 살펴보았다.
  • 두 지역은 수원시에서 대지면적, 세대수, 인구수, 자동차 등록대수 등이 상대적으로 적은 만큼 유사한 특성을 지닐 것으로 추정된다. 즉, 시대적 특성이 반영될 경우 본 행사지역과 유사한 토지특성 및 교통특성을 지닐 것으로 추정되는 인접지역(팔달구 및 장안구)에도 유사한 특성을 지닐 것이라는 가정 하에 비교군의 지역적인 범위는 Figure 3과 같이 선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행자 우선도로(지역), 대중교통 전용지구 등은 무엇을 위한 정책인가? 이처럼 우리나라는 보행자 우선도로(지역), 대중교통 전용지구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 중에 있으며 이는 탄소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목표도 함께 지닌 만큼 친환경 교통수단 도입 및 보행환경 개선을 통해 온실가스를 줄이고 대중교통 활성화 정책에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보행자 우선도로는 특정 구역 내를 중심으로 시행되는 만큼 행사구역 내에서는 보행환경 개선 및 교통사고 감소 등 안전개선 효과가 나타날 수 있으나, 행사구역 주변의 교통 환경은 어떻게 변화될 지 예측이 어렵다.
보행자 우선도로 사업 정책의 목적은 무엇인가? 보행자 우선도로란 대기오염, 교통문제, 교통사고, 에너지 및 삶의 질을 함께 생각하는 환경사업으로 특정 지역의 차량을 통제시켜 보행중심의 도로환경으로 운영한 뒤, 그 공간 속에는 각 종 공연 및 전시회 등이 펼쳐지는 행사장소를 말한다. OECD의 ‘한국도로의 포용적 성장견인과 교통안전’ 보고서에 따르면 보행자가 시속 30km이하 차량과 부딪칠 경우 생존율이 90% 이상을 나타내며, 시속 45km를 기점으로 50% 이하의 안전성을 보인 만큼 보행자 우선도로를 통해 차량의 속도를 줄이거나 통행을 금지시켜 보행자 사고 및 치사율을 낮추는 것이 본 정책의 목적이다. 서울시는 모든 시민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걷고 싶은 ‘보행친화 도시 서울’의 기반을 조성하여 보행자 사고를 줄이기 위해 관련 조례를 개선하고 있으며, 현재 81곳의 보행 전용거리를 2018년까지 141곳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Seoul city, 2016).
보행자 우선도로란? 정부는 보행자 교통사고를 줄이고자 서울시 및 지자체 일부에서 걷고 싶은 거리, 살기 좋은 도시, 초록빛 가득한 건강도시, 차 없는 거리 등의 이미지를 지닌 보행자 우선도로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보행자 우선도로란 대기오염, 교통문제, 교통사고, 에너지 및 삶의 질을 함께 생각하는 환경사업으로 특정 지역의 차량을 통제시켜 보행중심의 도로환경으로 운영한 뒤, 그 공간 속에는 각 종 공연 및 전시회 등이 펼쳐지는 행사장소를 말한다. OECD의 ‘한국도로의 포용적 성장견인과 교통안전’ 보고서에 따르면 보행자가 시속 30km이하 차량과 부딪칠 경우 생존율이 90% 이상을 나타내며, 시속 45km를 기점으로 50% 이하의 안전성을 보인 만큼 보행자 우선도로를 통해 차량의 속도를 줄이거나 통행을 금지시켜 보행자 사고 및 치사율을 낮추는 것이 본 정책의 목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hangari H., Garrick N., Atkinson-Palombo C. (2016), Relationship Between Human Capital and Transportation Sustainability or the United States and Selected European Countries,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598, 92-101. 

  2. Cevero R., Kockelman K. (1997), Travel Demand and the 3ds Density, Diversity, and Design,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2(3), 199-219. 

  3. Chanam L., Moudon A. V. (2006), Correlates of Walking for Transportation or Recreation Purposes, Journal of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3(1), 77-98. 

  4. Chanam L., Vernez M. A. (2006), Quantifying Land Use and Urban Form correlates of Walking,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11(3), 204-215. 

  5. Helbing D. (2001), Traffic and Related Self-driven Many-particle Systems, American Physical Society, 73(4), 1067-141. 

  6. Jaskiewicz F. (2000), Pedestrian Level of Service Based on Trip Quality, Transportation Research Circular, 501, 1-14. 

  7. Kim J. H., Ha D. I., Park M. C., Song W. C., Ha T. J. (2017), Analysis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in Pedestrian Protection Area: Focusing on Variable Speed Limit Signs and Beacons,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16(5), 121-133. 

  8. Kim J. H., Kim S. H. (2017), Evaluation Scheme for EcoMobility Policy Based on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AHP and ANP, J. Korean Soc. Transp., 35(3),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83-196. 

  9. Kim S. H., Lee K. J., Choi K. C. (2014), A Study on Assessment Indicator of Walking Environment Considering Land Use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4(3), 931-938. 

  10. Kim Y. M., Park J. J., Lee J. Y., Ha T. J. (2014), Methodology of Selecting Criteria for Pedestrian only Stree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6(5), 867-879. 

  11. Kim Y. S. (2017), A study on impact Analysis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in School Zones on Traffic Accidents, Ajou University, Academic Thesis. 

  12.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2010-2016), Accident Data in Suwon. 

  13. Min H. S., Ye H. J. (2012), Evaluating and Improving the Car-free Street Business, The Seoul Institute, Policy Reporter, 131. 

  1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 Guide to New Transportation Selection Guidelines. 

  15. Money Today (2015), Elderly Driver Accidents Increas, Realistic Measures?, http://www.lifentalk.com/1024 

  16. News One (2016), Increased use of public bicycles, http://news1.kr/articles/?2690739 

  17. NEWSIS (2016) Korea Pedestrian Traffic Accident Deaths the Most Among OECD,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 l/?ar_idNI SX20160501_0014056992&cID10201&pID10200 

  18.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2016), The Inclusive Growth Traction and Traffic Safety of Korean Roads, Report. 

  19. Park B. C., Jeong H. T., Goh S. L., Ahn J. R. (2009), Revitalization of the Existing Commercial Street Area by Pdestrianonly Street - The Case in Jin-Ju City,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1(02), 135-144. 

  20. Seo J. M. (2016), A Study on the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Influencing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The Case of Seoul, Hanyang University, Academic Thesis. 

  21. Suwon City (2013), The 53rd Suwon Statistics Report. 

  22. World News (2016), Walking Safety' OECD's Most Vulnerable South Korea,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6/09/22/20160922003602.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