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김치는 살균공정 없이 유통되기 때문에 유통과정에서도 발효가 진행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김치의 산도가 계속 증가하여 김치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김치발효과정 중 과도한 산생성에 관여하는 균주선발과 더불어 이들 균주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항균활성을 지닌 균주를 김치로부터 선발하고자 하였다. 우선 김치과숙 관련 균주를 선발한 결과 Lb. plantarum 20-10, Lb. plantarum A-1, P. pentosaceus A-2, P. pentosaceus A-5, Lb. plantarum A-6, P. pentosaceus B-11로 동정이 되었다. 이들 균주를 억제할 수 있는 항균활성을 지닌 균주를 적숙기 김치로부터 선발한 결과 Lc. lactis, Lb. brevis 두 균주가 항균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균주의 김치 종균으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본 결과 모든 균주가 PH 3.5에서의 내산성, 3% NaCl에서의 내염성, $4^{\circ}C$에서의 생육가능성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iso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with antibacterial activity to extend kimchi shelf-life. Antibacterial activity was tested against bacteria associated with acidification of kimchi, including Lactobacillus plantarum, Pediococcus pentosaceus, and Lactobacillus sakei, 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선발된 항균활성이 우수한 균주가 김치 종균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김치발효 환경에 잘 적응해야 함으로 이들 균주의 내산성, 내염성, 저온생육 가능성을 분석해보았다. 식품공전에 따르면 냉장보관 제품의 보존온도는 0~10℃로 되어 있으며, 보통 상품김치의 유통온도는 10℃ 부근으로 알려져 있다.
  • sakei 두 균주 모두에 대해 생육억제능을 나타낸 보고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종균 관련 연구 결과들을 고려하여 김치의 저장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김치발효과정 중 과도한 산생성에 관여하는 균주를 지시균(indicator strain)으로 선정하고 지시균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항균활성을 지닌 균주를 적숙기 김치로부터 선발한 다음, 이들 균주 중 김치 환경의 특수성을 고려한 pH, 염도, 저온의 조건에서 잘 생육할 수 있는 균주를 최종적으로 선발하여 김치종균으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 김치는 살균공정 없이 유통되기 때문에 유통과정에서도 발효가 진행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김치의 산도가 계속 증가하여 김치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김치발효과정 중 과도한 산생성에 관여하는 균주 선발과 더불어 이들 균주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항균활성을 지닌 균주를 김치로부터 선발하고자 하였다. 우선 김치과 숙 관련 균주를 선발한 결과 Lb.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는 무엇인가? 김치는 절인 배추나 무, 오이 등의 주원료에 각종 양념을 혼합하여 일정기간 발효, 숙성시킨 한국의 중요한 전통 발효 식품으로 우리의 식생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식이다. 김치는 여러 가지 채소류를 이용하여 제조되는데 이러한 채소류에는 토양, 공기, 물 등으로부터 유래된 세균, 곰팡이, 효모 등의 여러 미생물들이 부착되어 있다.
김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는? 김치 발효단계에 따른 유산균 군집의 변화는 김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가 된다. Leuconostoc mesenteroides 등과 같은 hetero 발효형 유산균의 증식은 김치의 관능적 특성을 향상시켜 주지만 적숙기 이후 homo 발효형 유산균의 증식은 김치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한국의 중요한 전통 발효 식품인 김치의 품질 균일화를 위해 조절되어야 하는 변수는 무엇인가? 최근 들어 상품김치의 소비가 점차 늘어나고 있으나 김치의 상품화에 있어 품질 균일화나 품질유지기한 연장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남아 있다. 품질 균일화를 위해서는 품종, 절임 방법, 양념 혼합, 숙성 방법 및 미생물 발효 패턴 조절 등 많은 변수가 조절되어야 한다. 이 중 제조 공정 관리 부분은 현재까지 축적된 산업화 노하우와 연구 데이터가 있기에 산업현장에서 어느 정도의 품질관리가 가능하지만, 미생물 발효패턴 조절 기술은 아직 산업현장에서 현실화된 것이 미비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Lee CW, Ko CY, Ha DM. 1992. Microbial changes of the lactic acid bacteria during Kimchi ferment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isolates.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0: 102-109. 

  2. Lim CR, Park HK, Han HU. 1989. Reevaluation of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gram-positive bacteria in Kimchi. Korean J Microbiol 27: 404-414. 

  3. Mheen TI, Kwon TW. 1984.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4. So MH, Kim YB. 1995. Identification of psychrotrophic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495-505. 

  5. Park JG, Kim JH, Park JN, Kim YD, Kim WG, Lee JW, Hwang HJ, Byun MW. 2008. The effect of irradiation temperature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s, for its shelf stability. Radiat Phys Chem 77: 497-502. 

  6. Shon KH, Lee HJ. 1998. Effect of high pressure treatment on the quality and storage of kimchi. Int J Food Sci Technol 33: 359-365. 

  7. Han JS, Kang J. 2004. Retardation of Kimchi fermentation by addition of glucono- $\delta$ -lact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553-559. 

  8. Kim DH, Hahn YS. 2003. Effect of addition of ethanol and organic acids on the quality of Mul-kimch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3: 305-312. 

  9. Kim YH, Kim HZ, Kim JY, Choi TB, Kang SM. 2005. Strain improvement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as a acidresistant mutant and effect on Kimchi fermentation as a starter. Korean J Appl Microbiol 33: 41-50. 

  10. Moon GS, Kang CH, Pyun YR, Kim WJ. 2004.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bacteriocin-producing Enterococcus sp. from Kimchi and its application to Kimchi fermentation. J Microbiol Biotechnol 14: 924-931. 

  11. Chang JY, Chang HC. 2010. Improvement in the quality and shelf life of Kimchi by fermentation with the induced bacteriocin-producing strain, Leuconostoc citreum GJ7 as a starter. J Food Sci 75: M103-M110. 

  12. Lee KH, Lee JH. 2011. Isolation of Leuconostoc and Weissella species inhibiting the growth of Lactobacillus sakei from Kimchi.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9: 175-181. 

  13. Holder IA, Boyce ST. 1994. Agar well diffusion assay testing of bacterial susceptibility to various antimicrobials in concentrations non-toxic for human cells in culture. Burns 20: 426-429. 

  14. Lane DJ. 1991. 16S-23S rRNA sequencing. In Nucleic Acid Techniques in Bacterial Systematics. Stackebrandt E, Goodfellow M, eds. Wiley, New York, NY, USA. p 115-175. 

  15. Park SH, Yang S, Lee JH, Kang M. 2013. Selection of phytate- degrad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and reaction properties in brown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627-632. 

  16. Cho YR, Chang JY, Chang HC. 2007. Production of $\gamma$ -aminobutyric acid (GABA) by Lactobacillus buchneri isolated from Kimchi and its neuroprotective effect on neuronal cells. J Microbiol Biotechnol 17: 104-109. 

  17. Taylor TM, Davidson PM, Zhong Q. 2007. Extraction of nisin from a 2.5% commercial nisin product using methanol and ethanol solutions. J Food Prot 70: 1272-1276. 

  18. Park H, Khang Y. 2010. Simple and rapid extraction of a bacteriocin produced by Streptococcus parauberis Z49 from fermented cultures. Korean J Microbiology 46: 291-295. 

  19. Chang JY, Choi YR, Chang HC. 2011. Change in the microbial profiles of commercial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8: 786-79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