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미강 첨가량에 따른 단기숙성 간장의 제조 및 특성 분석
Characteristic Analysis and Production of Short-Ripened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Added with Rice Bra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4, 2014년, pp.550 - 556  

정수지 ((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신미진 (순창군장류사업소) ,  정성엽 ((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양희종 ((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정도연 ((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강은 우수한 영양과 기능적 가치를 함유하고 있지만 식미를 떨어뜨리고 저장성이 매우 낮아 효과적인 활용에 어려움을 갖고 있다. 따라서 간장의 원재료인 대두와의 혼합을 통한 다양한 맛 추구와 전분 및 단백 분해력이 높은 균주를 활용해 낱알형태의 콩알메주를 제조해 총 질소 함량의 증가를 통하여 약 12개월의 간장 제조 기간을 약 1개월로 단축하고자 콩알메주와 미강을 5:5, 7:3, 9:1, 10:0의 비율로 25%의 염수에 담구고 발효하면서 특성을 비교하였다. pH의 변화는 발효 0일 평균 pH 5.82에서 2주간 발효 후 pH는 평균 6.01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당도는 초기 $21{\sim}22^{\circ}Brix$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제조한 간장 모두 $30{\sim}32^{\circ}Brix$로 높아졌고, 염도 또한 발효기간 중 모든 실험구에서 20% 이하로 일정 수준을 유지하며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총 질소의 경우 발효 2주차에 1.62%로 9:1과 10:0 비율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고,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비율별 실험구에서 48.02~62.95 mg%으로 발효기간에 따라 증가 하였으며, 발효 2주 후에는 448.84~625.52 mg%를 나타냈다. 바이오제닉 아민히스타민티라민 함량은 앞서 보고된 일반 전통간장(히스타민; 225.9 mg/kg, 티라민; 241.6 mg/kg) 및 양조간장(히스타민; 129.8 mg/kg, 티라민; 594.5 mg/kg)에 비해 본 연구에서 제조한 간장이 히스타민 35.85~72.81 mg/kg, 티라민 41.04~75.31 mg/kg으로 적게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9:1의 비율의 처리구가 8,804.03 mg/kg으로 가장 높았으며, 구수한 맛을 내는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의 함량 역시 각각 504.25 mg/kg과 1,262.25 mg/kg으로 높았고, 단맛을 내는 serine과 alanine의 경우에도 각각 49.50 mg/kg과 518.75 mg/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관능평가 결과 총 질소, 아미노태 질소, 바이오제닉 아민,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에서 모두 우수한 결과를 보였던 9:1의 비율로 제조한 간장의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ice bran contains both excellent nutritional value and functional advantages. Its utilization is limited due to reducing texture and low storage. To satisfy various tastes, Bacillus spp. having high amylase and protease activities were selected. Using the strains, we made whole grain soybean Meju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전통간장의 제조 기간을 줄이고자 protease 및 amylase 활성이 높은 선별균주를 이용하여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갖고 있지만 식미 및 저장성에 단점을 갖고 있는 미강을 첨가하여 기능성 및 기호도가 우수하고 다양한 맛을 낼 수 있는 단기숙성 간장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강은 무엇인가? 미강은 벼를 도정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로 풍부한 식이섬유뿐만 아니라 vitamin B군과 vitamin E, Ca, P, Mg, F와 같은 미네랄, 항산화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비만방지 및 간장, 신장의 기능 개선에 매우 효과적이며(11), 염증반응 억제 활성(12), 혈압상승 억제 작용(13) 및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14)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우수한 영양과 기능적 가치를 함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강은 식품의 식미를 떨어뜨리고 저장성이 매우 낮아 효과적인 활용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15).
미강은 어떤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는가? 미강은 벼를 도정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로 풍부한 식이섬유뿐만 아니라 vitamin B군과 vitamin E, Ca, P, Mg, F와 같은 미네랄, 항산화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비만방지 및 간장, 신장의 기능 개선에 매우 효과적이며(11), 염증반응 억제 활성(12), 혈압상승 억제 작용(13) 및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14)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우수한 영양과 기능적 가치를 함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강은 식품의 식미를 떨어뜨리고 저장성이 매우 낮아 효과적인 활용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15).
전통간장의 원료인 메주 제조과정과 간장 발효 및 숙성 기간이 장기간 소요되어 산업화가 어려워 생산량이 적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어떤 것이 있는가? 또한 전통간장은 간장의 제조 원료가 되는 메주의 제조 과정이 약 2개월이 소요되고, 간장의 발효 및 숙성 기간이 약 6개월에서 1년 정도의 장기간이 소요되므로 산업화가 어려워 간장의 쓰임새에 따라 소비량은 많으나 생산량이 적은 문제점이 있다(16,17).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Aspergillus oryzae, Aspergillus sojae 또는 Bacillus spp.를 종균으로 접종하거나, protease 및 amylase 등 역가가 높은 시판 효소를 메주 제조 시 적용하여 메주의 제조 기간을 단축시키기도 한다(18). 특히 Aspergillus 속 균류와 Bacillus 속 세균을 이용하여 콩알메주를 제조할 경우 발효기간을 단축시킨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었다 (19,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Choi SY, Sung NJ, Kim HJ. 2006. Physicochemical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 of fermented soy sauce from Gorosoe (Acer mono max) and Kojesu (Brtula costata T.) saps. Korean J Food & Nutr 3: 318-326. 

