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생아중환자실에서의 가족중심돌봄 기반 가족중재연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An Integrative Review of Family Interventions based on a Philosophy of Family-Centered Care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원문보기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16 no.1, 2019년, pp.35 - 44  

정나리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문) ,  김예슬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문) ,  박은영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문) ,  여리사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서울삼성병원) ,  황지원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문)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interventions based on a philosophy of family-centered care conducted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through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Methods: We searched the PubMed, CINAHL, RISS, KISS, and DBpia databases; a to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6)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신생아 중환자실에서의 가족중심돌봄 기반 가족중재연구를 고찰한 결과 양적 연구뿐 아니라, 질적 연구와 혼합연구도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합적 문헌고찰을 통하여 2013년부터 2018년 사이 국내외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실시된 가족중심돌봄 기반 가족중재연구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연구동향을 파악함으로써, 본 연구는 신생아중환자실에서의 가족중심돌봄 기반 가족중재연구의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2013년 1월 1일부터 2018년 5월 31일까지 국내외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실시된 가족중심돌봄 기반 가족중재 연구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본 연구의 통합적 고찰은 Whittemore와 Knafl16)이 제시한 총 5가지 단계 중, 자료의 질 평가를 제외하고 (1) 문제인식, (2) 문헌검색 및 선정, (3) 자료분석, (4) 기록 및 정리 단계에 따라 이루어졌다.
  • 본 연구는 2013년 1월 1일부터 2018년 5월 31일까지 국내외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실시된 가족중심돌봄 기반 가족중재논문을 통합적으로 고찰한 연구로서, 기존의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추후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양질의 가족중재연구가 더욱 활발해질 수 있도록 그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통합적 문헌고찰의 구체적 목적은 국내외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실시된 가족중재연구의 일반적 특성과 중재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 본 연구는 통합적 문헌고찰을 통해 최근 국내외 신생아중환 자실에서 실시된 가족중심돌봄 기반 가족중재연구들을 살펴 보았다. 연구를 통해 총 20편의 논문이 선정되었고 이들의 일반적 특성과 중재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6년간 국내외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실시된 가족중심돌봄 기반 가족중재연구에 대한 통합적 문헌 고찰을 통하여 관련 문헌의 일반적 특성과 중재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함이다. 이를 기초로 향후 국내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적용 가능한 가족중심돌봄 기반 가족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촉진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13년 1월 1일부터 2018년 5월 31일까지 국내외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실시된 가족중심돌봄 기반 가족중재논문을 통합적으로 고찰한 연구로서, 기존의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추후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양질의 가족중재연구가 더욱 활발해질 수 있도록 그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통합적 문헌고찰의 구체적 목적은 국내외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실시된 가족중재연구의 일반적 특성과 중재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가설 설정

