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파 착즙 중 열처리 조건이 유황양파즙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t Treatment on the Quality of the Onion Juices Prepared with Sulfur-applied On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6 no.2, 2014년, pp.189 - 197  

최보경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서정희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양파 재배 중 유황 엽면시비 횟수를 1회, 4회로 달리하여 생산된 2종의 양파(Sulfur-1, Sulfur-4)를 착즙온도와 시간을 달리하여 $105^{\circ}C$ 5 h, $110^{\circ}C$ 5 h 10 min, $115^{\circ}C$ 5 h 20 min, $120^{\circ}C$ 4 h 30 min, $120^{\circ}C$ 5 h 30 min 조건으로 총 10종의 양파즙을 제조하여, 유황 시비와 열처리 조건이 양파즙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양파즙은 열처리 강도에 비례하여 갈색화 양상을 나타내었으며(p<0.001), 이는 색 특성에 대한 기호도 및 종합적 기호도에 유의적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되었다. 착즙 온도가 높고 시간이 길어질수록 양파즙의 유기산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여(p<0.001) pH는 감소하였다(p<0.001). 양파 분쇄 단계에서 형성된 thiosulfinate는 $105-120^{\circ}C$ 고온의 열처리 하에서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음으로써 thiosulfinate가 저분자 황화합물로 분해되는 속도가 유의적 차이가 없었음을 시사하였다. 총 flavonoids 함량은 열처리 조건이 강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이는 열처리에 의해 당 등과 결합형태로 존재하는 flavonoids들이 유리형으로 전환되고, 또한 양파 조직의 붕괴가 용이하게 일어남에 따라 matrix로부터 flavonoids의 용출이 증가한 결과로 사료된다. 동일한 조건하에서는 유황처리 횟수가 많은 Sulfur-4 양파즙이 Sulfur-1 양파즙보다 flavonoids 함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i) 양파즙 제조 시 가해진 열처리는, 양파 내부에 존재하는 성분들의 용출과, Maillard 갈변반응, caramelization 등 화학반응 속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러한 화학적 변화가 양파즙의 색, 점도 등 물리적 특성에 영향을 주었음을 시사해 주었다. 또한 (ii) 양파즙에서 관찰된 이러한 화학적 물리적 변화의 기질을 Sulfur-1 양파보다 Sulfur-4 양파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보유함으로써 재배 중 유황처리 횟수가 양파즙의 품질에 영향을 주었음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ion juices were prepared by various heat treatments (at $105-120^{\circ}C$ for 4.5-5.5 h), from the onions cultivated with increasing numbers of sulfur applications (once for Sulfur-1, four times for Sulfur-4). As heat treatment intensity increased, the onion juices darkened (p<0.001),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황처리로 총 페놀이 증가된 양파에 열처리가 가능한 가공식품으로 유황양파 착즙액을 제조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를 위한 열처리 조건을 선정하기 위해 전보에서 보고한 유황처리 횟수가 다른 두 종류의 양파를 원료로 하여 착즙 온도와 시간이 다른 총 10종의 유황양파 착즙액을 생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얻어진 관능적 특성과 기능성이 향상된 유황양파를 이용하여 가공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첫 단계로 유황양파 착즙액 제조를 시도하였다. 최근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과일, 채소류는 열처리 공정 중 (i) Maillard 반응 등에 의해 새로운 항산화 물질이 생성되고(15,16), (ii) 흡수율과 활성이 낮은 결합형(esterified, glycosylated)의 생리활성 물질들이 유리형(free form)으로 전환되어 bioavailability가 높아짐으로써(17-20) 항산화능을 포함한 생리활성이 증가되었음이 보고되었다.
  • 또한, 양파의 생리활성과 약리작용은 양파 내부에 존재하는 플라보노이드(quercetin, kaempferol, rutin) 및 그 배당체 물질과 유기 황 화합물(thiosulfinate, allyl disulfide, diallyl sulfide) 등 생물학적 활성 분자들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4,7,8). 이와 같이, 양파의 관능적 특성과 기능성의 상당부분이 황(sulfur)에서 유래하므로, 전보에서는 국내 토양에서 절대적으로 부족한 황을 양파 재배 중 유황 처리 방법(9) 및 유황 처리 횟수(10)를 달리하여 생산함으로써 양파의 품질특성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파종 전 토양에 유황을 직접 처리하고 수확 전 엽면시비로 유황을 추가 공급하여 생산한 유황양파는 무처리군 혹은 유황 처리 횟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군에 비해 총 페놀, 단백질, 무기질 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무기질 조성 역시 개선된 결과를 보였다(9,10).