  2. Kim JG, Chung YG, Yang SH. 1985. Effective components on the taste of ordinary Korean soy sauce. Kor J Appl Microbiol Bioeng 13: 285-287. 

  3. Choi UK, Park JH. 2004. Evaluation of taste in Kanjang made with barley bran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75-80. 

  4. Chung MJ, Jo JS, Kim HJ, Sung NJ. 2001. The components of the fermented soy sauce from Gorosoe and bamboos sap. Korean J Food & Nutr 14: 167-174. 

  5. Kang IJ, Ham SS, Chung CK, Lee SY, Oh DH, Do JJ. 1999.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soy sauce from mountain herb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203-1210. 

  6. Oh HS, Kim JH. 2006. Development of functional soybased stew sauce including hot water extract of Cornus officinalis S. et Z. Korean J Food Culture 21: 550-558. 

  7. Shim SL, Ryu KY, Kim W, Jun SN, Seo HY, Han KJ, Kim JH, Song HP, Cho NC, Kim KS. 200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edicinal herbs Ganjang. Korean J Food Preserv 15: 243-252. 

  8. Won SB, Oh KH, Jung SY, Song HS. 2012. Sensory evaluation of Hutgae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for soy sauce development. Korean J Food & Nutr 25: 266-273. 

  9. Kaneko K, Tsuji K, Kim CH, Otoguro C, Sumino T, Aida K, Sahara K, Kaneda T. 1994. Contents and compositions of free sugars, organic acids, free amino acids and oligopeptides in soy sauce and soy paste produced in Korea and Japan.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41: 148-156. 

  10. Kwon OJ, Kim TW, Kim MA, Kim DG, Lee SH, Son DH, Choi YK. 2010.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sauce made with salts obtained from deep ocean water. Korean J Food Preserv 17: 820-825. 

  11. Bae SM, Kim JH, Cho CW, Jeong TJ, Yoon HS, Byun MW, Lee SC. 2002.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hull, rice bran and br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246-250. 

  12. Choi SP, Kang MY, Nam SH. 2004.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the pigmented rice brans on inflammatory reaction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222-227. 

  13. Lee KY, Kim JH, Son JR, Lee JS. 2001. Detection and extraction condition of physiological compounds from bran of Heugjinju rice (Oryza sativa L.).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296-301. 

  14. Ha TY, Han S, Kim SR, Kim IH, Lee HY, Kim HK. 2005. Bioactive components in rice bran oil improve lipid profiles in rat fed a high-cholesterol diet. Nutr Res 25: 597-606. 

