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도입에 따른 철도역 영향권 산정 연구
Analysis of Catchment Area of Seoul Metropolitan Express Train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0 no.1 = no.23, 2014년, pp.49 - 60  

Lee, Jang-Ho (Department of Railroad Facility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Lee, Inhee (Mirae Transportation Co., LTD.) ,  Jin, Woo-Jeong (Department of Railroad Facility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사업의 추진에 따라 해당 사업의 수요분석에 있어서 철도역의 영향권 설정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의 특성에 부합하는 철도역 영향권 설정방안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 및 접근통행 실태조사를 통해 노선의 특성 및 접근수단에 따라 영향권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광역급행철도를 별도의 수단으로 하는 수단선택모형을 구축하고 수단별 접근시간 모수추정치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광역급행철도의 영향권이 기존 광역도시철도에 비해 2.5배 가량 확대될 수 있음을 보였다. 이는 수요분석에 있어서 10% 이상의 차이를 낼 수 있어서 향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의 합리적 수요분석을 위해서는 확대된 영향권의 설정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demand analysis of Metropolitan Train Express project, the catchment area of station should be reevaluated considering the journey speed of it. In this paper, we estimated travel mode choice model using stated preference data including Seoul metropolitan express train and compared the para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표정속도가 기존 광역도시철도에 비해 2배 이상 빠른 수도권 광역급행철도의 노선특성을 감안 하여 광역급행철도 도입에 따른 철도역 영향권의 차이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등 고속화되는 철도수요의 합리적 분석이 가능토록 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 우선 철도역의 영향권 설정과 관련된 국내외의 선행연구결과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분석의 시사점을 도출한다. 또한 경부선 수원역 및 경춘선 평내호평역에 대한 접근통행 실태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광역철도역 접근통행의 특성을 살펴본다.
  • 물론 현시선호와 진술선호의 미관측 요소에 있어 분산이 다를 수 있음을 고려하여 각각의 자료에 대해 서로 다른 규모 모수(scale parameter)가 적용되도록 할 수 있으나, 본 연구는 수단선택모형의 구축이 아니라 접근시간에 대한 모수추정치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함이므로 모형의 단순성을 위해 이를 배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광역권 통행에 대하여 승용차, 버스, 기존 광역철도, 가상의 광역급행철도에 대하여 수단선택모형을 구축하되, 총 통행시간을 차내시간과 접근시간을 분리하여 모형을 구축하고, 각 수단별 접근시간의 효용함수 모수차이를 통해 영향권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절에서는 4절에서 검토한 영향권 설정방안을 실제 수요분석과정에 적용해 봄으로써 실제 수요분석 프로그램입출력 단계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 지 적용방안을 제시하고, 기존 영향권 설정방법을 적용했을 때와 어떻게 다른 결과를 보이게 되는지 검토한다.
  • 일반적으로 철도역 영향권은 철도 노선의 속도가 높아질수록 커지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수도권 광역급행철도의 경우도 2배 이상 높아진 표정속도에 따라 기존 광역도시철도 노선의 철도역 영향권 보다는 확대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광역급행철도 도입에 따른 철도역 영향권의 차이를 규명하고 적절한 철도역 영향권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진술선호 시나리오 구성은 ‘통행시간’과 ‘통행비용’의 2가지 속성에 3수준을 적용하여 완전배치 요인설계(Full Factorial Design)로 시나리오를 구성하되, 기존 교통수단의 ‘통행시간’ 및 ‘통행비용’은 고정된 속성으로 설정하고 광역급행철도에만 3수준으로 변화를 주었다. 또한 기존 교통수단의 접근시간은 현시선호조사(RP)의 결과를 그대로 활용하였고, 광역급행철도의 접근시간은 기존 광역철도의 접근시간보다 10분 가량 증가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철도역 영향권은 무엇에 비례해 그 영향권이 커지나요? 일반적으로 철도역 영향권은 철도 노선의 속도가 높아질수록 커지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수도권 광역급행철도의 경우도 노선 특성에 따라 기존 철도노선의 철도역 영향권 보다는 클 것으로 판단된다. 기존 광역철도의 표정속도가 40km/h 내외, 수도권 광역급행철도는 100km/h 이상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기존의 기준을 그대로 적용하는 경우 수도권 광역급행철도의 수요를 과소예측하게 되며, 반대로 이를 임의로 설정할 경우 과다예측의 우려가 있다.
현행 철도역의 영향권 설정은 어떻게 이뤄지고 있나요? 다만,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노선의 수요 및 타당성 분석에 있어서 철도역의 영향권 설정 문제가 대두되었다. 현행 교통시설투자평가지침 및 예비타당성조사지침에서는 2002년 국가교통DB를 기준으로 도보는 0.75km이내, 마을버스는 0.75~3km, 버스는 3~5km 이내, 5km이상은 미반영으로 철도역 영향권 설정 기준을 적용하고 있는데, 이는 현행 도시철도를 기준으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노선의 수요분석 시에도 동일한 기준을 적용 하는 것이 합리적인가 하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수도권에서 운영중인 철도부문 노선으로는 무엇이 있나요? 이에 따라 수도권 내 교통혼잡 해소와 광역통행수요의 편의를 위해 버스중앙차로제,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제, 대중교통 통합환승 할인제도 등의 교통정책을 시행한 바 있으며, 철도부문에서도 분당선, 일산선 등 다수의 수도권광역철도 노선이 운영 중에 있다. 그러나 승용차와 비교하여 속도나 편리성 등의 측면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려 우며, 이러한 배경에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사업이 추진되었고, 제안되었던 3개 노선 중 킨텍스~동탄노선에 대해서만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여 기본계획 수립단계로 이어질 예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D. Kim, Y.. Ryu, H. Choi (2002) A study on the setting up method of subway access/egress area by walking and its application,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37(5), pp. 177-186. 