  • 즉 신생아중환자실에서의 가족 중심돌봄이 이루어지려면 신생아와 가족, 의료진의 요구가 충족될 수 있는 1인실 같은 병원 환경이 조성되는 것이 좋고, 가족의 면회는 항시 자유롭게 허용되어야 한다.24) 그러나 신생아 중환자실은 신생아의 감염 우려가 매우 크고 신생아의 기본적인 치료가 방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본 연구의 선정 논문들은 결과변수로서 중재의 안전성과 실현가능성, 중재에 대한 의료진의 만족도 및 인식, 업무부담을 확인하였는데, 그 수가 몹시 제한적이어서 아쉬움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가족중심돌봄협회에서는 가족중심돌봄을 어떻게 정의하는가? 가족중심돌봄은 아동간호실무에서 가장 기본적인 철학으로 20년 이상 지지, 옹호되어왔던 개념이다.6)환자가족중심돌봄협회(Institute for Patient-and Family-Centered Care, IPFCC)에서는 가족중심돌봄을 “의료진, 환자 및 가족 간의 상호 유익한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의료 서비스의 계획, 중재, 평가를 수행하는 것”이라 정의하였다. 가족중심돌봄의 목적은 환자 및 가족의 만족과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이고, 4가지 핵심 개념에는 존중과 존엄, 정보 공유, 돌봄과 의사 결정 참여, 환자 .
가족중심돌봄의 목적은 무엇인가? 6)환자가족중심돌봄협회(Institute for Patient-and Family-Centered Care, IPFCC)에서는 가족중심돌봄을 “의료진, 환자 및 가족 간의 상호 유익한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의료 서비스의 계획, 중재, 평가를 수행하는 것”이라 정의하였다. 가족중심돌봄의 목적은 환자 및 가족의 만족과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이고, 4가지 핵심 개념에는 존중과 존엄, 정보 공유, 돌봄과 의사 결정 참여, 환자 . 가족 .
가족중심돌봄은 다양한 장점들이 있는데, 이는 어떤 것들이 있나? 가족중심돌봄은 다양한 장점이 있다. 가족중심돌봄을 통해 의료진과 가족 사이의 의사소통이 원활해지면서 가족은 의료진으로부터 존중 받고 있음을 느끼며 이에 따라 치료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진다. 또한 가족은 입원 아동의 돌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아동 돌봄에 대한 불안이 감소되고 자신감이 생기며, 입원으로 인해 방해될 수 있는 아동과의 유대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입원 아동은 가족중심돌봄을 통해 질병 과정 중이더라도 발달적 측면이 지지될 수 있고 질병에 대한 회복력이 증진되어 이에 따라 재원일수가 줄어들 수 있다.8,9) 이렇듯 가족중심돌봄은 가족의 스트레스 경감과 치료 순응과 같이 가족기능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가족의 경제적 측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c1996 - . [2016 Birth certificate data]; [cited 2017 Aug 30].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bSeq&aSeq362577&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 

  2. Bolwby J. Child care and the growth of love. Boltimore MD: Penguin Books; 1953. 256 p. 

  3. Butler S, Als H. Individualized developmental care improves the lives of infants born preterm. Acta paediatr. 2008 Sep;97(9):1173-5. https://doi.org/10.1111/j.1651-2227.2008.00916.x 

  4. Balakrishnan A, Stephens BE, Burke RT, Yatchmink Y, Alksninis BL, Tucker R, et al. Impact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on the family at 3 months corrected age. Early Hum Dev. 2011 Jan;87(1):31-5. https://doi.org/10.1016/j.earlhumdev.2010.09.374 

  5. Cooper LG, Gooding JS, Gallagher J, Sternesky L, Ledsky R, Berns SD. Impact of a family-centered care initiative on NICU care, staff and families. J Perinato. 2007 Dec;27(S2):S32-7. https://doi.org/10.1038/sj.jp.7211840 

  6. Corlett J, Twycross A. Negotiation of parental roles within family-centred care: a review of the research. J Clin Nurs. 2006 Oct;15(10):1308-16.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6.01407.x 

  7. IPFCC [Internet]. Bethesda(MD). What is PFCC?: core concepts of patient- and family-centered care; [cited 2018 Jun 11]; [about 1 screen]. Available from: http://www.ipfcc.org/about/pfcc.html 

  8. Armstrong MI, Birnie-Lefcovitch S, Ungar MT. Pathways between social support, family well being, quality of parenting, and child resilience: what we know. J Child Fam Stud. 2005 June;14(2):269-81. https://doi.org/10.1007/s10826-005-5054-4 

  9. Just AC. Parent participation in care: bridging the gap in the pediatric ICU. Newborn and Infant Nurs Rev. 2005 Dec;5(4):179-87. https://doi.org/10.1053/j.nainr.2005.08.002 

  10. Kuo DZ, Houtrow AJ, Arango P, Kuhlthau KA, Simmons JM, Neff JM. Family-centered care: current ap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in pediatric health care. Matern Child Health J. 2012 Feb;16(2):297-305. https://doi.org/10.1007/s10995-011-0751-7 

  11. Shin YH, IM JH, Kim GE. Effects of maternal empowerment program on stress, anxiety, depression and parenting confidence in mothers of preterm infant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Child Health Nurs Res. 2018 Apr;24(2):252-61. https://doi.org/10.4094/chnr.2018.24.2.252 

  12. Shin HJ, Park IS. Effect of kangaroo care on mental and motor development in premature infant and maternal role confidence.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2013 Jul;17(2):215-26. 

