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유수유 중재에 관한 국내 연구논문의 통합적 고찰
Integrative Review of Domestic Research Papers on Breast-Feeding Interven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 2016년, pp.441 - 452  

최은영 (경동대학교 간호학과) ,  박복순 (강원관광대학교 간호학과) ,  박선정 (여주대학교 간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존 문헌의 통합적인 고찰을 통하여 국내에서 산모를 대상으로 수행된 모유수유 중재 교육에 대해 보고된 연구의 특성과 중재내용을 분석 평가하여 최적의 중재를 적용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대상은 1993년 1월에서 2014년 12월까지의 보고된 국내 연구로 4개의 전자 검색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다. 검색결과 76편 중 최종 15편이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Whittmore와 Knaf의 통합적 고찰 지침에 따라 연구 분석 한 결과 개별교육 중재 논문이 2편, 개별교육과 집단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진 논문은 4편, 개별교육과 집단교육, 전화 상담 및 가정방문 교육이 복합으로 이루어진 논문이 9편이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연구 설계를 통하여, 모유수유 증진에 보다 적합한 간호중재임을 증명할 수 있는 과학적인 근거가 축적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산모의 모유수유 교육에 대한 정확한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추후 모유수유 교육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지침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research into breast-feeding intervention education geared toward mothers and the content of the intervention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in an effort to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offer the best intervention. Domestic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고찰 결과 밝혀진 내용들은 모유수유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자들은 산모를 대상으로 모유수유 교육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보고한 모든 국내 연구문헌을 찾아서 기존의 체계적 문헌고찰에서 보다 확대된 개념으로 통합적 고찰(integrative review) 방법으로 체계적인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13].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국내에서 보고된 모유수유 교육중재와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확인하고, 이를 의미 있는 결과로 통합함으로써 모유수유와 관련된 교육의 구성요소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과학적인 근거중심 간호 실무의 발전을 위해서 연구결과를 축적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결과들을 체계적, 객관적으로 간호에 접목시켜야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모유수유 중재 근거중심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통합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 본 논문의 질 평가는 매우 복잡하여 연구의 선정과 제외기준을 엄격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위논문과 학술지에 게재 되었던 논문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13], 연구자와 2인의 교수가 통찰력과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서 선정과 제외기준에 부합되는 연구를 대상으로 다양한 편향에 대한 안전성과 취약성을 확인하고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모유수유의 효과와 관련된 국내 문헌을 통하여 간호중재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통합적 고찰을 실시한 것으로 연구결과 확인 되어진 모유수유 간호중재 효과의 다양한 방법을 중심으로 추후 자녀에게 긍정적인 성장 발달을 위한 간호중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최근 20년간 모유수유 교육과 관련된 국내연구논문을 통합적 고찰 방법으로 분석한 문헌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일차적으로 국내에서 보고된 모유수유 교육중재와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확인하고, 이를 의미 있는 결과로 통합함으로써 모유수유와 관련된 교육의 구성요소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국내 모유수유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과학적인 근거와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국내에서 보고된 모유수유 교육중재와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확인하고, 이를 의미 있는 결과로 통합함으로써 모유수유와 관련된 교육의 구성요소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국내 모유수유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과학적인 근거와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그리하여 본 연구자들은 산모를 대상으로 모유수유 교육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보고한 모든 국내 연구문헌을 찾아서 기존의 체계적 문헌고찰에서 보다 확대된 개념으로 통합적 고찰(integrative review) 방법으로 체계적인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13].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국내에서 보고된 모유수유 교육중재와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확인하고, 이를 의미 있는 결과로 통합함으로써 모유수유와 관련된 교육의 구성요소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국내 모유수유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과학적인 근거와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사정, 모유수유의 기술, 실질적인 방법과 예측된 문제해결을 포함한 적극적인 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산모들은 모유의 우수성에 대해 알고 임신 시 모유수유를 결심하게 되지만 수유방법에 대한 지식부족과 모유수유를 방해하는 산모의 유방 형태로 인해 산후 초기 모유수유 실천을 저해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7]. 그러나 임신 중 산전 진찰과정에서 유방사정, 모유수유의 기술, 실질적인 방법과 예측된 문제해결을 포함한 적극적인 교육은 모유수유 실천을 높이는 한 방법으로 작용한다[7].
모유란? 모유는 모체로부터 분비되는 자연영양으로 아기에게 필요한 모든 영양소가 포함되어진 이상적인 식품이며 면역반응의 발달로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감염을 낮추고 치열이나 치과 문제를 감소시키며 지능을 발달시킨다[1]. 모유수유를 통해 산모는 자궁수축이 잘되고 임신전의 외모로 쉽게 회복되며 유방암, 난소암의 발생빈도및 산후 우울이 적게 나타나게 된다[2].
모유는 아기에게 어떤 효과가 있는가? 모유는 모체로부터 분비되는 자연영양으로 아기에게 필요한 모든 영양소가 포함되어진 이상적인 식품이며 면역반응의 발달로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감염을 낮추고 치열이나 치과 문제를 감소시키며 지능을 발달시킨다[1]. 모유수유를 통해 산모는 자궁수축이 잘되고 임신전의 외모로 쉽게 회복되며 유방암, 난소암의 발생빈도및 산후 우울이 적게 나타나게 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 H. Lee, Y. S. Lee, M. S. Ko, H. J. Kim, N. J. Park, & Y. J. Park, "Maternity & women's health nursingII" Seoul. Hyunmoon. 2011. 

