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통 중인 과일류의 중금속 모니터링
Monitoring of Heavy Metals in Fruit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3 no.2, 2011년, pp.230 - 234  

이진하 (광주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서지우 (광주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안은숙 (광주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국주희 (광주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박지원 (광주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배민석 (광주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박상욱 (광주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유명상 (광주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는 과일류 중 중금속의 기준규격은 없으나, Codex에서는 과일류 중 납 함량 규격을 0.1 mg/kg으로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 유통 중인 과일류의 중금속 함량 규격을 설정하고자 일일 섭취량이 많은 과일 8종(오렌지, 사과, 바나나, 배, 감귤, 감, 망고, 키위), 927건을 수거하여 납, 카드뮴, 비소 및 수은 함량을 수은분석기 및 ICP-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표준용액첨가법에 의한 회수율은 납 86.0-110.4%, 카드뮴 81.0-104.0%, 비소 82.0-104.7%를 얻었으며, 수은분석기를 이용한 수은의 회수율은 106.5%이었다. 조사결과 국내유통 중인 과일류의 중금속 평균함량은 납 8.3, 카드뮴 0.7 비소 1.4, 수은 $0.3{\mu}g/kg$으로 조사되었다. 중금속의 주간섭취량을 FAO/WHO에서 안전성 평가를 위해 설정한 PTWI와 비교한 결과, 납, 카드뮴, 수은이 각각 0.17, 0.013 및 0.006%로 그 수준이 매우 낮아 우리나라에서 유통되는 이들 과일로부터 섭취하는 중금은 매우 미미하여 안전한 수준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the Codex committee, the maximum allowable level for lead in fruits is 0.1 mg/kg. This survey was conducted as a surveillance program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safety guideline for fruits in Korea. Concentrations of lead (Pb), cadmium (Cd), arsenic (As) and mercury (Hg) were meas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mg/kg 이하)의 허용기준을 제시하고 있다(8-1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통되는 국내 생산 및 수입과일 중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중 식품별 1인 1일 섭취량조사 결과를 참고하여 일일섭취량이 많은 국내 생산과일 4종과 수입과일 4종, 총 8종을 대상으로, 납과 기타 개별중금속의 함량을 조사하고, FAO/WHO의 주간잠정섭취허 용량인 PTWI(provisional tolerable weekly intake)와 비교하여 안전성을 평가하고, 필요시 과일류의 중금속 기준규격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 위생상 중요한 중금속을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면? 또한, 오염된 농수산물의 섭취로 만성 및 급성 건강장해를 일으켜, 환경오염과 더불어 최근 식품 위생상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2,3). 식품 위생상 중요한 중금속은 인체의 기능을 저해할 수 있는 유해금속(카드뮴, 비소, 수은, 납, 크롬, 니켈 등)과 유전자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독성금속(카드뮴, 코발트, 크롬, 망간, 니켈 등)으로 구별할 수 있으며, 이 중 수은, 납, 카드뮴, 비소 등은 생체성분과의 친화성이 커 식품 등에 축적되기 쉽고, 특히 생물계에서 그 필요성이 밝혀져 있지 않아 국내외적으로도 매우 엄격히 관리되고 있다(4-7). 최근 건강증진에 대한 국민의 관심도가 급속도로 높아져 육류 소비보다는 신선 과일 및 채소의 소비증가세가 뚜렷하다.
중금속의 분해는 왜 어려운가? 중금속은 비중이 4.0 이상인 금속으로 이동성이 낮고, 축적성은 높아 자연분해나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매우 어렵다(1). 또한, 오염된 농수산물의 섭취로 만성 및 급성 건강장해를 일으켜, 환경오염과 더불어 최근 식품 위생상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2,3).
우리나라에서 유통 중인 과일류의 중금속 함량을 조사한 결과는? 5%이었다. 조사결과 국내유통 중인 과일류의 중금속 평균함량은 납 8.3, 카드뮴 0.7 비소 1.4, 수은 0.3 µg/kg으로 조사되었다. 중금속의 주간섭취량을 FAO/WHO에서 안전성 평가를 위해 설정한 PTWI와 비교한 결과, 납, 카드뮴, 수은이 각각 0.17, 0.013 및 0.006%로 그 수준이 매우 낮아 우리나라에서 유통되는 이들 과일로부터 섭취하는 중금은 매우 미미하여 안전한 수준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Reilly C. Metal Contamination of Food. 3nd Ed. Elsevier Applied Science. London. UK. pp. 12-16 (2002) 

