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뇌졸중 환자의 열린사슬운동과 닫힌사슬운동이 하지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losed and Open Kinetic Chain Exercises on Lower Limb Muscle Activ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2 no.4, 2014년, pp.49 - 58  

김지환 (경남정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정성화 (경남정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이건철 (경남정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effects on resistance CKC & OCK exercise method on lower limb muscle activ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Method : In this study, 18 patients with stroke caused by hemorrhage or infarction were participated. resistance exercise method was co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저항운동의 방법을 운동학적으로 닫힌 사슬 운동과 열린 사슬 운동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운동방법이 만성 뇌졸중환자의 하지 근 활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만성 뇌졸중 환자의 임상 치료에 있어 더욱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최근 많은 연구에서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도 근 약화는 변화될 수 있다는 근거가 제시되고 있고, 근력 증진을 위한 저항운동이 근력 향상의 효과뿐만 아니라, 기능적인 동작 수행에도 도움이 되며(Badics 등, 2002; Bourbonnais 등, 2002; Kim & Eng, 2003; Patten 등, 2004; van de Port 등, 2007; Weiss 등, 2000), 저항운동을 포함한 여러 가지 강도의 근력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재활 치료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Cramp 등, 2006; Lee 등, 2008; Moreland 등, 2003). 이에 본 연구는 저항운동의 방법을 운동학적으로 닫힌 사슬운동과 열린 사슬 운동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운동 방법이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활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뇌졸중 환자의 임상 치료에 있어 더욱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 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CKC 방법의 하지 저항운동이 운동 전/후 근활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은 음성징후(negative sign)와 양성징후(positive sign)로 나눌 수 있는 상위운동신경원 증후군이다(Canning 등, 2004). 양성징후는 신경계, 근육, 연부조직이 일차적 손상에 대한 적응의 결과로서 비정상적 패턴의 움직임과 과 긴장을 유발하는 현상이며, 신경계의 일차적 손상으로 나타나는 임성징후는 근 동원순서의 변화, 근 활성율 및 운동단위 활성화의 저하로 인해 발생하는 근 약화이다(Shepherd, 2001).
음성징후(negative sign)와 양성징후(positive sign)란 무엇인가? 뇌졸중은 음성징후(negative sign)와 양성징후(positive sign)로 나눌 수 있는 상위운동신경원 증후군이다(Canning 등, 2004). 양성징후는 신경계, 근육, 연부조직이 일차적 손상에 대한 적응의 결과로서 비정상적 패턴의 움직임과 과 긴장을 유발하는 현상이며, 신경계의 일차적 손상으로 나타나는 임성징후는 근 동원순서의 변화, 근 활성율 및 운동단위 활성화의 저하로 인해 발생하는 근 약화이다(Shepherd, 2001).
닫힌 사슬 운동이란 무엇인가? 닫힌 사슬 운동은 사지의 원위부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근위부와 원위부에서 저항을 동시에 적용할 때 일어나는 운동으로 동적인 근육의 안정성을 위한 동시 수축으로 원심성 수축이 우세하며, 관절 압박력으로 전단력을 감소시켜 관절의 안정성을 주고, 기계적 수용기는 관절낭의 압력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고유 수용성 감각을 촉진한다(Prentice, 2012). 한편, 열린 사슬 운동은 사지의 원위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이고 근위부에서는 고정된 상태에서 운동을 시행하는 방법으로 관절가동범위가 제한된 환자의 근력강화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김연주, 2007; 장재원,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김연주(2007). 닫힌 사슬 운동이 전십자인대 재건술 환자의 슬관절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권순복(2005). 십자인대 재건술 후 닫힌 사슬운동과 열린 사슬운동의 효과.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권유정(2009). 열린 사슬과 닫힌 사슬 운동이 정상 성인의 동적 균형 능력과 근활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장재원(2004). 개방역학운동과 폐쇄역학운동 시 대퇴사두근의 근활성도 변화 : 축구선수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의용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조정희(2001). 등장성 운동을 통한 폐쇄역학운동과 개방 역학운동의 근활성도 분석.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Badics E, Wittmann A, Rupp M et al(2002). Systematic muscle building exercises in the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Neurorehabil, 17(3), 211-214. 

  7. Basmaliams JV, De Luca CJ(1985). Muscle alive. 4th ed, Baltmore, Williams & Wilkins. 

  8. Bohannon RW, Walsh S(1992). Nature, reliability, and predictive value of muscle performance measures in patients with hemiparesis following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73(8), 721-725. 

  9. Bourbonnais D, Bilodeau S, Lepage Y et al(2002). Effect of force-feedback treatments in patients with chronic motor deficits after a stroke. Am J Phys Med Rehabil, 81(12), 890-897. 

  10. Canning CG, Ada L, Adams R et al(2004). Loss of strength contributes more to physical disability after stroke than loss of dexterity. Clin Rehabil, 18(3), 300-308. 