가설 설정

  • 1)Value was expressed as the average±standard deviation of triplicate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파의 가열취를 생성하는 물질 및 과정은? )는 독특한 향과 맛으로 예로부터 조리 중 향신 채소로 빈번이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양파에서 항산화, 항고혈압, 항균 작용 등의 생리활성과 약리작용이 확인됨에 따라, 생활습관병(life-style-related disease) 예방과 관련하여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작물이다(1-4). 양파는 가열 전 주요 향미성분인 thiosulfinate와 가열취(cooked flavor)를 형성하는 저분자의 황 유도체들이 S-(1-propenyl)-L-cysteine sulfoxide의 효소적 분해와 열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6). 또한, 양파의 생리활성과 약리작용은 양파 내부에 존재하는 플라보노이드(quercetin, kaempferol, rutin) 및 그 배당체 물질과 유기 황 화합물(thiosulfinate, allyl disulfide, diallyl sulfide) 등 생물학적 활성 분자들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4,7,8).
과채류에서 생물 섭취보다 열처리 공정이 생리활성을 부가시키는 원리는?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얻어진 관능적 특성과 기능성이 향상된 유황양파를 이용하여 가공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첫 단계로 유황양파 착즙액 제조를 시도하였다. 최근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과일, 채소류는 열처리 공정 중 (i) Maillard 반응 등에 의해 새로운 항산화 물질이 생성되고(15,16), (ii) 흡수율과 활성이 낮은 결합형(esterified, glycosylated)의 생리활성 물질들이 유리형(free form)으로 전환되어 bioavailability가 높아짐으로써(17-20) 항산화능을 포함한 생리활성이 증가되었음이 보고되었다. 또한, (iii) flavonoids, phenolic acids 등을 분해할 수 있는 세포 내 효소가열에 의해 불활성화 됨으로써 항산화 물질들의 효소적 산화가 감소되어 생리활성이 증가될 수 있음이 제안되었다(18,21). (iv) 열처리에 의해 과일과 채소류의 조직 및 세포의 붕괴가 용이해지므로 matrix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의 추출성 역시 개선될 수 있다(20). 이 연구들은, 생리활성물질들이 가열에 불안정하여 과일·채소류에서는 열처리 공정의 부가보다는 생물(raw food)의 섭취가 건강증진에 더 바람직할 것이라는 인식에서 열처리 공정이 생리활성을 부가시킬 수 있다는 인식의 전환에 기여하였다.
열처리 강도가 높고 유황처리 횟수 증가에 따른 양파 착즙액의 수분감소와 수용성 고형분 증가현상이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열처리 강도가 높고 유황처리 횟수가 증가할수록 양파 착즙액에서 관찰된 수분 감소와 수용성 고형분 증가 현상은(Table 2) 양파즙이 농축되어감(concentration)을 시사하였다. 이에 따라, 열처리 조건과 유황시비가 양파즙의 점도와 흐름특성에 미친 영향을 평가하였다(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Park H, Oyunzul G, Suh SW, Park YS, Jang JK, Chung MS, Choi YJ, Shim KS. Investigation of functional ingredients from onion according to the extraction methods, heat treatment, and storage period. Food Eng. Prog. 13: 92-98 (2009) 

  2. Perez-Gregorio RM, Garcia-Falcon MS, Simal-Gandara J, Rodrigues AS, Almeida DPF.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flavonoids in traditional cultivars of red and white onions at harvest. J. Food Compos. Anal. 23: 592-598 (2010) 

  3. Albishi T, John JA, Al-Khalifa AS, Shahidi F.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DNA scission inhibitory activities of phenolic compounds in selected onion and potato varieties. J. Funct. Foods 5: 930-939 (2013) 

  4. Shon MY, Choi SD, Kahng GG, Nam SH, Sung NJ. Antimutagenic,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thyl acetate extracts from white, yellow and red onions. Food Chem. Toxicol. 42: 659-666 (2004) 

  5. Hovius MHY, Goldman IL. Flavor precursor [S-alk(en)yl-L-cysteine sulfoxidel concentration and composition in onion plant organs and predictability of field white rot reaction of onions. J. Am. Soc. Hortic. Sci. 130: 196-202 (2005) 

  6. Lindsay RC. Flavors. pp. 639-687. In: Food Chemistry. Damodaran S, Parkin KL, Fennema OR (ed). CRC Press, Inc., Boca Raton, FL, USA (2008) 

  7. Higuchi O, Tateshita K, Nishimura H. Antioxidative activity of sulfur-containing compounds in allium species for human lowdensity lipoprotein (LDL) oxidation in vitro. J. Agr. Food Chem. 51: 7208-7214 (2003) 

