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재교구 제작 경험 탐색
Investigating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of making teaching material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6, 2017년, pp.418 - 430  

박지선 (목원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본 연구는 2016년 1학기 유아교과교재 및 연구법 강의를 듣는 B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재교구 제작 경험을 탐색해봄으로써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재교구 제작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경험과 그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파악하고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교재교구 제작 교육의 효율적인 방향과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교재교구 제작과정은 탐색단계, 계획단계, 제작단계로 나누어 이루어졌다. 예비유아교사들은 교재교구 제작 탐색단계에서는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전공서적, 인터넷 자료 등 다양한 자료와 유치원 참관 경험을 활용하였으며, 계획단계에서는 유아의 흥미 및 수준을 최우선 고려하고, 충분하게 재료를 탐색하며 신중하게 제작방법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작단계에서는 재 작업 방지를 위해 탄탄하게 기초작업을 하는가하면, 초기에 넘쳐났던 의욕에 비해 작업이 진행될수록 기본에 충실하려 하였다. 교재교구를 제작하면서 예비유아교사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으로는 특별함에 대한 부담감, 유아를 많이 경험해보지 못한 상태에서 상상으로 맞추어가는 것에 대한 어려움, 계획대로 안 될 때의 당혹감 그리고 친구와의 비교 안에서 상대적인 박탈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어려움을 통해 꼼꼼한 계획과 철저하게 실행하는 것이 교재교구 제작에서 매우 중요하며, 제작 전과정에서 검토와 점검이 반복되어야 함을 깨달음으로써 효과적인 교재교구 제작을 위한 더 나은 발전방향을 찾아가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difficulties and understanding of making teaching materials by investigating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of making such materials. The results of the study would help in the design direction and methods of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품화된 교재교구가 유아에게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이유는? 상품화된 교재교구는 교사제작의 경우 교재교구 제작에 투여하는 시간과 노력 대비 낮은 견고성이나 내구성 등을 높일 수 있으며,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위해 변형을 주거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색상이나 디자인도 매력적이다. 그러나 유아의 발달 수준이나 특성, 교육적 내용을 잘 파악하기 어렵고 학급 내 유아의 특성을 반영할 수 없다. 즉 매력적이고 다채로운 교재교구는 될 수 있으나 교육목표 및 목적에 따른 발달에 적합한 교재교구가 되기는 어려움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유치원에서 교재교구의 의미는? 교재와 교구의 사전적 의미는 차이가 있으나 유치원의 경우 유아의 발달특성상 놀이, 학습, 생활의 구별이 어려움으로 실질적으로 교수 및 학습활동을 위한 ‘교구’와 ‘교재’를 명확히 구별하는 것은 어려우며 일반적으로 교재교구 또는 교재·교구로 명명한다[6]. 이는 유치원에서의 교재교구는 놀잇감, 장난감, 교재, 교구, 활동자료, 교수매체, 교수자료 등 다양한 용어와 범위로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유아 중심의 자유선택활동에서 교사 주도 수업에 이르기까지 활용되는 모든 자료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재교구의 의미를 유치원 현장에서 활용되는 유아들의 활동자료와 수업의 교수자료를 의미한다.
교사들의 교재교구의 자체제작이 어려운 이유는? 그러나 이를 실행하기에는 많은 어려움 있는 것 역시 보고서 결과를 통해서 알 수 있다. 교재교구를 자체 제작할 때 교사들은 시간부족, 재료구입의 어려움, 제작관련 정보 부족으로 인해 제작 대신 구입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많다. 상품화된 교재교구는 교사제작의 경우 교재교구 제작에 투여하는 시간과 노력 대비 낮은 견고성이나 내구성 등을 높일 수 있으며,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위해 변형을 주거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색상이나 디자인도 매력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M. K. Park, J. A. Um, "Significance of play material experienced by children during free-choice activity time",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30, no. 5, pp. 325-349, 2010. DOI: https://doi.org/10.18023/kjece.2010.30.5.015 

  2. S. R. Jung, M. J. Park, H. S. Park, K. R, Kim, Research and Guide for Teaching Textbook, Gongdongchae, 2010. 

  3. M. S. Choi, E. O. Ki, W. S. Jang, "Young children's social interactions according to the complexity of play materials and the period of play for outdoor stand play",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1, no. 2, pp. 87-109, 2012. 

  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uri Curriculum Teacher Guide for 3-5 aged Children, 2013. 