  11. Cramp MC, Greenwood RJ, Gill M et al(2006). Low intensity strength training for ambulatory stroke patients. Disabil Rehabil, 28(13-14), 883-889. 

  12. Davies JM, Mayston MJ, Newham DJ(1996). Electrical and mechanical output of the knee muscles during isometirc and iso kinetic activity in stroke and healthy adults. Disabil Rehabil, 18(2), 83-90. 

  13. Dennis MS, Burn JP, Sandercock PA et al(1993). Long-term suvival after first-ever stroke: the Oxfordshire Community Stroke Project. Stroke, 24(6), 796-800. 

  14. Duncan PW, Horner RD, Reker DM et al(2002). Adherence to postacute rehabilitation guidelines is associated with functional recovery in stroke. Stroke, 33(1), 167-177. 

  15. Hislop HJ, Montgomery J, Connelly B et al(1995). Daniels and Worthingham's Muscle Testing. 6th ed, Philadelphia, WB. Saunders. 

  16. Kim CM, Eng JJ(2003). The relationship of lowerextremity muscle torque to locomotor performance in people with stroke. Phys Ther, 83(1), 49-57. 

  17. Krebs DE, Scarborough DM, McGibbon CA(2007). Functional vs. strength training in disabled elderly outpatients. Am J Phys Med Rehabil, 86(2), 93-103. 

  18. Lee MJ, Kilbreath SL, Singh MF et al(2008). Comparion of effect of aerobic cycle training and progressive resistance training on walking ability after stroke: a randomized sham exercise-controlled study. J Am Geriatr Soc, 56(6), 976-985. 

  19. Mathiassen SE, Winkel J, Hagg GM(1995). Nomaluzation of surface EMG amplitude from the Upper Trapezius Muscle in ergonomic studies- a review. J Electromyogr kinesiol, 5(4), 197-226. 

  20. Moreland JD, Goldsmith CH, Huijbregts MP et al(2003).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ening exercises after stroke: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84(10), 1433-1440. 

  21. Newham DJ, Hsiao SF(2001). Knee muscle isometric strength, voluntary activation and antagonist cocontraction in the first six months after stroke. Disabil Rehabil, 23(9), 379-386. 

  22. Ng JK, Richardson CA, Parnianpour M et al(2002). EMG activity of trunk muscles and torque output during isometric axial rotation exertion; a cornparison between back pain patients and matched controls. J Orthop Res, 20(1), 112-121. 

  23. Nyland J, Kuzemchek S, Parks M et al(2004). Femoral anteversion influences vastus medialis and gluteus medius EMG amplitude; composite hip abductor EMG amplitude ratios during isometric combined hip abduction-external rotation. J Electromyogr Kinesiol, 14(2), 255-261. 

  24. Ouellette MM, LeBrasseur NK, Bean JF et al(2004). High-intensity resistance training improves muscle strength, self-reported function, and disability in long-term stroke survivors. Stroke, 35(6), 1404-1409. 

  25. Patten C, Lexell J, Brown HE(2004). Weakness and sstrength training in persons with poststroke hemiplegia: rationale, method, and efficacy. J Rehabil Res Dev, 41(3A), 293-312. 

  26. Prentice WE(2012). Rehabilitation technique in sports medicine. 5rd ed, New York, McGraw-Hill. 

  27. Ryan AS, Dobrovolny CL, Smith GV et al(2002). Hemiparetic muscle atrophy and increased intramuscular fat in stroke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83(12), 1703-1707. 

  28. Sharp SA, Brouwer BJ(1997).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of the hemiparetic knee: Effects on function and spasticity. Arch Phys Med Rehabil, 78(11), 1231-1236. 

  29. Shepherd RB(2001). Exercise and training to optimize functional motor performance in stroke: driving neural reorganization? Neural Plast, 8(1-2), 121-129. 

  30. Signoril JF, Kascik D, Perry A et al(1995). The Lower-Extremity weight-bearing activities. J Orthp Sports Phys Ther, 29(2), 93-104. 

  31. Turker KS(1993). Electromyography: Some methodological problems and issues. Phys Ther, 73(10), 698-710. 

  32. Van de Port IG, Wood-Dauphinee S, Lindeman E et al(2007).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programs on walking competency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Am J Phys Med Rehabil, 86(11), 935-951. 

  33. Weiss A, Suzuki T, Bean J et al(2000). High intensity strength training improves strength and functional performance after stroke. Am J Phys Med Rehabil, 79(4), 369-376. 

  34. Whitall J(2004). Stroke rehabilitation research: time to answer more specific questions? Neurorehabil Neural Repair, 18(1), 3-8. 

  35. Yang YR, Wang RY, Lin KH et al(2006). Task-oriented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 training improves muscle strength and functional performance in individuals with stroke. Clin Rehabil, 20(10), 860-87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