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의 공감피로, 신체화 증상 및 침묵반응의 관계: 침묵반응에 대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 Fatigue, Somatization and Silencing Response among Hospital Nurs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ilencing Response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6 no.3, 2014년, pp.362 - 371  

김선화 (한양대학교병원) ,  이태화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ompassion Fatigue (CF), Somatization, and Silencing Response (SR) among nurses and understand intermediate effects between the variables. Methods: The sample of 240 nurses who were working three shifts in medical and surgical wards, and emergency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3차 의료 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공감피로 정도와 신체화 증상 및 침묵반응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교대근무를 하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공감피로, 신체화 증상 및 침묵반응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매개효과를 파악함으로서 간호현장에서 환자에게 양질의 돌봄을 제공하고,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삶의 질 향상을 제고하여 간호 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이에 주요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공감피로와 신체화 증상 및 침묵반응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매개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구체적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상간호사가 인지하는 공감피로와 신체화 증상 및 침묵반응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들 간에 매개 요인을 파악하여 이를 기초로 하여 대상자에게 양질의 돌봄을 제공하기 위한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삶의 질 향상과 건강증진에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감피로는 어떻게 나눌수 있는가? 특히, 간호사는 다양한 트라우마를 가진 대상자들을 가장 가까이에서 접하고 간호를 제공하며, 대상자가 호소하는 고통과 경험에 대해 경청하고 상담을 해주는 과정에서 간호사 자신도 모르게 대상자의 고통에 대한 정보를 흡수하여 감정이입이 일어나게 되는데 그 결과 공감피로(Compassion Fatigue)가 일어나게 된다(Figley, 1995). Stamm (2010)은 공감피로를 극도의 트라우마를 입은 대상자들에게 전문직 서비스 종사자들이 돌봄을 제공하였을 때 느끼는 부정적인 양상으로 정의하며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Secondary Traumatic Stress)와 소진(Burnout) 2개의 하부 영역으로 나누었다.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는 돌봄을 받는 대상자들에 대한 생각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에 대한 스트레스를 말하며, 소진은 직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함에 있어 절망감과 업무처리에 어려움을 느끼는 감정으로 불행감, 분리감, 근무환경에의 둔감함, 탈진, 압도됨, 늪에 빠진 느낌 등의 특성이 있다.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Secondary Traumatic Stress)와 소진(Burnout)의 특징은 무엇인가? Stamm (2010)은 공감피로를 극도의 트라우마를 입은 대상자들에게 전문직 서비스 종사자들이 돌봄을 제공하였을 때 느끼는 부정적인 양상으로 정의하며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Secondary Traumatic Stress)와 소진(Burnout) 2개의 하부 영역으로 나누었다.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는 돌봄을 받는 대상자들에 대한 생각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에 대한 스트레스를 말하며, 소진은 직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함에 있어 절망감과 업무처리에 어려움을 느끼는 감정으로 불행감, 분리감, 근무환경에의 둔감함, 탈진, 압도됨, 늪에 빠진 느낌 등의 특성이 있다. 공감피로는 사전에 경고 없이 발생하는 무가치함, 고립, 혼돈 등의 증상을 일으키며 (Figley, 1995), 나아가 다양한 신체적 질병뿐만 아니라 무기, 슬픔, 우울, 불안의 증상으로 돌봄을 제공하는 사람에 있어 업무와 생활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와 더불어 간호대상자에게 무관심해지고 감정까지 상실케 되는 소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 (Lee & Yom, 2013; Lee & Yu, 2010; O'connor, 2001).
공감피로란 무엇인가? 특히, 간호사는 다양한 트라우마를 가진 대상자들을 가장 가까이에서 접하고 간호를 제공하며, 대상자가 호소하는 고통과 경험에 대해 경청하고 상담을 해주는 과정에서 간호사 자신도 모르게 대상자의 고통에 대한 정보를 흡수하여 감정이입이 일어나게 되는데 그 결과 공감피로(Compassion Fatigue)가 일어나게 된다(Figley, 1995). Stamm (2010)은 공감피로를 극도의 트라우마를 입은 대상자들에게 전문직 서비스 종사자들이 돌봄을 제공하였을 때 느끼는 부정적인 양상으로 정의하며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Secondary Traumatic Stress)와 소진(Burnout) 2개의 하부 영역으로 나누었다.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는 돌봄을 받는 대상자들에 대한 생각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에 대한 스트레스를 말하며, 소진은 직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함에 있어 절망감과 업무처리에 어려움을 느끼는 감정으로 불행감, 분리감, 근무환경에의 둔감함, 탈진, 압도됨, 늪에 빠진 느낌 등의 특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ycock, N., & Boyle, D. (2009). Interventions to manage compassion fatigue in oncology nursing.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13(2), 183-191. http://dx.doi.org/10.1188/09.CJON 

  2. Baranowsky, A. B. (2002). Treating compassion fatigue. In C. R. Figley. (ed.). The silencing response in clinical practice: On the road to dialogue. (pp. 155-170). New York: Brunner-Routledge. 

