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 표면 분석을 이용한 견과류 첨가 쌀 쿠키의 품질 특성 및 최적화
Quality Characteristics and Optimization of Rice Cookies with Nut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4 no.2, 2014년, pp.208 - 216  

진소연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전공) ,  이은지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전공) ,  김명현 (숙명여자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 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optimization of mixing ratio of rice flour, potato starch and soybean flour baking domestic rice cookies with nuts.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ith a central composite design comprising 5 levels and 3 variables, was used to identify the optimal combination of r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량이 급감하고 있는 쌀의 소비를 촉진하도록 밀가루를 쌀가루로 대체하고, 영양성을 높이기 위하여 버터와 달걀을 견과류와 콩가루, 전분으로 대체한 쌀 쿠키를 제조하고자 한다. 견과류가 첨가된 쌀 쿠키의 식감을 높이기 위하여 쌀가루, 전분, 콩가루의 최적 배합비를 구하고자 반응 표면 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에 의해 16가지 조건으로 쌀 쿠키를 제조한 후, 쌀 쿠키의 품질 특성 및 관능 특성을 분석하여 최적의 제조 조건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견과류를 첨가한 쌀 쿠키의 품질 특성 및 관능적 최적화를 목적으로 반응 표면 분석을 통해 쿠키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고, 관능적인 최적 배합 레시피를 산출하였다. 중심 합성 계획법(CCD)에 따라 쌀가루(X1), 전분(X2), 콩가루(X3)의 양을 독립변수로 하여 실험을 계획하고, data를 분석한 후 최적화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쿠키는 어떤 식품인가? 최근 건강한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영양 강화 쿠키나 기능성 물질이 첨가된 기능성 쿠키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Cheon et al 2013). 그러나 쿠키는 동물성 지방인 버터와 단순 당인 설탕이 많이 함유된 식품이기에 건강적 측면을 강조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특히 제과제빵에 있어서는 버터나 우유, 달걀과 같은 동물성 재료들이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은 비교적 콜레스테롤과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편이다.
쌀의 소비는 주로 어떤 형태인가? )은 우리나라의 주식으로 밥 중심의 식생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여 왔으나, 식생활이 점차 서구화 됨에 따라 면류나 제과, 제빵과 같은 밀의 수요는 증가하는 반면, 쌀의 소비는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쌀의 소비는 약 95%가 주식인 밥의 형태로 소비되고 있으며, 2∼3%정도만이 음료, 주류 및 한과 등과 같은 가공품의 형태로 소비되고 있다(Park et al 2012).
증가하는 건강 기능성 제과 제빵의 수요에 따라 밀가루를 쌀가루로 대체하고 있는데, 쌀가루의 한계점은? 최근 밀가루의 단백질인 글루텐으로 인한 알레르기 또는 글루텐 흡수 장애 등의 건강 문제가 대두되면서, 밀가루 대신 쌀가루를 활용하여 가공 식품을 개발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Lee et al 2013). 그러나 쌀의 단백질은 글루텐과 같이 점탄성의 형성이 어렵고, 발효과정에서 CO2를 만들어 내지 못하기 때문에(Aleksandra et al 2012) 쌀가루를 제품에 이용할 경우, 제품의 경도 증가, 부피 감소 및 관능적인 식감이 낮은 어려움이 있다(Lee et al 2013). 그러므로 쌀가루를 활용한 제과, 제빵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는데, 쌀 쿠키 제조시 전분을 첨가하면 경도를 감소시키며(Lee et al 2013), 콩가루를 첨가하면 바삭거리는 쿠키의 물성을 조절할 수 있다 (Lee & Lim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ACC (2000) Approved Method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The Association. St. Paul, MN, USA. Method 10-50D. 

  2. Alecksandra T, Miroslav H, Tamara D (2010) Rheological,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of gluten-free bread formulations based on rice and buck wheat flour. Food Hydrocolloids 24: 626-632. 

  3. Brouns F (2002) Soya isoflavone: A new and promising ingredient for the health foods sector. Food Res Int 35: 187-193. 

  4. Chabot JF (1979) Preparation of food science sample for SEM. SEM 3: 279-286. 

  5. Cheon CJ, Kim YH, Oh JC, Kim JK, Yu HH (2013) Optimization of the preparation of domestics wheat cookies by addition of red radish (Raphanus sativus L.) sprout powder. Korea J Food Sci Technol 45: 441-450. 

  6. Choi MH, Yoh EA (2013) Analysis on vegan fashion beauty products for development of brand strategies. J Living Science Research 39: 103-120. 

  7. Gisslen W (2001) Professional Baking John Wiley. Sons Inc., New York. p 403. 

  8. Han SM, Han JA (2011)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et noodle containing germinated small black bean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597-602. 

  9. Jung JY, Kim WJ, Chung HJ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germinated soybean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260-1266. 

  10. Jung YJ, Seo HS, Myung JE, Shin JM, Lee EJ, Hwang IK (2007)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based on goami 2 with sesames(white and black) and perilla see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785-792 

  11. Kwon YR, Jung MH, Cho JH, Song YC, Kang HW, Lee WY, Youn K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prepared with different amylose cont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832-838. 

  12. Lee JK, Lim JK (2013) Effects of roasted soybean flour on textural properties of rice cook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426-1432. 

  13. Lee JK, Oh SH, Lim JK (2013) Effects of tapioca starch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9: 469-478. 

  14. Lee SL, Jeong S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ou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98-105. 

  15. Park BH, Cho HS, Park SY (2005)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Lycii fructu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94-102 

  16. Park GS, Kim KE, Park SY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rple sweet potato muffins containing rice flour. Korean J Food Preserv 19: 833-84. 

  17. Pyun JW, Nam HW, Woo IA (2001)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andu-Pi differing in roasted soy flour content. Korean J Food Nutr 14: 287-2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