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방암 환자의 운동치료 효과에 대한 문헌고찰
Literature Review of Exercise Therapy Effects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2 no.2, 2014년, pp.49 - 58  

김인섭 (대전보건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exercise therapies for breast cancer patients through review analysis of the rehabilitation they had usually received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ir lives. Exercise therapy for breast cancer patients has proven to be highly effective, so 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국내·외 최근 자료를 바탕으로 유방암 환자들에 대한 운동치료의 종류, 강도 및 빈도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합한 운동 치료 프로그램을 새롭게 제안하여 유방암 환자에 대한 운동치료 방법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신체적, 정신적인 문제의 해결을 위한 운동치료 방법의 효과에 대하여 최근 자료를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그 결과, 신체적 문제 해결 측면에서 운동치료는 피로, 근력약화 및 제한된 관절가동범위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조기에 적용할 것을 추천하였고, 적용 시점은 수술 및 항암치료 전과 후라 할지라도 조기에 시작하며 종류와 강도보다는 빈도가 중요하며, 특히 3회 이상은 실시하여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의 암 발생 건수는 어떤 추세를 보이고 있는가? 암은 세계적으로 가장 큰 관심의 대상이 되는 질병으로 매년 6백만 명 이상이 암으로 생명을 잃어가고 있으며, 전체 사망 원인의 13%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김석진 등, 2008). 국내의 암 발생 건수를 보면 2001년에 비해 2002년에는 전년대비 7.7% 증가하였으며(최은옥, 2005), 보건복지가족부(2010)에 따르면 2007년 국내 암발생 건수는 남성이 8만 명 그리고 여성이 7만 명 이상으로 현재까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유방암에 대한 치료는 주로 어떤 치료를 진행하는가? 일반적으로 유방암에 대한 치료는 유방 절제술 및 항암 치료가 주된 치료 방법이다(Deutsche, 2007). 하지만 수술과 항암치료는 유방암 환자에게 전신 피로, 상지 관절가 동범위 및 근력약화와 같은 문제와 우울증과 같은 정신과적 질환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유방 절제술 및 항암 치료는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일반적으로 유방암에 대한 치료는 유방 절제술 및 항암 치료가 주된 치료 방법이다(Deutsche, 2007). 하지만 수술과 항암치료는 유방암 환자에게 전신 피로, 상지 관절가 동범위 및 근력약화와 같은 문제와 우울증과 같은 정신과적 질환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로 수술과 항암치료 후에 유방암 환자의 최대산소섭취량은 정상인과 비교하여 평균 4분의 1 수준으로 전신피로 상태에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산소섭취량의 저하 는 운동 실행력 감소로 이어지고, 상지 관절가동범위 및근력약화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MacVicar 등, 1989). 이에 따라 대부분의 유방암 환자들은 만성피로증후군의 증상과 누적된 피로에 초점을 맞추어 활동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처방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 었다(한신희, 2004; Drosselmeyer,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김미숙(2004), 10주간 수영프로그램이 유방암절제술 환자의 신체조성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2(4), 163-172. 

  2. 김석진, 김원중, 이명천(2008). 암 예방을 위한 신체활동 총론.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8(2), 67-77. 

  3. 보건복지가족부(2010). 암발생률. 2010년 6월 9일 검색, http://stat.mw.go.kr/ 

  4. 소향숙, 윤정한, 김인숙 등(2006). 탄력 밴드를 이용한 유산소운동이 유방절제술 여성의 신체적 기능과 신체상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6(7), 1111-1122. 

  5. 엄애용(2006). 양(Yang)식 타이치(Tai Chi)운동을 적용한 유방암 환자 조기 재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 이규완, 이충휘, 조상현 등(2001). 유방 절제술 후 조기 운동 프로그램의 치료 효과.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8(1), 35-50. 

  7. 이명화(1995). 율동적 운동요법이 유방절제술 환자의 퇴원 후 적응상태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 조남기(2008). 유방암 환자의 여가적 댄스 스포츠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 효능감 향상과 건강 기대에 관한 반성적 고찰.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2(3), 211-219. 

  9. 조옥희(2004). 유방절제술 환자를 위한 통합적 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0. 정일규, 오명진(2010). 운동의 항암효과와 암 치료를 위한 보조요법으로서의 운동처치.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0(2), 755-768. 

