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간호사들 간의 의사소통 경험
Intensive Care Unit Nurse's Communication Experience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6 no.3, 2014년, pp.352 - 361  

원윤희 (동아대학교 의료원) ,  강지연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mmunication experience of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in the workplace. Methods: The present study utilized a qualitative approach using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A total of three focus groups of 15 ICU nurses from two university hosp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환자실에서 필수적인 능력인 무엇인가? 한편, 중환자실은 병원의 다른 어떤 곳보다 환자의 중증도가 높고 복잡한 치료 및 간호가 요구되는 장소이다. 따라서 응급상황에 원활하게 대처하고 업무를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구성원 간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 중환자실에 입원한 경험이 있는 환자들에게도 투약, 처치와 같은 간호사의 실무기술보다는 효과적인 의사소통에 바탕을 둔 간호사의 대인관계 기술이 더 중요한 능력으로 인식되고 있다(Peggy & Driver, 2009).
포커스 그룹 면담이란 무엇인가? 질적 연구에서 사용하는 자료수집방법 중의 하나인 포커스 그룹 면담은 참여자들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민감하고 감정적인 주제를 포함한 특정 관심 주제에 대한 풍부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게 하는 집단토의법이다(Kim, Kim, Lee, & Lee, 2000). 포커스 그룹 면담은 개인면담과는 달리 참여자들 간의 주고받는 대화를 통해 행동의 동기와 행동 방식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으므로, 매우 복잡한 구조와 동기를 지니고 있으며 또한 상호교류의 의미를 지니고 있는 간호사들 간 의사소통 현상의 본질과 의미를 이해하기에 적합한 자료수집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커스 그룹 면담을 통해 참여자들의 상호작용을 활성화하여 충분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생생하고 자유롭게 기술하는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중환자실 간호사들 간의 의사소통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간호사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효율적인 의사소통은 환자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간호사의 기본 역량인 동시에 건강한 간호 업무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요소로 간주되고 있다(American Association of Critical Care Nurse, 2005). 간호사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은 대상자의 고통을 경감하고 삶의 질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질환의 경과, 유병률, 합병증, 사망률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Schmalenberg & Kramer, 2009). 국내에서 실시된 한 연구(Lee & Kim, 2006)에 의하면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이 우수할수록 조직에 대한 몰입 정도가 높아진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merican Association of Critical Care Nurse. (2005). AACN standards for establishing and sustaining healthy work environments: A journey to excellence. American Journal of Critical-Care Nurse, 14, 187-197. 

  2. Brunetto, Y., Farr-Wharton, R., & Shacklock, K. (2011). Supervisor-subordinate communication relationships, role ambiguity, autonomy and affective commitment for nurses. Contemporary Nurse, 39, 227-239. http://dx.doi.org/10.5172/conu.2011.227 

  3. Canam, C. J. (2008). The link between nursing discourses and nurses' silence: Implications for a knowledge-based discourse for nursing practice. Advances in Nursing Science, 31, 296-307. http://dx.doi.org/10.1097/01.ANS.0000341410.25048.d8 

  4. Ceravolo, D. J., Schwartz, D. G., Foltz-Ramos, K. M., & Castner, J. (2012). Strengthening communication to overcome lateral violence.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 599-606.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12.01402.x 

  5. Duddle, M., & Boughton, M. (2007). Intraprofessional relations in nurs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9, 29-37.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7.04302.x 

  6. Garon, M. (2012). Speaking up, being heard: registered nurses' perceptions of workplace communication.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 361-371.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11.01296.x 

  7. Happ, M. B., Garrett, K., Thomas, D. D., Tate, J., George, E., Houze, M., et al. (2011). Nurse-patient communication interactions in the intensive care unit.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2), 28-40. http://dx.doi.org/10.4037/ajcc2011433 

  8. Henrikson, K., & Dayton, E. (2006). Organizational silence and hidden threats to patient safety. Health Service Research, 41, 1539-1554. http://dx.doi.org/10.1111/j.1475-6773.2006.00564.x 

  9. Im, D. S., & Jo, M. H. (2007). The study on stress, hardiness, and professional burnout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 120-127. 

  10. Jo, N. O., Hong, Y. S., & Kim, H. S. (2001). Study of nurse's interpersonal conflict and communi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7 , 369-378. 

  11. Jo, Y. A., & Kim, K. S. (2013). Effects of assertiveness training for ICU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9, 255-264. 

  12. Jo, Y. A., Kim, K. S., Kim, E. S., Park, H. M., Yu, I., Im, E. O., et al. (2009). A correlational study on ICU nurses' job stress, the way of coping, and the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 , 129-141. 

  13. Johlke, M., & Duhan, D. (2000). Supervisor communication practices and service employee job outcomes. Journal of Services Research, 3, 154-165. 

  14. Kacmar, K., Witt, L., Zivnuska, S., & Gully, S. (2003). The interactive effect of leader-member exchange and communication frequency on performance rating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8, 764-772. http://dx.doi.org/10.1037/0021-9010.88.4.764 

  15. Kim, J. L. (2009.) Perception of doctor and nurse on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in hospital ward.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6. Kim, K., Shin, K., Kim, S., You, E., Kim, N., Park, E., et al. (2005).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Seoul: Hyumoonsa. 

  17. Kim, S. J., Kim, H. J., Lee, K. J., & Lee, S. O. (2000). Research methodology of focus group. Seoul: Hyumoonsa. 

  18. Kim, Y. S., Park, J. H., & Lim, K. Y. (2006). Interpersonal conflicts and communication among medical residents, nurses and technologists,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11, 16-31. 

  19. Lee, H. S., & Kim, J. K. (2006).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typ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nurs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6, 488-496. 

  20. Lee, K. (2006). Communication problems and solutions at the health car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n Communication in Health Care, 1, 33-45. 

  21. Lee, S. H., & Jeong, S. E. (2007). The experience of verbal violence between nurses.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8, 79-89. 

  22. Miller, P. A. (2001).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in an intensive care unit.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0 , 341-350. 

  23. Park, H. J., Kang, H. S., Kim, K. H., & Kwon, H. J. (2011). Exposure to workplace violence and coping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Journal of Korean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20, 291-301. 

  24. Peggy, R., & Driver, E. (2009). Patients' perception of nurse' skill. Critical Care Nurse, 29, 24-38. http://dx.doi.org/10.4037/ccn2009241 

  25. Roberts, S. J., Demarco, R., & Griffin, A. (2009). The effect of oppressed group behaviours on the culture of the nursing workplace: A review of the evidence and interventions for change.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7, 288-293.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08.00959.x 

  26. Saint, S., Fowler, K. E., Krein, S. L., Flanders, S. A., Bodnar, T. W., Young, E., et al. (2013). An academic hospitalist model to improve healthcare worker communication and learner education: Results from a quasi-experimental study at a veterans affairs medical center. Journal of Hospital Medicine, 8, 702-710. http://dx.doi.org/10.1002/jhm.2105 

  27. Schmalenberg, C., & Kramer, M. (2009). Nurse-physician relationships in hospital: 20000 nurse tell their story. Critical Care Nurse, 29, 74-83. http://dx.doi.org/10.4037/ccn2009436 

  28. Seo, I. A., Park, K. M., & Lee, B. S. (2003). Relations between the types of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in staff nurses. Korean Society of Public Health Nursing, 17, 317-332. 

  29. Timmins, F., & McCabe, C. (2005). How assertive are nurses in the workplace? A preliminary pilot study.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3, 61-67.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04.00492.x 

  30. Weigand, M. L. (2012). Nurse-to-nurse communication in home health. Pennsylvania Nurse, 67, 19-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