  2. C. M. Park, "A study on factors related to the practice of breast-feed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19, No.2, pp.23-43, 2002. 

  3. Lodermilk D. L, & Perry. S,E. "Maternity nursing(6th ed). St. Louis" Mosby Company, 2003. 

  4. S. K. Kim, Y. K. Kim, H. R. Kim, J. S. Park, C. G. Son, & Y. J. Choi, "The 2012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Family Health & Welfare in Korea" Health and Social Affairs, pp.415-441, 2012. 

  5. S. E. Yun, "Effect of the breast feeding knowledge, method and feeding rate in primipara about the education of breast feeding according to the stage of the prenatal and postnatal peri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 Ju University, Kong Ju, 2003. 

  6. Boucher, C.A, Brazal, P.M, Graham-Certosini C, Carnaghan-Sherrard K, & Feeley N, "Mothers' breast feeding experience in the NICU" Neonatal Network, Vol.30, pp.21-28, 2011. DOI: http://dx.doi.org/10.1891/0730-0832.30.1.21 

  7. G. J. Jang, & S. H. Kim, "The effect of postpartum breast feeding support on the breast feeding prevalenc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6, No.2, pp.117-126, 2010. 

  8. C. H. Lin, S. C. Kuo, K. C. Lin, & T. Y. Chang, "Evaluating effects of prenatal education programme on women with caesarean delivery in Taiwa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17, No.21, pp. 2838-2845, 2008. DOI: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8.02289.x 

  9. J. O. Joo, "Impact of nipple and areola extensibility and ease of milk extraction during early postpartum period on nipple pain and continuation of breast-feed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08. 

  10. Dhandapany G, Bethou A, A run agirinathan A, & Ananthakrishnan S. "Antenatal counseling on breast feeding - is it adequate a descriptive study from pondicherry. india" International Breast feeding Journal, Vol.3, No.5, pp.1-4. 2008. DOI: http://dx.doi.org/10.1186/1746-4358-3-5 

  11. E. K. Yoo, M. H. Kim, & W. S. Seo, "A study on the rate of breast-feeding practice by education and continuous telephone follow-up" Korean J Women Health Nursing, Vol.8, No.3, pp.424-434, 2002. 