  2. J.H. Kim, S.I. Lee, S.H. Lee (2007) Defining the spatial extent of subway catchment area in the metropolitan areas using SP and RP data,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52, pp. 131-148. 

  3. T. Kim, Y. Lee, E. Hwang, J. Won (2008) Development of selection model of subway station influence area in new town using categorical and regression tre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11(3), pp. 216­224. 

  4. E. Shon, J.Y. Kim, C.Y. Jeong, J.H. Lee (2009) Modeling the urban railway demand estimation by station reflecting station access area on foo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27(2), pp. 15-22. 

  5. N. Kim (2012) Estimating the subway station influence area by the distribution of walking distance and the change of housing sale prices,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7(6), pp. 29-38. 

  6. Y. Lee, D. Sohn (2012) A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subway transit demand and urban spatial characteristics in the subway station area, Urban Design, 13(4), pp. 23-32. 

  7. S. Kim, S. Eom, M. Lee (2013) A study on spatial range of seoul subway station area on characteristics of land us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8(1), pp. 23-35. 

  8. E. Lee, E. Shon, S. Kim, B. Hwang (2013) Estimating urban railway demand based on catchment area,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77, pp. 189-203 

  9. R. Cervero, A. Round, T. Goldman, K. Wu (1995) Rail access modes and catchment areas for the BART system, Working Paper No. 307, University of California Transportation Center 

  10. M. J. N. Keijer, P. Rietveld (2000) How do people get to the railway station? The dutch experience, Transportation Planning and Technol., 23, pp. 215-235. 

  11. M. Wardman, J. Tyler (2000) Rail network accessibility and the demand for inter-urban rail travel, Transport Reviews, 20(1), pp. 3-24. 

  12. S. Krygsman, M. Dijst, T. Arentze (2004) Multimodal public transport: an analysis of tranvel time elements and the interconnectivity ratio, Transport Policy, 11, pp. 265-275. 

  13. N. Sanko, K. Shoji (2009) Analysis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tation catchment area in Japan, 11th Conference on Competition and Ownership in Land Passenger Transport,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14.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0) A study for revising the appraisal guideline of railway investment, Korea Railway Network Author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