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국 중소업체 생산 고추장의 품질 특성 평가
Evaluati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for Gochujang Produced by Small- and Medium-scale Manufacturer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6 no.3, 2014년, pp.309 - 314  

이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조전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유선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박보람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한혜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김하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기업 생산 고추장의 소비 증가로 인한 고추장 특성의 획일화를 개선하기 위해 전국의 중소업체 생산 고추장 29종을 강원도, 경기도,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에서 수집하여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고추장의 지역별 평균값은 수분함량 34.32-45.53%, 조단백질 함량 5.07-5.68%, pH 4.61-4.92, 산도 3.30-3.72%, 염도 9.93-16.14%의 범위를 보이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환원당 함량이 16.81-29.81%, 아미노태질소 함량이 191.72-660.55 mg%, 캡사이시노이드 함량이 32.49-79.58 mg/kg로 나타나 지역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alpha}$-amylase 활성과 ${\beta}$-amylase 활성은 각각 2.52-4.15 U/g과 26.36-36.47 U/g의 범위로 측정되었다. 또한 전체 중소업체 생산 고추장의 경우 수분함량 23.93-55.64%, 조단백질 함량 4.01-7.30%, 아미노태질소 함량 105.47-1092.00mg%, 캡사이시노이드 함량 8.74-181.50mg/kg으로 다양한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 한국산업표준(KS)에 적합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mprove the standardized quality of gochujang produced by major companie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29 gochujang samples produced by regional small- and medium-scale manufacturers were determined. The average moisture content, crude protein content, pH, acidity, and salinity of gochujang f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시판 고추장에 대한 연구는 재래식과 공장산 고추장의 이화학적 특성 및 향기성분 비교 등으로 1990년대에 일부 이루어졌으며 그 이후로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고, 최근에도 대기업 생산 고추장 제품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분석이 수행되고 있을 뿐 미비한 실정이다(10-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을 대상으로 한 중소업체 생산 고추장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 분석을 통하여 품질현황을 파악하고 추후 연구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3 가공식품 세분화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고추장 시장의 현황은 어떠한가? 특히 고추장, 된장을 포함한 전통 발효식품이 새롭게 주목 받고 있으며 전통음식의 세계화 등에 기인하여 장류에 대한 연구가 활기를 띠고 있는 추세이다(3). 2013 가공식품 세분화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고추장 시장은 2012년 기준 판매액이 약 1,806억 원, 판매량이 32,521톤 수준으로 꾸준히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장류 중에서도 고추장에 대한 관심 및 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4).
논문의 저자가 중소업체 생산 고추장의 DB화를 위해 강원도, 경기도,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에서 수집한 29종의 고추장의 분석 결과는 무엇인가? 대기업 생산 고추장의 소비 증가로 인한 고추장 특성의 획일화를 개선하기 위해 전국의 중소업체 생산 고추장 29종을 강원도, 경기도,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에서 수집하여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고추장의 지역별 평균값은 수분함량 34.32-45.53%, 조단백질 함량 5.07-5.68%, pH 4.61-4.92, 산도 3.30-3.72%, 염도 9.93-16.14%의 범위를 보이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환원당 함량이 16.81-29.81%, 아미노태질소 함량이 191.72-660.55 mg%, 캡 사이시노이드 함량이 32.49-79.58 mg/kg로 나타나 지역별로 유의 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α-amylase 활성과 β-amylase 활성은 각각 2.52-4.15 U/g과 26.36-36.47 U/g의 범위로 측정되었다. 또한 전체 중소업체 생산 고추장의 경우 수분함량 23.
중소업체에서는 보통 어떤 고추장을 제조하여 판매하는가? 3%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5,6). 고추장은 지역이나 제조자에 따라 그 제조법이 다양하나 대기업에서는 코오지를 이용,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토록 하고 있고 (7), 중소업체의 경우 코오지를 사용하는 개량식고추장 이외에도 메주를 사용하는 재래식고추장과 엿기름가루를 추출한 당화 효 소액으로 전분질을 당화한 고추장 등을 제조하여 판매하기도 한다. 고추장의 상품화를 위해서는 품질 유지 및 관리가 중요한데 (8,9) 대기업의 경우 대부분 규격에 맞는 제품들을 출시하는 반면 중소업체는 체계적인 품질관리가 부족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Min KH. Analysis of academic research trends pertaining to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606-618 (2009) 

  2. Na JK. A study on globalization of Korean restaurants. J. Foodserv. Manag. Soc. Korea 10: 155-179 (2007) 

  3. Shin DH. Globalization trends and prospect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Food Sci. Ind. 43: 69-82 (2010) 

  4. Park CN, Kim JK. Processed food market report of fermented soy industry. Korean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 Seoul, Korea. pp. 80-83 (2013) 

  5. Kim, DH, Kwon YM. Effect of storage conditions on the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589-595 (2001) 

  6. Jeong YJ, Seo JH, Cho HS.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prepared with commercial protease. Korean J. Food Nutr. 20: 378-383 (2007) 

  7. Hong YJ, Son SH, Kim HY, Hwang IG, Yoo SS. Volatile components of traditional gochujang produced from small farms according to each cultivation regio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 451-460 (2013) 

  8. Choi JY, Lee TS. Characteristic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kochujang prepared with commercial enzyme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6: 207-213 (2003) 

  9. Kwan DJ, Jung JW, Kim JH, Park JY, Yoo JY, Koo YJ, Chung KS. Studies on establishment of optimal aging time of Korean traditional kochujang. J. Korean Soc. Appl. Biol. Chem. 39: 127-133 (1996) 

  10. Kim YS, Kwon DJ, Oh HI, Kang TS.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nd commerci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12-17 (1994) 

  11. Kim YS, Cha J, Jung SW, Park EJ, Kim JO. Change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new quality indices for industry-produced koji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453-458 (1994) 

  12. Kim YS, Oh HI.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traditional and commerci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494-501 (1993) 

  13.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8th ed. Method 970.59.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005) 

  14.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Standard collection of traditional food (standard number T014-1993).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Seoul, Korea. pp. 90-97 (1999) 

  15. Kim MR. Development of taste visualization tables of cheonggukjang and gochujang.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Chuncheon, Korea. pp. 12-24 (2011) 

  16. Han SM, Kim DH. Effect of combined use of anti-microbial materials on storage of low salted kochujang.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 281-287 (2008) 

  17. Shin DH. Manufacturing proces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gional gochujang. Bull. Food Technol. 8: 54-78 (1995) 

  18. Food and Microbiology Team, Department of Test and Inspection. Quality Test of Popular Foods, Gochujang. Korea Consumer Agency, Seoul, Korea. pp. 14-18 (2012) 

  19. Lee IS, Lee HJ, Cho EY, Kwon SB, Lee JS, Jeong HS, Hwang Y, Cho MC, Kim HR, Yoo SM, Kim HY. Spicy hot flavor grading in hot pepper powder for gochujang in various cultivars using sensory characteristics.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2: 351-364 (2011) 

  20. Kim JW, Kim YS, Jeong PH, Kim HE, Shin DH.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roducts manufactured in folk villages of Sunchang region. J. Fd. Hyg. Safety 21: 223-230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