  5.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Standard Dictionary of Korean Language, Available From: http://stdweb2.korean.go.kr/. (accessed Feb. 1, 2017) 

  6. Y. H. Jung, Research and Teaching Textbook of Children, Changjisa, 2016. 

  7. J. S. Kim, J. A. Park, J. M. Kim, A Study on Quality Management of Teaqching Materials and Tools for Kindergartens,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14. 

  8. G. S. Kim, "The outlook and challenges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 industry", Journal of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1, pp. 81-85, 2014. DOI: https://doi.org/10.5762/KAIS.2014.15.1.81 

  9. J. W. Kim, Y. S. Kim, H. M. Park, Research and Guide for Teaching Textbook and Tools for Infant and Children, Yangseowon, 2005. 

  10. D. G. Lee, R. G. Park,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pay materials in kindergarten by age, theme and interest center", The Journal of Humanities, 22, pp. 131-160, 2005. 

  11. H. J. Cho, D. G. Lee, "Meaning of simulated instruction o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vol. 13, no. 3, pp. 567-587, 2012. 

  12. H. J. Cho, D. G. Lee, "Using ASSURE Model theory to develop a simulated instruction model for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33, no. 3, pp. 83-106, 2013. DOI: https://doi.org/10.18023/kjece.2013.33.3.004 

  13. J. S. Jo, D. G. Lee, Research and Guide for Teaching Textbook, KNOUPRESS, 2002. 

  14. E. S. Shin, H. K. Park, "The effect of constructive play using block area materials on the children's spacial perspective-taking ability", Duksung Journal of Social Science, 12, pp. 11-132, 2007. 

  15. H. K. Park, "The effect of art activity using clay on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e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vol. 12, no. 2, pp. 229-247, 2012. 

  16. Y. S. Kang, J. H. Park, "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nee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on authentication of teaching materials and implements for young children",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2, pp. 2793-800, 2013.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2.793 

  17. K. C. Kim, M. S. Lee,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ccreditation system for instructional materials and equip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4, pp. 2123-2133, 2014. DOI: https://doi.org/10.5762/KAIS.2014.15.4.2123 

  18. C. H. Kim, Y. Park, S. J. Yo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eaching material and tools management program for kindergartens,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 6, no. 12, pp. 201-215, 2006. 

  19. Kim, Y. A., Lee, H. S. Creative Teaching Material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Changisa, 2015. 

  20. Seo, H. H. Theory and Practice of Early Childhood Textbooks and Materials, Focused on the Nuri Curriculum. Dongmunsa, 2014. 

  21. Lee, S. A., Lee, C. H., & Park, B. M. Study and Guide of Textbook and Materials of Standard Child Care Course and Nuri Curriculum. Seoul: Changisa, 2013. 

  22. H. K. Kim, Research and Guide for Teaching Textbook, Gongdongchae, 2010. 

  23. J. K. Kim, K. J. Lee, J. S. Jo, E. H. Han, Research and Guide for Teaching Textbook, Jungminsa, 2014. 

  24. E. S. Na, E. O. Kim, H. K. Park, Y. I. Yu, J. M. Hong, Research and Guide for Teaching Textbook for Infant and Children, Yangseowon, 2013. 

  25. Kim, Y. J., Kim, J. W. Study and Guide of Textbook and Materials of Infant & Child Education Curriculu, Seoul: Yangseowon, 2016. 

  26. Marshall, C., & Rossman, G, B., Preservice teacher use of learning and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vol. 39, no. 3, pp. 83-89, 1999. 

  27. J. S. Kim, J. A. Park, "An analysis of the kindergarten learning materials for free choice activity and outdoor play: manufacture, purchase, and utilizatio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35, no. 2, pp. 143-163, 2015. DOI: https://doi.org/10.18023/kjece.2015.35.2.007 

  28. D. K. Lee, S. G. Kim, "The Main Feature of Student Teachers' Teaching in Early Childhood Practicum".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 13, no. 3, pp. 313-338, 2009. 

  29. H. J. Cho, "Using ASSURE Model theory to develop a simulated instruction model for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aichai University, 2014. 

  30. J. H. Sung, T. I. Kim, "Analysis of Experience of Kindergarten Pre-Teachers' Lesson Plan Wri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 17, no. 6, pp. 449-477, 2013. 

  31. B. S. Choi, "'A Study & Teaching Method on the Teaching Aids' Learnig Case by PBL". Journal of Educational Development, vol. 23, no. 2, pp. 33-54, 2007. 

  32. Stake, R. E.,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