  3. Bennett, J. A. (2000). Mediator and moderator variables in nursing research: Conceptual and statistical difference.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3, 415-420. 

  4. Byun, D. S., & Yom, Y. H. (2009). Factors effecting the burnout of clinical nurses -focused on emotional labor-.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5(3), 444-454. 

  5. Cho, C. H., & Kim, M. S. (2010, March). An effect of nurses' job stress and job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Focusing on large-sized hospital in Daegu.Gyeongbuk area. Oral session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Academic Associ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Dong-guk University, Seoul. 

  6. Derogatis, L. R., & Cleary, P. A. (1977). Factorial invariance across gender for the primary symptom dimensions of the SCL-90. The British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6(4), 347-356. 

  7. Elkonin, D., & Van der Vyver, L. (2011).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to work-related trauma of intensive care nurses in private health care facilities. Health SA Gesondheid, 16(1), 436-443. http://www.hsag.co.za doi:10.4102/hsag.v16i1.436 

  8. Figley, C. R. (1995). Compassion fatigue: Coping with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ose who treat the traumatized. New York: Brunner/Mazel. 

  9. Jeon, S. Y., & Ha, J. Y. (2012). Traumatic event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nd physical symptoms among emergency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3(1). 64-73. 

  10. Jo, S. G., & Park, M. S. (2013).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n somatization symptoms among nurse officers.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31(2), 77-90. 

  11. Kim, I. S. (2009). The role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 out, turn over intention among hospit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5(4), 515-526. 

  12. Kim, S., Kim, J. H., Park, J. Y., Suh, E. E., Yang, H. J., Lee, S. Y., et al. (2010). Oncology nurses'professional quality of life in a tertiary hospita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6(3), 145-155. 

  13. Kim, Y. G., Yoon, D. Y., Kim, J. I., Chae, C. H., Hong, Y. S., Yang, C. G., et al. (2002). Effects of health on shift-work: General and psychological health, sleep, stress, quality of life.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5(3), 247-256. 

  14. Kwon, S. M. (2003). Contemporary abnormal psychology. Seoul: Hakjisa. 

  15. Lee, J. M., & Yom, Y. H. (2013). Effects of work stress,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in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9(5), 689-697.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5.689 

  16. Lee, J. Y., & Yu, K. L. (2010). Compassion fatigue: Implications for counselor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1(1), 19-36. 

  17. Neville, K., & Cole, D. A. (2013). The relationships among health promotion behaviors, compassion fatigue, burnout, and compassion satisfaction in nurses practicing in a community medical center.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43(6), 348-354. http://dx.doi.org/10.1097/NNA.0b013e3182942c23 

  18. Novy, D., Berry, M. P., Parmer, J. L., Mensing, C., Willey, J., & Bruera, E. (2005). Somatic symptoms in patients with chronic non-cancer-related and cancer-related pain.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29(6), 603-612. http://dx.doi.org/10.1016/j.jpainsymman.2004.09.005 

  19. O'connor, M. F. (2001). On the etiology and effective management of professional distress and impairment among psychologist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2(4), 345-350. http://dx.doi.org/10.1037/0735-7028.32.4.345 

  20. Oh, H. J. (2008). The impact of job stress and alexithymia on somatiz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21. Oh, J. H., & Lim, N. Y. (2006).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secondary traumatic stress, burnout, and physical symptoms in fire fighter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3(1), 96-106. 

  22. Park, H. J. (2009). Emotional labor, emotional expression and burnout of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5(2), 225-232. 

  23. Pfifferling, J. H., & Gilley, K. (2000). Overcoming compassion fatigue. Family Practice Management, 7(4), 39-46. 

  24. Shin, M. K., & Kang, H. L. (2011).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occupational stress on somatization in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7(2), 158-167. 

  25. Showalter, S. E. (2010). Compassion fatigue: What is it? why does it matter? recognizing the symptoms, acknowledging the impact, developing the tools to prevent compassion fatigue and strengthen the professional already suffering from the effects. American Journal of Hospice & Palliative Medicine, 27(4), 239-242. http://dx.doi.org/10.1177/1049909109354096 

  26. Stamm, B. H. (2010). The concise ProQOL manual(2nd ed.). Pocatello, ID: ProQOL.org. 

  27. Vitello-Cicciu, J. M. (2003). Innovative leadership through emotional intelligence. Nursing Management, 34(10), 28-33. 

  28. Yom, Y. H., & Kim, H. J. (2012). Effects of compassion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 fatigue and burnout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6), 870-878. http://dx.doi.org/10.4040/jkan.2012.42.6.870 

  29. Yoon, K. S., & Kim, S. Y. (2010). Influences of job stress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6(4), 507-5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