  11. 류기형, 김미숙(2010). 15주간 재활프로그램이 위암과 유방암 환자의 건강관련체력과 대사증후군 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0(2), 611-620. 

  12. 채영란, 최명애(2001). 유방암 수술 후 방사선 치료중인 환자를 위한 운동프로그램이 심폐기능 및 어깨 관절 기능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1(3), 454-466. 

  13. 최은옥(2005). 암환자의 심리사회적 기능, 측정 도구 및 중재 효과에 관한 고찰.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7(2), 31-48. 

  14. 한신희(2004). 암 환자의 운동요법.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4(1), 1-9. 

  15. 한국유방암학회(2008). 유방암백서. 2006-2008. 

  16. Atkinson C, Lampe JW, Tworoger SS et al(2004). Effects of a moderate intensity exercise intervention on estrogen metabolism in postmenopausal women.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13(5), 868-874. 

  17. Bardia A, Hartmann LC, Vachon CM et al(2006). Recreational physical activity and risk of postmenopausal breast cancer based on hormone receptor status. Arch Intern Med, 166(22), 2478-2483. 

  18. Baumann FT, Schuele K, Herweg C et al(2008). Bewegungstherapie und sport bei Krebs. Colon, Deutscher Aerzte-Verlag. 

  19. Box RC, Reul-Hirche HM, Bullock-Saxton JE et al(2002). Shoulder movement after breast cancer surgery: results of a randomised controlled study of postoperative physiotherapy. Breast Cancer Res Treat, 75(1), 35-50. 

  20. Bowers L, Boyle DA(2003). Depression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Clin J Oncol Nurs, 7(3), 281-288. 

  21. Burnham TR, Wilcox A(2002). Effects of exercise o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in cancer survivors. Med Sci Sports Exerc, 34(12), 1863-1867. 

  22. Cheema B, Gaul CA, Lane K et al(2008). Progressive resistance training in breast cancer: a systematic review of clinical trials. Breast Cancer Res Treat, 109(1), 9-26. 

  23. Courneya KS, Mackey JR, Jones LW(2000). Coping with cancer: can exercise help?. Phys Sportsmed, 28(5), 49-73. 

  24. Courneya KS, Segal RJ, Mackey JR et al(2007). Effects of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in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adjuvant chemotherapy: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Clin Oncol, 25(28), 4396-4404. 

  25. Dimeo F(2000). Exercise for cancer patients: a new challenge in sports medicine. West J Med, 173(4), 272-273. 

  26. Deutsche K(2007). Bewegung und sport bei Krebs. Bonn, Chlorfreiem. 

  27. Droseelmeyer N(2008). Auswirkungen einer 3-monatigen Krafttrainingsintervention die Kongnitionsleistung von Mammakarzinompatientinnen waerend der chemotherapeutischen Bahandlung. DeutsheSporthochsch in Koeln, Colon, Diplomarbeit. 

  28. Eyigor S, Karapolat H, Yesil H et al(2010). Effect of pilates exercise on functional capacity, flexibility, fatigue,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Eur J Phys Rehabil Med, 46(4), 481-487. 

  29. Hayes SC, Spence RR, Galvao DA et al(2009). Australian association for exercise and sport science position stand: optimizing cancer outcomes through exercise. J Sci Med Sport, 12(4), 428-434. 

  30. Herrero F, San Juan AF, Fleck SJ et al(2007). Effects of detraining on the functional capacity of previously trained breast cancer survivors. Int J Sports Med, 28(3), 257-264. 

  31. Isaksson G, Feuk B(2000). Morbidity from axillary treatment in breast cancer--a follow-up study in a district hospital. Acta Oncol, 39(3), 335-336. 

  32. Jackson AL, Loeb LA(2001). The contribution of endogenous sources of DNA damage to the multiple mutation in cancer. Mutat Res, 477(1-2), 7-21. 

  33. Kilbreath SL, Refshauge KM, Beith JM et al(2006). Progressive resistance and stretching following surgery for breast cancer: study protocol for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C cancer, 6, 273. 

  34. Kirshbaum MN(2007). A review of the benefits of whole body exercise during and after treatment for breast cancer. J Clin Nurs, 16(1), 104-121. 