  13. Lee EJ, Kim ES, Lee YN, Park SH, Lee KM, Lee YH. Development of the kangaroo care protocol and its effect on premature infants. J Korean Clin Nurs Res. 2014 Dec;20(3):313-25. 

  14. Lee JW, Eo YS, Han JH. Effects of kangaroo care on physical development and adaptation of external environment of prematurity, and maternal role confidence who delivered premature infants. J Korea Acad Ind Cooperation Soc. 2016 Dec 31;17(12):128-37. https://doi.org/10.5762/KAIS.2016.17.12.128 

  15. Lim JH, Shin JE, Lee SM, Eun HS, Park MS, Park KI, et al. Original articles: efficacy and safety of kangaroo mother care in preterm infants in Korea. Korean J Perinatol. 2015 Dec;26(4):305-11. https://doi.org/10.14734/KJP.2015.26.4.305 

  16. Whittemore R, Knafl K. The integrative review: updated methodology. J Adv Nurs. 2005 Dec;52(5):546-53.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5.03621.x 

  17. Prouhet PM, Gregory MR, Russell CL, Yaeger LH. Fathers' stres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 systematic review. Adv Neonatal Care. 2018 Apr;18(2):105-20. https://doi.org/10.1097/ANC.0000000000000472 

  18. Kardas Ozdemir F, Kucuk Alemdar D. Supporting of the fathers to visit their infant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decreases their stress level: a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study. Community Ment Health J. 2017 May;53(4):490-5. https://doi.org/10.1007/s10597-016-0066-7 

  19. Kim MA, Kim SJ, Cho H. Effects of tactile stimulation by fathers on physiological responses and paternal attachment in infants in the NICU: a pilot study. J Child Health Care. 2017 Mar;21(1):36-45. https://doi.org/10.1177/1367493516666729 

  20. Lee TY, Wang MM, Lin KC, Kao CH. The effectiveness of early intervention on paternal stress for fathers of premature infants admitted to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J Adv Nurs. 2013 May;69(5):1085-95. https://doi.org/10.1111/j.1365-2648.2012.06097.x 

  21. Jo GP. Problems involved in the rearing of the children of working parents by grandparents and their suggested solutions. Korea J Child Care and Educ. 2014;84:283-99. 

  22. Park SJ, Kim SJ, Kang KA. Integrative review of nursing intervention studies on mother-infant interactions. Child Health Nurs Res. 2014 Apr;20(2):75-86. https://doi.org/10.4094/chnr.2014.20.2.75 

  23. Jung SY, Tak YR. Family-centered care for hospitalized children: concept analysis. Child Health Nurs Res. 2017 Jan;23(1):28-36. https://doi.org/10.4094/chnr.2017.23.1.28 

  24. Edell-Gustafsson U, Angelhoff C, Johnsson E, Karlsson J, Morelius E. Hindering and buffering factors for parental sleep in neonatal care. a phenomenographic study. J Clin Nurs. 2015 Mar;24(5-6):717-27. https://doi.org/10.1111/jocn.12654 

  25. Welch MG, Hofer MA, Stark RI, Andrews HF, Austin J, Glickstein SB, et 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family nurture intervention in the NICU: assessments of length of stay, feasibility and safety. BMC pediatr. 2013 Sep;13(1):148. https://doi.org/10.1186/1471-2431-13-148 

  26. Gingell Epstein E, Sherman J, Blackman A, Sinkin RA. Testing the feasibility of skype and facetime updates with parent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m J Crit Care. 2015 Jul;24(4):290-6. https://doi.org/10.4037/ajcc201582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