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트 분말 첨가 흰찰쌀보리 증편의 기능성 및 품질 특성
Functiona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Glutinous Barley Jeung-pyun Added with Beet (Beta vulgaris L.)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7 no.1, 2014년, pp.1 - 9  

정이지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진소연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전공) ,  한영실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performed to examine the functiona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glutinous barley Jeung-pyun added with beet powder. Jeung-pyun is being prepared with concentration of 0, 2, 4, 6 and 8% (w/w) of the beet according to nonglutinous rice powder weight. The pH level of Jeung-pyun batte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통 발효식품인 증편의 기호도와 영양적인 면을 보강하기 위해 식이섬유소가 풍부한 흰찰쌀보리를 첨가하여 흰찰쌀보리 증편 표준 레시피를 개발하고, 항산화능이 우수한 비트 분말을 첨가하여 흰찰쌀보리 증편의 품질 특성 및 기능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트란? 비트(Beta vulgaris L.)는 명아주과(Chenopodiaceae)에 속하는 뿌리채소로 식물체 전체를 식용할 수 있으며, 손쉽게 재배할 수 있는 작물로 우리나라에서는 아열대성 기후이면서 땅이 얼지 않는 제주도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 특히 제주도는 비트의 원산지인 유럽 남부 지중해와 유사한 기후와 생육조건을 갖고 있어 비트를 재배하기에 적합한 지형이라 할 수 있다.
명아주과에 속하는 비트의 원산지는? )는 명아주과(Chenopodiaceae)에 속하는 뿌리채소로 식물체 전체를 식용할 수 있으며, 손쉽게 재배할 수 있는 작물로 우리나라에서는 아열대성 기후이면서 땅이 얼지 않는 제주도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 특히 제주도는 비트의 원산지인 유럽 남부 지중해와 유사한 기후와 생육조건을 갖고 있어 비트를 재배하기에 적합한 지형이라 할 수 있다. 비트는 betalains, polyphenols, vitamins, folic acid 등 항산화 작용을 하는 기능성 물질의 좋은 공급원으로 비트 뿌리의 색소 물질은 red violet 색소인 베타시아닌과 yellow 색소인 베타잔틴으로 구성되어 있다(Vinson 등 1998).
우리나라 전통 떡으로 서구식의 빵과 같이 발효를 통해 만들어지는 것은? 떡은 한국 고유의 전통음식으로 시식(時食)과 관혼상제(冠婚喪祭) 등 상차림의 필수 음식으로 우리와 함께 하여 왔다. 우리나라 전통 떡의 한 종류인 증편은 서구식의 빵과 같이 발효를 통해 만들어지며, 오늘날까지 특별한 기호의 대상으로 꾸준히 전해 내려오고 있다(Lee JS 1999). 증편은 다른 종류의 떡과 달리 해면상의 다공성 조직을 형성하여 독특한 점․탄성이 있으며, 빨리 쉬지 않아 저장성과 부패 및 노화 지연이 우수한 대표적 여름 떡이며, 우리나라의 떡 중 유일하게 발효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지역에 따라 기정, 장편, 잔편, 기주, 술떡, 중병 등의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Yoon SJ 2003; Park & Park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lio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able free radical. Nature 26:1190-1200 

  2. Chen H, Lin YC, Yen GC. 2007. Antioxidant activity and free radical-scavenging capacity of extracts from guava (Psidium guava L.) leaves. Food Chem 101:686-694 

  3. Choi JJ, Seo BH. 2012.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eon with added Rubus coreanus Miquel.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52-61 

  4. Choi SE, Lee JM. 1993. Standardization for the pareparation of traditional Jeung-pyun.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655-665 

  5. Cross GG, Jenning HJ, Whiteld DM, Penney CL, Zacharie B, Gagnon L. 2001. Immunostimulant oxidized beta-glucan conjugates. Int Immunopharmacol 1:539-550 

  6. Go S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nd Julpyun with beet (Beta vulgaris L.) leaf and root. Ph.D Thesis, Sejong Uni. Seoul 

  7. Han IH, Lee K, Lee KE. 2007. The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cactus (Opuntia humifusa)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cacuts power added.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3:443-451 

  8. Jang JS. 2006. Quality characteristic of Jeungpyun with the addition of milk. M.S. Thesis, Daegu Uni. Daegu 

  9. Jung JY, Choi MH, Hwang JH, Chung HJ.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prepared with paprika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r 33:869-874 

  10. Kang SH, Lee KS, Yon HH. 2006. Quality characterisitics of Jeungpyun added rosemary power. Korean J Food Cookey Sci 22:158-163 

  11. Kim GM, Jung WJ, Shin JH, Kang MJ, Sung NJ. 2011.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made with black garlic extract and Sulgidduk. J Korean Soc Food Sci Nur 40:759-766 

  12. Lee JS. 1999. Assessment of women's consumption pattern and preference of Korean rice cake. Korean J Dietary Culture 14:447-454 

  13. Lee KS, Lee OH, Lee, CS, Lee KY. 2005. Antioxidative effect of the fractions extracted from a cactus chennyuncho (Opuntia humifusa). Korean J Food Sci Technol 37:474-478 

  14. Lee SO, Lee HJ, Yu MH, Im HK, Lee IS.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ol extracts from vegetable prop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233-240 

  15. Park GS, Park EJ.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added Peacilomyces japonica powder according to fermentation ti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1703-1708 

  16. Park SS. 2011. Antioxidative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ramie leaf power.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 Seoul 

  17. Park SY, Chea KS, Son RH, Jung JH, Im YR, Kwon JW.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okbunja (black raspberry) vinegers. Food Engineering Progress 16: 340-346 

  18. Park YM.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 prepared with Boehmeria nivea powder. M.S Thesis, Mokpo National Uni. Mokpo 

  19. Park YS. 1989. Change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Jeunpyun during fermentation. Ph.D. Thesis, The Hyosung Women's Uni. Daegu 

  20. Ryu CH. 1999. Study on bread-making quality with mixture of waxy barley-wheat flou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034-1043 

  21. Shin EH, Lee JK.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on the addition ratio of pigmented rice and fermentation meth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0:380-386 

  22. Singleton VL. 1981. Naturally occurring food toxicants: Phenolic substances of plant origin common in foods. Adv Food Res 27:149-242 

  23. Swain T, Hillis WE. 1959. The phenolic constituents of Prunus domestica I.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63-68 

  24. Tananka M, Kuie CW, Nagachima Y, Tafuchi T. 1998. Application of antioxidative maillard reaction products from histidine and glucose to sardine products. Nippon Suisan Gakkaishi 54:1409-1414 

  25. Tchakittirungrod S, Okonogi S, Chowwanapoonpohn S. 2007. Study on antioxidant activity of certain plants in Thailand: Mechanism of antioxidant action of guava leaf extracts. J Food Chemistry 103:381-388 

  26. Vinson JA, Hao Y, Su X, Zubik. 1998. Phenol antioxidant quality and quality in foods; vegetable. J Agr Food Chem 46:3630-3643 

  27. Yildirin A, Mari A, Kara A. 2001.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Rumex crispus L. extracts. J Agric Food Chem 49:4083-4089. 

  28. Yoo CH, Shim YH.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with tapioca flour. Korean J Soc Food Sci 22:396-401 

  29. Yoon SJ. 2003. Mechan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prepared with different fermentation time. Korean J Soc Food Cookey Sci 19:423-4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