  35. Kolden GG, Strauman TJ, Ward A et al(2002). A pilot study of group exercise training(GET) for women with primary breast cancer: feasibility and health benefits. Psychooncology, 11(5), 447-456. 

  36. Lee SA, Kang JY, Kim YD et al(2010). Effects of a scapula-oriented shoulder exercise programme on upper lime dysfunction in brest cancer survivors: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Clin rehabil, 24(7), 600-613. 

  37. Lucia A, Earnest C, Perez M(2003). Cancer-related fatigue: can exercise physiology assist oncologists?. Lancet Oncol, 4(10), 616-625. 

  38. MacVicar MG, Winningham ML, Nickel JL(1989). Effects of aerobic interval training on cancer patients' functional capacity. Nurs Res, 38(6), 348-351. 

  39. Mantovani G, Madeddu C, Maccio A et al(2004). Cancer-related anorexia/cachexia syndrome and oxidative stress: an innovative approach beyond current treatment.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13(10), 1651-1659. 

  40. McNeely ML, Campbell K, Ospina M et al(2010). Exercise interventions for upper-limb dysfunction due to breast cancer treatment. Cochrane Database Syst Rev, 16(6), CD005211. 

  41. Mock V, Pickett M, Ropka ME et al(2001). Fatigue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of exercise during cancer treatment. Cancer Pract, 9(3), 119-127. 

  42. Na YM, Lee JS, Park JS et al(1999). Early rehabilitation program in postmastectomy patients: a prospective clinical trial. Yonsei Med J, 40(1), 1-8. 

  43. Pasacreta JV(1997). Depressive phenomena, physical symptom distress, and functional status among women with breast cancer. Nurs Res, 46(4), 214-221. 

  44. Pinto BM, Trunzo JJ(2004). Body esteem and mood among sedentary and active breast cancer survivors. Mayo Clin Proc, 79(2), 181-186. 

  45. Pukhalsky AL, Shmarina GV, Alioshkin VA et al(2008). HPA axis exhaustion and regulatory T cell accumulation in patients with a functional somatic syndrome: Recent view on the problem of gulf war veterans. J Neuroimmunol, 196(1-2), 133-138. 

  46. Schwartz AL, Mori M, Gao R et al(2001). Exercise reduces daily fatigu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receiving chemotherapy. Med Sci Sports Exerc. 33(5), 718-723. 

  47. Schwartz AL(2000). Exercise and weight gain in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Cancer Pract, 8(5), 231-237. 

  48. Segar ML, Katch VL, Roth RS et al(1998). The effect of aerobic exercise on self-esteem and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Oncol Nurs Forum, 25(1), 107-113. 

  49. Shanks N, Harbuz MS, Jessop DS et al(1998). Inflammatory disease as chronic stress. Ann N Y Acad Sci, 840, 599-607. 

  50. Springer BA, Levy E, McGarvey C et al(2010). Pre-operative assessment enables early diagnosis and recovery of shoulder function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Breast Cancer Res Treat, 120(1), 135-147. 

  51. Sprod LK, Hsieh CC, Hayward R et al(2010). Three versus six months of exercise training in breast cancer survivors. Breast Cancer Res Treat, 121(2), 413-419. 

  52. Sugden EM, Rezvani M, Harrison JM, et al(1998). Shoulder movement after the treatment of early stage breast cancer. Clin Oncol, 10(3), 173-181. 

  53. Tehard B, Friedenreich CM, Oppert JM et al(2006). Effect of physical activity on women at increased risk of breast cancer: results from the E3N cohort study.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15(1), 57-64. 

  54. Ulger O, Yagli NV(2010). Effects of yoga on the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Complement Ther Clin Pract, 16(2), 60-63. 

  55. Weiderpass E, Margolis KL, Sandin S et al(2006). Prospective study of physical activity in different periods of life and the risk of ovarian cancer. Int J Cancer, 118(12), 3153-3160. 

  56. Winningham ML, MacVicar MG, Bondoc M et al(1989). Effect of aerobic exercise on body weight and composition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on adjuvant chemotherapy. Oncol Nurs Forum, 16(5), 683-689. 

  57. Woods M, Tobin M, Mortimer P(1995). The psychosocial morbidity of breast cancer patients with lymphoedema. Cancer Nurs, 18(6), 467-4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