  8. Roldan-Marin E, Sanchez-Moreno C, Lloria R, de Ancos B, Cano MP. Onion high-pressure processing: Flavo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LWT-Food Sci. Technol. 42: 835-841 (2009) 

  9. Kwon EJ, Ryu DY, Surh JH. Quality characteristics of onions applied with methylsulfonylmethane (MSM) during cultiv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213-220 (2013) 

  10. Choi BG, Surh JH. Influence of the number of sulfur applications on the improvement of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quality of on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478-487 (2013) 

  11. Chung HD. Control of onion bulb rot during storage at low temperature by postharvest treatment of fungicides. J. Korean Soc. Hort. Sci. 23: 17-22 (1982) 

  12. Chung DO, Park YK. The study of softdrinks production and functional food in onions. Korean J. Soc. Food Sci. 15: 158-162 (1999) 

  13. Ra KS, Suh HJ, Chung SH, Son JY.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 from onion ski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95-600 (1997) 

  14. Yang YR, Park YK. Black onions manufactured via the browning reaction and antioxidant effects of their water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8: 310-318 (2011) 

  15. Robards K, Prenzler PD, Tucker G, Swatsitang P, Glover W. Phenolic compounds and theri role in oxidative processes in fruits. Food Chem. 66: 401-436 (1999) 

  16. Kim JS, Kang OJ, Gweon OC. Comparison of phenolic acids and flavonoids in black garlic at different thermal processing steps. J. Funct. Foods 5: 80-86 (2013) 

  17. Choi Y, Lee SM, Chun J, Lee HB, Lee J.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 381-387 (2006) 

  18. Dewanto V, Wu X, Adom KK, Liu RH. Thermal processing enhances the nutritional value of tomatoes by increasing total antioxidant activity. J. Agr. Food Chem. 50: 3010-3014 (2002) 

  19. Xu G, Ye X, Chen J, Liu D. Effect of heat treatment on the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citrus peel extract. J. Agr. Food Chem. 55: 330-335 (2007) 

  20. Kim SY, Jeong SM, Park WP, Nam KC, Ahn DU, Lee SC. Effect of heating conditions of grape seeds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rape seed extracts. Food Chem. 97: 472-479 (2006) 

  21. Nicoli MC, Anese M, Parpinel M. Influence of processing on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fruit and vegetables. Trends Food Sci. Tech. 10: 94-100 (1999) 

  22. Skoog DA, West DM, Holler FJ, Crouch SR. Analytical Chemistry: An Introduction. Sanders College Publishing. Philadelphia, PA, USA. pp. 259-316 (2000) 

  23. Han J, Lawson L, Han G, Han P. A spectrophotometric method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allicin and total garlic thiosulfinate. Anal. Biochem. 225: 157-160 (1995) 

  24. Zhuang XP, Lu YY, Yang GS. Extraction and determination of flavonoid in ginkgo. Chinese Herb. Med. 23: 122-124 (1992) 

  25.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Available from: http://www.korean.go.kr. Accesed Sep. 28, 2012. 

  26. Eppendorfer WH, Eggum BO. Effect of sulphur, nitrogen, phosphorus, potassium, and water stress on dietary fibre fractions, starch, amino acids and on the biological value of potato protein. Plant Food. Hum. Nutr. 45: 299-313 (1994) 

  27. Eppendorfer WH, Eggum BO. Dietary fibre, sugar, starch and amino acid content of kale, ryegrass and seed of rape and field beans as influenced by S- and N-fertilization. Plant Food. Hum. Nutr. 42: 359-371 (1992) 

  28. Sharma DK, Kushwah SS, Nema PK, Rathore SS. Effect of sulfur on yield and quality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Int. J. Agric. Res. 6: 143-148 (2011) 

  29. Schwartz SJ, von Elbe JH, Giusti MM. Colorants. pp. 571-638. In: Food Chemistry. Damodaran S, Parkin KL, Fennema OR (ed). CRC Press, Inc., Boca Raton, FL, USA (2007) 

  30. Clydesdale FM, Lin YD, Francis FJ. Formation of 2-pyrroldone-S-carboxylic acid from glutamine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of spinach puree. J. Food Sci. 37: 45-47 (1972) 

  31. BeMiller JN, Huber KC. Carbohydrates. pp. 84-154. In: Food Chemistry. Damodaran S, Parkin KL, Fennema OR (ed). CRC Press, Inc., Boca Raton, FL, USA (2008) 

  32. Woo KS, Hwang IG, Kim TM, Kim DJ, Hong JT, Jeong HS. Changes i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onion (Allium cepa) extracts with heat treatment. Food Sci. Biotechnol. 16: 828-831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