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미국 후기 신고전주의적 조경양식 특성 - 파란드의 덤바튼 오크(Dumbarton Oaks) 분석을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te Neoclassical Style in American Gardens - Focused on the analysis of Dumbarton Oaks by Beatrix Farrand -원문보기
본 연구는 미국의 대표적인 여류 조경가인 비트릭스 파란드의 덤바튼 오크의 정원분석을 통하여, 파란드의 작품경향 및 미국 1900년대 초의 신고전주의 양식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덤바튼 오크는 유럽의 고전주의 양식의 무조건적인 모방이 아닌, 아트 앤 크래프트의 기본철학을 배경으로 미국의 지역적 특성과 주변환경 및 문화에 맞게 해석하고 적용된 성공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덤바튼 오크의 분석을 통해 도출한 미국 후기 신고전주의 양식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여러 개의 가든룸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정원공간은 다양한 지면의 높이를 갖는 테라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연적 지형을 최대한 이용하였다. 둘째, 정형성과 비정형성의 공존, 대칭 및 의도적인 비대칭의 조화이다. 셋째, 식재선택 및 재식방법에 있어서도 유럽 고전주의 양식과 영국의 아트 앤 크래프트 양식이 공존하며, 공간구성 및 형태와 조화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미국의 대표적인 여류 조경가인 비트릭스 파란드의 덤바튼 오크의 정원분석을 통하여, 파란드의 작품경향 및 미국 1900년대 초의 신고전주의 양식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덤바튼 오크는 유럽의 고전주의 양식의 무조건적인 모방이 아닌, 아트 앤 크래프트의 기본철학을 배경으로 미국의 지역적 특성과 주변환경 및 문화에 맞게 해석하고 적용된 성공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덤바튼 오크의 분석을 통해 도출한 미국 후기 신고전주의 양식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여러 개의 가든룸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정원공간은 다양한 지면의 높이를 갖는 테라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연적 지형을 최대한 이용하였다. 둘째, 정형성과 비정형성의 공존, 대칭 및 의도적인 비대칭의 조화이다. 셋째, 식재선택 및 재식방법에 있어서도 유럽 고전주의 양식과 영국의 아트 앤 크래프트 양식이 공존하며, 공간구성 및 형태와 조화되도록 하였다.
Beatrix Farrand was America's first female landscape architect and Dumbarton Oaks in Washington, D.C., USA site of her best known garden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he American Neoclassical tendencies in the early 1900s and Farrand's style through an analysis...
Beatrix Farrand was America's first female landscape architect and Dumbarton Oaks in Washington, D.C., USA site of her best known garden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he American Neoclassical tendencies in the early 1900s and Farrand's style through an analysis of Dumbarton Oaks. The results of analysis indicated that although Dumbarton Oaks was influenced by many European classic gardens, the garden has the unique style which reflects regional contexts and culture based on the philosophy of arts and crafts movement,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late Neoclassical style in Americ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series of terraced gardens were connected by paths and stairways and natural terrain was preserved as much as possible. Second, the formal and informal style coexist and the symmetric and asymmetric forms are well-balanced throughout the garden. Third, selection of plant materials and planting methods, influenced by both classical gardens and the Arts and Crafts style in UK, are in harmony with the space configuration and shape.