  15. Lee JH, Oh SK, Kim DJ, Yoon MR, Chun A, Choi IS, Lee JS, Kim YG. 2013.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by different extraction temperatures of some commercially available cultivars of rice bran in Korea. Korean J Food & Nutr 26: 1-7. 

  16. Ryu BH, Cho KJ, Chae YJ, Park CO. 1993. Thermal koji hydrolysis for rapid fermentation of soy sauce. J Korean Soc Food Nutr 2: 215-221. 

  17. Kim DH, Kim SH. 1999.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whole soybean cereals fermented with Mucor and Rhizopus strain.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76-182. 

  18. Kim HJ. 2004. Studies on the manufacturing and characterization of soy sauce with whole grain soybean Meju. PhD Dissertation. Changwon National Universtiy, Changwon, Korea. 

  19. Park CK, Nam JH, Song HI, Park HY. 1989. Studies on the shelf-life of the grain shape improved meju.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876-883. 

  20. Lee SS. 1995. Meju fermentation for a raw material of Korean traditional soy products. Korean J Mycol 23: 161-175. 

  21. Chae SK, Kang GS, Ma SJ, Bang KW, Oh MH. 2006. Analysis of standard food. 3rd ed. Jigu Publishing Co., Seoul, Korea. p 299-300. 

  22. Cho TY, Han GH, Bahn KN, Son YW, Jang MR, Lee CH, Kim SH, Kim DB, Kim SB. 2006. Evalution of biogenic amines in Korean commercial fermented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730-737. 

  23. Son DH, Choi UK, Kwon OJ, Im MH, Ban KN, Cha WS, Cho YJ, Chung YG. 2000. Changes in aflatoxin and flavor components of traditional Sigum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81-186. 

  24. Park OJ. 1995. Studies on the nitrogen and flavor components in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by two difference fermentation jars. MS Thesis. Younsei University, Seoul, Korea. 

  25. Lee EJ, Kwon OJ, Choi UK, Son DH, Kwon OJ, Lee SI, Yang SH, Im MH, Kim DG, Chung YG. 2002. Changes in taste components of Ganjang made with barley bran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85-90. 

  26. Kim JG. 2004. Changes of components affecting organoleptic quality during the ripening of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amino nitrogen, amino acids, and color-. J Fd Hyg Safety 19: 31-37. 

  27. Yoon KH, Shin HY. 2010. Medium optimization for the protease production by Bacillus licheniformis isolated from Cheongkookjang. Kor J Microbiol Biotechnol 38: 385-390. 

  28. Lee CH. 1973. Studies on the amino acid composition of Korean fermented soybean Meju products and the evaluation of the protein qual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5:210-214. 

  29. Kim JK, Kim CS. 1980. The taste components of ordinary Korean soy sauce. J Korean Agric Chem Soc 23: 89-105. 

  30. Park HK, Sohn KH. 1997. Analysis of significant factors in the flavor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II)-Analysis of nitrogen compounds, free amino acids and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Korean J Dietary Culture 12:63-69. 

  31. Kim YS, Shin DB, Koo MS, Oh HI. 1994. Changes in nitrogen compounds of tradition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89-392. 

  32. Kim MJ, Rhee HS. 1990. Studies on the changes of taste compounds during soy paste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6: 1-8. 

  33. Blackwell B. 1963. Hypertensive crisis due to monoamineoxidase inhibitors. Lancet 1: 938. 

  34. Smith TA. 1981. Amines in food. Food Chem 6: 169-200. 

  35. Beneduce L, Romano A, Capozzi V, Lucas P, Barnavon L, Bach B, Vuchot P, Grieco F, Spano G. 2010. Biogenic amine in wines. Ann Microbiol 60: 573-578. 

  36. Kim JH, Ahn HJ, Kim DH, Jo C, Yook HS, Park HJ, Byun MW. 2003. Irradiation effects on biogenic amines in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during fermentation. J Food Sci 68: 80-84. 

  37. Kirschbaum J, Rebscher K, Bruckner H. 2000.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biogenic amines in fermented foods after derivatization with 3,5-dinitrobenzoyl chloride. J Chromato A 881: 517-5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