  12. De Gagne J. C, & Oh. J, "Health promotion education in a virtual world: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8, No.1, pp.81-93, 2012.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1.081 

  13. Whittemore R, & Knafl K. "The integrative review: updated methodolog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52, No.5, pp.546-551, 2005. DOI: http://dx.doi.org/10.1111/j.136 

  14. Cochrane. (2010, April 16). Arailable. Retrieved July 20, 2010, from http://www.cc-ims./net/revman/download. 

  15. Slim. K, Nini. E, Forestier. D, Kwiatkowski. F, Panis. Y, & Chipponi. J, "Methodological index for non-randomized studies (MINOR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ew instrument ANZ " Journal of Surgery, Vol.73, No.9, pp. 712-716, 2003. DOI: http://dx.doi.org/10.1046/j.1445-2197.2003.02748.x 

  16. S. J. Park, S. J. Kim, & K. A. Kang, "Integrative review of nursing intervention studies on mother-infant interaction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20, No.2, pp.75-86, 2014. DOI: http://dx.doi.org/10.4094/chnr.2014.20.2.75 

  17. The Korean Committee for UNICEF. "Baby-friendly hospital initiative: revised, updated and expanded for integrated care Seoul" The Korean Committee for UNICEF, Vol.76, No.7, pp.96-108, 2009. DOI: http://dx.doi.org/10.1046/j.1365-2648.2002.02148.x 

  18. Ho I, & Holroyd. E, "Chinese women's perceptions of the effectiveness of antenatal education in the preparation for motherhood"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38, pp.74-85, 2002. 

  19. M. S. Lee, E. R. Kim, H. S. Jin, J. W. Shim, M. H. Kim, & J. W. Lim, "A multicenter study of preterm birth weight and gestational age-specific neonatal survival rate and causes of death" Korean Journal of Perinatology, Vol.21, No.4, pp.369-376, 2010. 

  20. Y. H. Sung, N. Y. Lim, K. O. Park, J. H. Jung, I. G. Kwon, & U. S. Kim, "Job analysis for role identification of clinical nurses with expanded role: Clinical nurse wit education and clinical nurse with coordina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15, No.2, pp.139-155, 2009. 

  21. J. K. Kim, H. M. Choi, & E. J. Ryu, "Postnatal breast-feeding knowledge, techniques and rates of first-time mothers depending on a prenatal breast-feeding education method" Journal of Koean Academic Social Nursing Education, Vol.17, No.1, pp.90-99, 2011.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1.17.1.090 

  22. Y. S. Jang, "Effects of a maternal role promotion program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on maternal role strain,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maternal identity"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Vol.11, No.4, pp.472-480, 2005. 

  23. S. E. Yun, H. K. Lee, "Effects of breast-feeding adaptation, attitude and practice of primipara depending on method of postpartum breast-feeding education" Korean Journal Women Health Nursing, Vol.18, No.2, pp.75-84, 2012.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2.18.2.75 

  24. E. S. Chung, "Factors related to breast milk insufficient supply syndrome" Journal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Vol.12, pp.605-618, 2002. 

  25. S. O. Lee, "A study about breast feeding knowledge, attitude and problem of breast feeding in early postpartum period and breast feeding practice" Korean J Women Health Nurs, Vol.9, No.2, pp.179-188, 2003. 

  26. S. E. Yun, & H. K. Lee, "Effects of breast-feeding adaptation, attitude and practice of primipara depending on method of postpartum breast-feeding educat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18, No.2, pp.75-84, 2012.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2.18.2.75 

  27. J. Cho, H. Y. Ahn, S. Ahn, M. S. Lee, & M. H. Hur, "Effects of oketani breast massage on breast pain, the breast milk pH of mothers, and the sucking speed of neonate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18, No.2, pp.149-158, 2012.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2.18.2.149 

  28. K. H. Kim, & E. A. Cho, "Knowledge, attitude and educational needs regarding breastfeeding of women's mothers and mother-in-law" Korean J Food Culture, Vol.28, No.2, pp.303-311, 2013. DOI: http://dx.doi.org/10.7318/KJFC/2013.28.3.303 

  29. Chen. S, Binns. C. W, Liu. Y, Maycock. B, & Zhao. Y, et al. "Attitudes towards breastfeeding-the iowa infant feeding attitudes scale in chinese mothers living in china and australia" Asia Pac J Clin Nutr, Vol.22, pp.266-269, 2013. 

  30. A. Y. Loke, L. K. S. Chan, "Maternal breast feeding self efficacy and the breast feeding behaviors of newborns in the practice of exclusive breast feeding" J Obstet Gynecol Neonatal Nurs, Vol.42, pp.672-684, 2013. DOI: http://dx.doi.org/10.1111/1552-6909.122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