Beatrix Farrand was America's first female landscape architect and Dumbarton Oaks in Washington, D.C., USA site of her best known garden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he American Neoclassical tendencies in the early 1900s and Farrand's style through an analysis of Dumbarton Oaks. The results of analysis indicated that although Dumbarton Oaks was influenced by many European classic gardens, the garden has the unique style which reflects regional contexts and culture based on the philosophy of arts and crafts movement,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late Neoclassical style in Americ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series of terraced gardens were connected by paths and stairways and natural terrain was preserved as much as possible. Second, the formal and informal style coexist and the symmetric and asymmetric forms are well-balanced throughout the garden. Third, selection of plant materials and planting methods, influenced by both classical gardens and the Arts and Crafts style in UK, are in harmony with the space configuration and shap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는 미국의 대표적인 여류 조경가인 비트릭스 파란드의 덤바튼 오크의 정원분석을 통하여, 파란드의 작품경향 및 미국 1900년대 초의 신고전주의 양식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덤바튼 오크는 정원 전체에 유럽고전주의 양식과 아트 앤 크래프트 양식이 혼재되어 나타나지만, 파란드의 식재에 대한 지식과 예술적 감각을 통하여 조화롭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미국의 대표적인 여류 조경가인 비트릭스 파란드의 덤바튼 오크 정원분석을 통하여 미국 1900년대 초의 신고전주의 양식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덤바튼 오크의 조성에 크게 영향을 미친 미국 20세기 초의 시대적 배경과 작정자 파란드의 생애, 설계철학을 파악한 후 덤바튼 오크의 지형, 공간 구성, 식물이용, 장식물과 디테일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후기 신고전주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그림 1 참조).
파란드는 덤바튼 오크 정원의 설계의도와 식재설계 세부사항들을 작성한 설계에세이를 통해 자생식물에 대한 애정, 계절색을 고려한 식재의 구성 등을 설명하였다. 이 정원은 매우 절충적인 정원으로 17세기 스타일의 장미정원, 1930년대 영국식 정원, 이탈리안 아트앤 크래프트의 독특한 것, 동양적인 것이 표현되어 있으나 그대로 모방하지 않고 그 정신만을 이어받고자 하였다.
제안 방법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해서 파란드의 생애와 철학, 경력 등을 살펴보았다. 주로 후대에 와서 파란드를 재조명하기 위해 저술되어진 문헌(Jellicoe and Jellicoe, 1987; Waymark, 2003; Wilson, 2002; Tishler, 2001; Boults and Sullivan, 2007; 한국조경학회, 2005)이 대상이었으며, 역사적 관점에서의 파란드의 정원양식이 형성되는 시대적 배경, 과정, 동시대의 정원의 특징 또한 문헌(Pregill and Volkman, 1993; Rogers, 2001)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파란드의 정원철학과 소재가 가장 잘 나타나고 있는 대표작으로 대중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며 현재까지도 신고전주의의 양식을 잘 유지하여 상세도면(technical drawing)이 잘 보존되어 있어 역사적인 유산으로도 가치가 높기 때문이다. 작품의 해석은 평면도와 사진, 문헌의 기술내용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를 위해 2012년 8월2일부터 8월12일까지 답사를 통한 사례조사로 보충하였다. 또한 덤바톤 오크 정원의 지형분석을 위하여 미국 지질조사(US Geological Survey) 자료 및 GIS를 이용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두 단계로 나누어진다. 덤바튼 오크의 조성에 크게 영향을 미친 미국 20세기 초의 시대적 배경과 작정자 파란드의 생애, 설계철학을 파악한 후 덤바튼 오크의 지형, 공간 구성, 식물이용, 장식물과 디테일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후기 신고전주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그림 1 참조).
)등의 상록식재를 뒷배경으로 하여 초화류가 돋보이도록 하였다. 또한 태산목(Magnolia grandiflora)을 울타리유인형(espalier)으로 만들고, 송악(Hedera sp.), 등나무(Wisteria sp.) 등의 넝쿨식물이 벽을 타고 올라가게 하여, 건축요소를 강조하고 색, 깊이, 질감에 있어 벽재료와 대조를 이루도록 하였다. 이러한 식재방식과 함께 아보 테라스를 둘러싸고 있는 키퍼배나무(Kieffer pears)의 생울타리는 유럽 고전주의 양식, 특히 초기 르네상스 이태리 정원의 영향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덤바튼 오크 곳곳에는 진달래속과 칼미아(mountain laurel)와 같은 상록 및 낙엽 관목은 드리프트(drift)3) 방식으로 식재된 봄철 다년생 초화류의 뒷배경 역할을 한다. 또한 계곡부에는 수선화의 노란색이나 보라색, 또는 흰색을 주제로 하여 어둡고습한 주변과 대조를 이루도록 하였다. 제킬은 비비추(hostas), 라벤더(lavender), 장미 등의 식물을 이용하여 한색계열과 난색계열의 색이 교차되도록 연출하였는데 이러한 식재기법이나 색상선택이 덤바튼 오크에서도 적용되었다.
