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블루베리 와인의 발효 장애 해결을 위한 효모 영양물질 첨가의 효과
Effectiveness of Yeast Nutrients on Stuck Fermentation of Blueberry Wine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6 no.2, 2014년, pp.143 - 147  

서승호 (동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유선아 (동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성은 (동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손홍석 (동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용수의 첨가량을 달리한 블루베리 와인을 제조하여 발효 장애의 현상을 파악하고, 효모 영양물질의 첨가를 통해 발효 장애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블루베리 제조 시 가수량이 증가할수록 발효속도가 감소하고 잔당이 남는 발효 장애가 관찰되었다. 효모 영양물질의 종류에 따른 발효 장애 해결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담금 후 3주째 당도를 측정하였을 때, 대조구가 $11.7^{\circ}Bx$로 잔당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yeast extract를 첨가한 실험구는 $9.2^{\circ}Bx$, DAP를 첨가한 실험구는 $10.0^{\circ}Bx$, yeast energizer를 첨가한 실험구는 $9.5^{\circ}Bx$, 건포도를 첨가한 실험구는 $12.0^{\circ}Bx$의 값을 보인 반면, 바나나를 첨가한 실험구는 $8.3^{\circ}Bx$로 가장 효과적으로 발효속도를 증진시켰다. 또한 바나나를 2.5% 첨가한 블루베리 와인보다 5% 첨가한 블루베리 와인에서 보다 빠른 발효속도와 낮은 잔당의 함량을 보였으며, 이는 블루베리 와인의 발효 장애 해결이 바나나 첨가량에 따라 달라짐을 의미한다. 블루베리 와인제조 시 발생하는 발효 장애의 원인은 효모가 필요로 하는 영양분의 부족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며, 블루베리 와인의 발효 장애를 해결하기 위한 효모 영양물질로 바나나의 첨가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various yeast nutrients on stuck and sluggish fermentation of blueberry wine. Sugar consumption rates during fermentation were observed after the addition of yeast extract, diammonium phosphate, yeast energizer, raisin, or banana to fermenting blueberry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용수의 첨가량을 달리한 블루베리 와인을 제조하여 발효 장애의 현상을 파악하고, 효모 영양물질의 첨가를 통해 발효 장애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블루베리 제조 시 가수량이 증가할수록 발효속도가 감소하고 잔당이 남는 발효 장애가 관찰되었다.
  • 특히 용수를 첨가하여 제조하는 포도주 이외의 과실주 같은 경우에는 효모의 증식에 필수적인 영양분이 희석되므로 효모 영양분의 추가적인 공급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용수의 사용 비율을 달리한 블루베리 와인을 제조하여 발효 장애의 현상을 파악하고, 질소원이나 바나나의 첨가를 통해 블루베리 와인의 발효 장애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블루베리란? 블루베리는 진달래과(Ericaceae)의 산앵두나무속(Vaccinium)에 속하는 관목성 식물이며, 15-21o C의 온도와 pH 4.5-5의 산성토양에서 잘 자라는 다년생 온대 과수로 하이부시 블루베리(Vaccinium corymbosum), 로우부시 블루베리(Vaccinium myritillus) 및 래빗아이 블루베리(Vaccinium ashei) 등 세 종류가 상업적으로 중요한 과실로서 재배되고 있다(1).
과실주의 제조에서 효모의 증식을 위해 어떤 영양분이 필요한가? 과실주의 발효 중에 사용되는 효모는 증식을 위해 당분 이외에도 질소원, 비타민, 미네랄 등을 필요로 한다(17). 발효 장애의 원인은 보통 이러한 영양분의 부족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포도주를 제조할 때는 diammonium phosphate (DAP)나 효모 추출물 등을 첨가하여 발효 장애를 해결하고 있다.
블루베리는 어떤 효과가 있는가? 블루베리는 전 세계적으로 400여 종이 있으며, 주로 북미 지역에 분포되어 있지만 최근 뉴욕 타임지의 10대 슈퍼푸드로 선정되는 등 건강기능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2). 블루베리는 폴리페놀이 풍부하고, 항산화능, 시력강화, 면역시스템 증진 및 뇌졸중 방지에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활성산소 라디칼 흡수효과 (3),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효과(4), 항산화 효과(5), 이뇨작용(6), 항균 및 항암활성(7-9) 등이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TC, Bae KS, Kim IK, Chun HJ.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blueberry.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19: 179-183 (2005) 

  2. Park HM, Yang SJ, Kang EJ, Lee DH, Kim DI, Hong JH. Quality characteristics and granule manufacture of mulberry and blueberry fruit extrac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375-382 (2012) 

  3. Zheng W, Wang SY. Oxygen radical absorbing capacity of phenolics in blueberries, cranberries, chokeberries, and lingoberries. J. Agr. Food Chem. 51: 502-509 (2003) 

  4. Joseph JA, Denisova NA, Bielinski D, Fisher DR, Shukitt-Hale B. Oxidative stress protection and vulnerability in aging: putative nutritional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Mech. Ageing Dev. 116: 141-153 (2000) 