  2. Kim HY, Kim JI, Kim JC, Park JY, Lee KJ, Kim SI, Oh JH, Jang YM. Survey of heavy metal contents of circulating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238-244 (2009) 

  3. Park JS, Lee MK. A study on contents of heavy and trace metal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around mines located in Jeollanamdo. Korean J. Food Nutr. 15: 64-69 (2002) 

  4. Vulava VM, James BR, Torrents A. Copper solubility in Myersville B horizon soil in the presence of DTPA. Soil Sci. Soc. Am. J. 61: 44-52 (1997) 

  5. Kim MK, Kim WI, Jung GB, Yun SG. Safety assessement of heavy metal in agricultural products of Korea. Korean J. Env. Hlth. Soc. 20: 169-174 (2001) 

  6. WHO. GEMS/Food Total Diet Studies. World Health Organization, Kansas City, MO, USA (1999) 

  7. UNEP/FAO/WHO. Assessment of Dietary Intakes of Chemical Contaminants. UNEP, Geneva, Switzerland (1992) 

  8. WHO. Codex Committee on Food Additive and Contaminants 31st Session.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Hague, Netherlands (1998) 

  9. FAO/WHO. Summery and Conclution 51st Meeting.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JECFA), Geneva, Switzerland (1999) 

  10. FAO. Summary of Evaluations Performed by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 (JECFA). International Life Science Institute, Geneva, Switzerland (1994) 

  11. WHO. Draft Report of the 32nd Session of the Codex Committee on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Beijing, People's Republic of China (2000) 

  12. KFDA,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heongwon, Korea. pp. 9-1-1 (2008) 

  13. WHO. Lead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3),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pp. 44-54 (1977) 

  14. Kim MH, Kim JS, Sou YS, Jeong SY, Lee JU. Contents of toxic metals in fruits available on Korean market.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523-526 (2004) 

  15. Lee JO, Kim MH, Sho YS, Hu SJ, Jung SY, Kang CK, Kim EJ, Lee KS. Dietary exposure of the Korean population to arsenic, cadmium, lead, and mercury. J. Food Compos. Anal. 19: S31-S37 (2006) 

  16. Krejpcio Z, Sionkowski S, Bartela J. Safety of fresh fruits and juices available on the Polish market as determined by heavy metal residues. Pol. J. Environ. Stud. 14: 877-881 (2005) 

  17. Rob K. The 20th Australian Total Diet Survey. A Total Diet Survey of Pesticide Residues and Contaminants. Food Standards Australia New Zealand (2002-2004) 

  18. EC. Reports on tasks for scientific cooperation. Directorate-General of Health and Consumer Protection, European Commission, pp. 82-92 (2004) 

  19. Chung SY, Kim MH, Sho YS, Won KP, Hong MK. Trace metal contents in vegetable in Korea. The Annul Report of KFDA, 6: 162-168, Gwangju Regional KFDA, Korea (2002) 

  20. FDA. Total Diet Study Statistics on Element Results: Revision 4.1 Market Baskets 1991-3 through 2005-4.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ilver Spring, MD, USA. pp. 3-84 (2007) 

  21. Kim DW, Yoo CC. On the heavy metal contents of some vegetables on the super markets in Korea. Korean J. Food Nutr. 18:254-264 (2005) 

  22. Dabeka RW, McKenzie AD, Lacroix GM, Cleroux C, Bowe S, Graham RA, Conacher HB, Verdier P. Survey of arsenic in total diet food composites and estimation of the dietary intake of arsenic by Canadian adults and children. J. AOAC Int. 76: 14-25 (1993) 

  23. Tanaka TM, Aoki Y, Tamas K, Umoto F, Ohbayashi H, Sasaki M. Improved methode for determination of total mercury and its application to vegetables and fruit in markets. J. Food Hyg. Soc. Jpn. 33: 359-364 (1992) 

  24. Ysart G, Miller P, Croasdale M, Crews H, Robb P, Baxter M, de L'Argy C, Harrison N. 1997 UK total diet study-dietary exposures to aluminium, arsenic, cadmium, chromium, copper, lead, mercury, nickel, selenium, tin and zinc. Food Addit. Contam. 17:775-786 (2000) 

  25. MHW.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Report. 3rd ed.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Korea. pp. 371-391 (2007) 

  26. Uneyama C, Toda M, Morikawa K. Arsenic in various foods: Cumulative data. Food Addit. Contam. 24: 447-534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