덤바튼 오크의 경우 저택 주변에는 르네상스 시대의 이탈리안 정원의 특성을 갖는 기하학적인 정원구성과 축선을 이용한 정형성이 강조되었으며, 부지의 남쪽이나 계곡 주변은 영국의 자연주의 경향의 비정형성이 대조를 이룬다. 또한 대칭적인 공간에 식재를 통하여 비대칭을 의도함으로써 보다 흥미로운 경관을 연출하도록 하였다.
대상 데이터
사례대상지는 현재 후기신고전주의의 백미로 알려져 있는(Jellicoe and Jellicoe, 1987: 135) 덤바튼 오크를 대상으로 하였다. 파란드의 정원철학과 소재가 가장 잘 나타나고 있는 대표작으로 대중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며 현재까지도 신고전주의의 양식을 잘 유지하여 상세도면(technical drawing)이 잘 보존되어 있어 역사적인 유산으로도 가치가 높기 때문이다.
작품의 해석은 평면도와 사진, 문헌의 기술내용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를 위해 2012년 8월2일부터 8월12일까지 답사를 통한 사례조사로 보충하였다. 또한 덤바톤 오크 정원의 지형분석을 위하여 미국 지질조사(US Geological Survey) 자료 및 GIS를 이용하였다.
그녀는 제킬의 전통적인 식재에 전통적인 이탈리안 정원을 미국에 적응시켰으며 자생적인 재료와 식재의 철학 및 디테일 설계에서 아프 앤 크래프트(Arts & Crafts)1)가 반영되었다. 또한, 프린스턴대학(1913-41)과 예일대학(1924-47) 등 여러 대학 캠퍼스 조경에도 참여하였다. 그녀는 바 하브의 리프 포인트(Reef Point, Bar Harbor, Maine)에 원예와 가드닝을 위한 학교를 조성하는데 기여하였다(Jellicoe and Jellicoe, 1987: 187).
C)에 위치하며 원래 미국 부통령을 지낸 존 콜드웰 칼훈(John Calwell Calhoun)이 살던 주택이었으나, 1920년 로버트 우드 블리스(Robert Woods Bliss, 1875-1962)가 매입하여 약 220,000㎡로 확장하고, 1922년에서 1940년에 걸쳐 조성하게 된다. 1940년에 65,000㎡를 하버드 대학(Harvard University)의 연구센터와 도서관으로 기증하였다. 1944년 여름에는 지금의 국제연합(UN)을 창설하는 토대가 되었던 ‘덤바튼 오크 회의’가 이곳에서 열리면서 세상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미국의 신고전주의 정원 중 최고로 여겨지게 된다(www.
이론/모형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해서 파란드의 생애와 철학, 경력 등을 살펴보았다. 주로 후대에 와서 파란드를 재조명하기 위해 저술되어진 문헌(Jellicoe and Jellicoe, 1987; Waymark, 2003; Wilson, 2002; Tishler, 2001; Boults and Sullivan, 2007; 한국조경학회, 2005)이 대상이었으며, 역사적 관점에서의 파란드의 정원양식이 형성되는 시대적 배경, 과정, 동시대의 정원의 특징 또한 문헌(Pregill and Volkman, 1993; Rogers, 2001)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성능/효과
둘째, 정형성과 비정형성의 공존, 대칭 및 의도적인 비대칭의 조화이다. 덤바튼 오크의 경우 저택 주변에는 르네상스 시대의 이탈리안 정원의 특성을 갖는 기하학적인 정원구성과 축선을 이용한 정형성이 강조되었으며, 부지의 남쪽이나 계곡 주변은 영국의 자연주의 경향의 비정형성이 대조를 이룬다.