  5. Sellappan S, Akoh CC, Krewer G.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georgia-grown blueberries and blackberries. J. Agr. Food Chem. 50: 2432-2438 (2003) 

  6. Howell AB. Cranberry proanthocyanidins and the maintenance of urinary tract health. Crit. Rev. Food Sci. 42: 273-278 (2002) 

  7. Kalt W, Ryan DA, Duy JC, Prior RL, Ehlenfeldt MK, Kloet SPV. Interspecific variation in anthocyanins, phenolics, and antioxidant capacity among genotypes of highbush and lowbush blueberries. J. Agr. Food Chem. 49: 4761-4767 (2001) 

  8. Wang SY, Jiao H. Scavenging capacity of berry crops on superoxide radicals, hydrogen peroxide, hydroxyl radicals and singlet oxygen. J. Agr. Food Chem. 48: 5677-5684 (2000) 

  9. Mcghie TK, Ainge GD, Barnett LE, Cooney JM, Jensen DJ. Anthocyanin glycosides from berry fruit are absorbed and excreted unmetabolized by both humans and rats. J. Agr. Food Chem. 51: 4539-4548 (2003) 

  10. Lee HR, Jung BR, Park JY, Hwang IW, Kim SK, Choi JU, Lee SH, Chung SK.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grape juice products in the Korean market. Korean J. Food Preserv. 15: 445-449 (2008) 

  11. Cho WJ, Song BS, Lee JY, Kim JK, Kim JH, Yoon YH, Choi JI, Kim GS, Lee JW. Composition analysis of various blueberries produced in Korea and manufacture of blueberry jam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319-323 (2010) 

  12. Hwang SH, Ko SH.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containing domestic blueberry (V. corymbosum).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727-734 (2010) 

  13. Ji JR, Yoo SS.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varied concentrations of blueberry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433-438 (2010) 

  14. Jeon MH, Lee WJ. Characteristics of blueberry added makgeoll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444-449 (2011) 

  15. Su MS, Chien PJ. Antioxidant activity, anthocyanins, and phenolics of rabbiteye blueberry (Vaccinium ashei) fluid products as affected by fermentation. Food Chem. 104: 182-187 (2007) 

  16. Maisonnave P, Sanchez I, Moine V, Dequin S, Galeote V. Stuck fermentation: Development of a synthetic stuck wine and study of a restart procedure. Int. J. Food Microbiol. 163: 239-247 (2013) 

  17. Mo HW, Jeong JS, Choi SW, Choi KH. Preparation of wine using wild yeast from dried omija and optimal nutritional requirements for alcoholic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254-260 (2012) 

  18. Lee CH. Fermentation Technology in Korea. Korea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p. 44-69 (2001) 

  19. Rhee SJ, Lee CYJ, Kim KK, Lee CH. Comparison of the traditional (Samhaeju) and industrial (Chongju) rice wine brewing in Korea. Food Sci. Biotechnol. 12: 242-247 (2003) 

  20. Son HS, Hong YS, Park WM, Yu MA, Lee CH. A novel approach for estimating sugar and alcohol concentrations in wines using refractometer and hydrometer. J. Food Sci. 75: C106-C111 (2009) 

  21. Duncan DB.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s. Biometrics 11: 1-42 (1955) 

  22. Margalit Y. Winery Technology and Operations. Wine Appreciation Guild, San Francisco, CA, USA. pp. 1-12 (2005) 

  23. Kim YS, Jeong DY, Shin DH.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s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ulberry (Morus alba)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63-69 (2008) 

  24. Yook C, Jang EM. Quality improvement of wines made from domestic grapes by the elimination or addition of grape skins.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528-535 (2009) 

  25. Gutirrez A, Chiva R, Sancho M, Beltran G, Arroyo-Lpez FN, Guillamon JM. Nitrogen requirements of commercial wine yeast strains during fermentation of a synthetic grape must. Food Microbiol. 31: 25-32 (2012) 

  26. Blateyron L, Sablayrolles JM. Stuck and slow fermentations in enology: statistical study of causes and effectiveness of combined additions of oxygen and diammonium phosphate. J. Biosci. Bioeng. 91: 184-189 (2001) 

  27. Kim JG, Ahn JH. Comparative study on ethanol production with pentose and/or hexose by Saccharomyces cerevisiae and/or Pichia stipitis. J. Life Sci. 21: 335-340 (2011) 

  28. Parrou JL, Enjalbert B, Plourde L, Bauche A, Gonzalez B, Francois J. Dynamic responses of reserve carbohydrate metabolism under carbon and nitrogen limitations in Saccharomyces cerevisiae. Yeast 15: 191-203 (1999) 

  29. Carvalho GBM, Silva DP, Bento CV, Vicente AA, Teixeira JA, Felipe MGA, Almeida e Silva JB. Banana as adjunct in beer production: applicability and performance of fermentative parameters. Appl. Biochem. Biotechnol. 155: 356-365 (2009) 

  30. Karthikeyan A, Sivakumar N. Citric acid production by koji fermentation using banana peel as a novel substrate. Bioresource Technol. 101: 5552-5556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