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적측량수행자의 업무영역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Plans for Working Area of Cadastral Surveyo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1, 2014년, pp.237 - 242  

홍성언 (청주대학교 지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지적측량수행자의 개방 업무 현황 및 실태 등을 분석하여 지적측량수행자의 업무수행 영역에 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보고자 하였다. 연구성과는 다음과 같다. 현황 및 실태 분석된 내용을 토대로 지적측량수행자 업무영역의 개선방안으로서 지적확정측량 대상 범위의 확충, 지적확정측량업무의 참여 기준 완화 그리고 지적재조사사업에 있어 지적측량업자의 폭넓은 참여 기회 제공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토교통부에서는 지적측량수행자 업무영역의 개선방안에 대해 다방면으로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지적측량시장 여건을 조성할 수 있도록 입법정책적 개선을 시도한다면 지적측량수행자간의 공생적 발전을 이룰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analyze open work status and conditions of cadastral surveyors and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working area of cadastral surveyors. The results are as below.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expansion of confirmation surveying for cadastral target range, ease of confir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민간개방 지적측량업무 가운데 지적확정측량 업무 수행 실태를 분석해 보았다. 지적확정측량은 이미 수치지역으로 전환이 이루어진 지역에서의 지적측량이 이루어지는 업무와는 달리 대단위 도시개발사업에 따라 수치지역으로 전환을 이루기 위한 측량업무이다.
  • 본 연구에서는 이상과 같이 파악된 지적측량수행자 및 개방 업무영역 현황을 토대로 개방업무 영역에서의 지적측량수행자간의 업무수행 실태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민간개방 지적측량업무 가운데 수치측량의 수행 실태, 민간개방 지적측량업무 가운데 지적확정측량의 수행 실태, 지적측량업자의 업무 수주 실태, 개방 업무에 대한 지적측량수행자의 업무수행 방식 등을 분석해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지적측량수행자의 개방 업무 현황 및 실태 등을 분석하여 지적측량수행자의 원만한 업무수행이 도모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봄으로써 지적측량수행자간의 합리적인 상생을 도모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성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지적측량수행자의 개방 업무 현황 및 실태 등을 분석하여 지적측량수행자의 원만한 업무수행이 도모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봄으로써 지적측량수행자간의 합리적인 상생을 도모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적측량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지적측량은 크게 도해지적측량과 수치지적측량으로 구분된다[2,3]. 두 측량 방식은 필지경계점의 위치정보를 취득․관리하는 방식 자체에서 근본적인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성과를 결정함에 있어서도 근본적인 차이를 보이게 된다.
지적측량업의 등록 기준은 어떻게 되는가? 지적측량업을 하려는 자는 일정한 기술인력ㆍ장비 등의 등록기준을 갖추어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시ㆍ도지사에게 등록하여야 한다. 지적측량업의 등록 기준은 측수지법 제44조에 따라 특급기술자 1명 또는 고급기술자 2명 이상, 중급기술자 2명 이상, 초급기술자 1명 이상, 지적 분야의 초급기능사 1명 이상이 되어야 한다. 지적측량 장비의 구비 조건은 토털스테이션 1대 이상, 자동제도장치 1대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도해지적측량과 수치지적측량의 특징에 관해 설명하시오. 지적측량은 크게 도해지적측량과 수치지적측량으로 구분된다[2,3]. 두 측량 방식은 필지경계점의 위치정보를 취득․관리하는 방식 자체에서 근본적인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성과를 결정함에 있어서도 근본적인 차이를 보이게 된다. 즉 수치지적측량에서의 성과결정은 측량 이론에 기초하여 어느 지역 토지(필지)의 경계점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원점으로부터 전게되는 기준점 측량이 수행된 이후 필지 경계점 측량이 진행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최종 필지의 위치는 축척의 개념없이 1:1의 X, Y좌표로 결정된다. 각각의 단계마다 정확한 기준점이 설치되고 이 기준점에 장비를 설치한 후 정확하게 수치로 각과 거리를 측량하여 일필지 경계점의 위치를 결정하게 됨으로 어느 측량사가 측량을 해도 성과의 차이는 거의 없다(오차 범위내). 이처럼 시행되고 있는 지역이 수치지역(경계점좌표등록부 시행지역)으로 정확하게 좌표로 관리되고 있는 지역이다[4]. 반면, 도해지적측량에서의 성과결정은 주로 현형법(주변 현황과의 부합 여부에 기초한 위치결정)에 의해 성과를 결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해지적측량은 수치지적측량과는 다르게 측량의 기초 이론에 입각한 측량이기 보다는 주변의 현황에 맞춰 대상 필지의 위치를 결정된다[4]. 이렇게 도해지적측량의 성과결정은 정확하게 수치(좌표)로 결정되기 못하기 때문에 수치지적측량과는 상대적으로 성과결정에 있어 일률성과 정확성이 저하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Jeong, Jong Da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Operation System for Cadastral Survey, Master's degree, Myong-ji University, 2009. 

  2. Kang, Tae Seok, Introduction to Cadastral Surveying, Hyung Seul, Inc, 2000. 

  3. Kang, Tae Hawan, Cadastral Surveying, hanol, Inc, 2005. 

  4. Korea Cadastral Survey Corporation(Cadastral Research Institute), A Study on the Decision Making of Cadastral Surveying Result, 2010 

  5. Lee, Jae Hyuk, Hong, Sung Eon, Lee, Hyun Joon, Prevention of Outflow of Cadastral Technique and Protection Plan Subsequent to Environmental Change of Cadastral Surveying, The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ssociation of Korea, Vol.6, No.1, pp. 33-50, 2008. 

  6. Lim, Lee Taek, Kwak, Jeong Wan, The Promising Direction for Improving Cadastral Surveying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adastre, Vol.23, No.1, pp. 89-110, 2007. 

  7. Moon, Jin Ho, Cha, Young Gyun, Lee, Beom Gwan, A Study on the Problems & Solution of the Cadastral Surveyor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adastre, Vol.23, No.1, pp. 179-190, 2007. 

  8. Park, Hyo Young, Improvement of Non-Exclusive Cadastral Confirmation Surveying, Master's degree, Myong-ji University, 2011. 

  9. Yoo, Seg Gu,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Korean Cadastral Surveying Corpo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Cadastral Surveying Market, Master's degree, Kyungil University, 2008. 

  10. www.lx.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