셋째, 식재선택 및 재식방법에 있어서도 유럽 고전주의 양식과 영국의 아트 앤 크래프트 양식이 공존하며, 공간구성 및 형태와 조화되도록 하였다. 또한, 이탈리안의 정원에서 흔히 보여지는 건축적 장식물이나 조형물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와 동시에 벤치 등의 시설물, 바닥포장재 장식 등에 있어서는 수공예적인 예술성이 돋보이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미국의 대표적인 여류 조경가인 비트릭스 파란드의 덤바튼 오크의 정원분석을 통하여, 파란드의 작품경향 및 미국 1900년대 초의 신고전주의 양식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덤바튼 오크는 정원 전체에 유럽고전주의 양식과 아트 앤 크래프트 양식이 혼재되어 나타나지만, 파란드의 식재에 대한 지식과 예술적 감각을 통하여 조화롭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파란드는 당시 어느 특정한 스타일로 정원을 만들지 않는 유일한 사람”이라고 언급한 발모리의 평가처럼, 파란드는 정원 역사 속의 다양하고 광범위한 디자인 언어를 자신만의 스타일로 독특하게 재창조한 디자이너로 평가받는다(Balmori & Kostial-McGuire, 2003).
후속연구
본 연구의 한계는 후기 신고전주의 작품 중 가장 대표적이고 자료가 완벽하게 보존되어 유산의 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덤바튼 오크만을 대상으로 한 것에 있다. 차후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작품을 통한 분석과 함께 전후기 신고전주의의 역사적인 맥락, 후대의 영향 등에 관해 진행될 예정이다.
본 연구의 한계는 후기 신고전주의 작품 중 가장 대표적이고 자료가 완벽하게 보존되어 유산의 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덤바튼 오크만을 대상으로 한 것에 있다. 차후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작품을 통한 분석과 함께 전후기 신고전주의의 역사적인 맥락, 후대의 영향 등에 관해 진행될 예정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덤바튼 오크 부지의 특징은?
덤바튼 오크 부지의 특징은 남서쪽이 높고 바위계류(Rock Creek)가 흐르는 북동쪽 방향으로 경사진 지형으로(그림 4 참조), 저택은 부지에서 가장 높은 남서쪽에 위치하여 주변의 숲과 개울의 자연환경을 조망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2). “현재의 지형에 맞도록 계획을 하는 것이지, 계획에 맞도록 땅을 변형하는 것이 아니다(Making the plan fit the ground and not twist the ground to fit the plan).
덤바튼 오크 정원은 어떤 정원이며 어떤 정신을 계승하는가?
파란드는 덤바튼 오크 정원의 설계의도와 식재설계 세부사항들을 작성한 설계에세이를 통해 자생식물에 대한 애정, 계절색을 고려한 식재의 구성 등을 설명하였다. 이 정원은 매우 절충적인 정원으로 17세기 스타일의 장미정원, 1930년대 영국식 정원, 이탈리안 아트앤 크래프트의 독특한 것, 동양적인 것이 표현되어 있으나 그대로 모방하지 않고 그 정신만을 이어받고자 하였다.
북측비스타의 경우 공간구성 특성이 어떻게 구성되도록 하였는가?
파란드는 공간형태에 있어서는 대칭을 사용하면서도 의도적인 비대칭적인 식재배치 등을 통하여 시각적 측면에서도 다양한 변화를 주었다. 앞서 언급한 북측비스타의 경우, 평면상으로는 저택 뒤편 출입구를 중심으로 좌우로 완벽한 대칭의 화단이 조성된 듯이 보이나, 건물 오른편에는 두 개의 서로 수고가 다른 상록수를 식재하고 반대쪽 왼편에는 대형 상록수 한그루만을 식재하여 건물을 바라보았을 때 비대칭적 입면이 구성되도록 하였다(그림 5a 참조). 또한 초본 화단가장자리심기(Herbaceous Border)의 경우, 살구나무길(Plum Walk)과 연결된 산책로를 중심으로 두 개의 초화류 정원이 양쪽 끝에 조성되어 있고 긴 잔디녹지가 이 둘을 연결하는 형태이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