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집단효능감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Collective Efficacy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3 no.3, 2014년, pp.123 - 133  

강군생 (제주관광대학교 간호과) ,  김정희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self-efficacy, collective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39 nurses working in five general hospitals of a local area b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간호사의 효능감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경우, 간호사 개인의 자기효능감에 초점을 둔 연구가 대부분이며, 간호사가 지각하는 집단효능감이 직무만족이나 조직몰입 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포괄하는 실증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집단효능감 수준을 파악하고, 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집단효능감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를 파악하여 자기효능감과 집단효능감 강화를 통한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집단효능감과 직무만족,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집단 효능감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집단효능감과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관계를 탐색하고 자기효능감과 집단효능감이 간호사의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보기 위한 것으로 개인 수준의 자기효능감과 간호단위 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집단효능감을 포함하여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점과 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집단효능감과 직무만족, 조직몰입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자기효능감과 집단효능감 강화를 통한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일 지역 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표본 추출의 편중이 있을 수 있어 연구 결과를 일반화 하는 데는 제한점이 있으며, 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집단효능감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횡단적으로 탐색한 연구로서 각 변수들 간의 인과적 관계를 추론하여 설명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 본 연구는 임상현장에서 간호사의 자기효능감 및 집단효능감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자기효능감과 집단효능감 강화를 통한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 간호사들의 자기효능감 수준은 대형 종합병원 간호사들에 비하여 낮았으나 전국 종합병원 간호사들과는 유사한 수준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집단효능감이란 무엇인가? Bandura (2000)에 따르면, 이러한 효능감은 조직구성원 개인 뿐 아니라 집단 수준에서도 적용 가능한 변수로, 자기효능감이 개인의 업무수행능력에 대한 신념을 의미하는 반면에 집단효능감은 집단의 구성원이 자신이 속한 집단의 업무수행능력에 대한 신념을 의미한다(Gibson, 2001). 즉 집단효능감이란, 구성원이 자신이 속한 집단의 역량에 대한 신념으로, 주어진 수준의 수행에 요구되는 일련의 행동들을 조직화하고 수행하는 집단구성원들의 결합된 능력에 대한 신념을 말한다(Bandura, 2000). 이는 단순히 집단이 소유하고 있는 구체적인 능력이나 기술 그 자치를 의미하는 객관적인 개념이 아니라 행동 수행을 위해 필요한 활동들을 해 나갈 수 있는 동기가 함께 결합되어 특정 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주관적이고 인지적인 판단과 관련된 개념이다(Choi, 2009; Shim, Choi, Yang, Moon, & Heo, 2009).
병원 조직은 변화에 따라 어떠한 노력을 하고있는가?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기업들은 보다 높은 성과를 거두기 위하여 끊임없이 변신의 노력을 지속해오고 있는 바, 조직 구성원의 집단 역량에 대한 기업들의 높은 관심이 그런 노력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 다양한 건강소비자의 요구 증가와 병원 간 경쟁 심화 등에 따라 많은 혁신이 요구되고 있는 병원 조직 또한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으로 병원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고 타 병원 간의 경쟁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 조직구성원의 지적 자원을 활용한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를 통해 조직구성원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전략 마련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Kim & Park, 2008). Kim (2007)에 따르면, 조직구성원들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수준 높은 교육과 조직의 지원이외에도 무엇보다 조직구성원들로 하여금 자신의 능력에 대한 긍정적인 믿음을 갖도록 하는 일이 중요하며, 이러한 자신의 능력에 대한 긍정적인 믿음과 관련된 개념이 바로 효능감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란 무엇인가? 자기효능감이란 개인이 어떤 상황에서 자신의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Bandura, 2000), 본 연구에서는 Kim과 Park (2012)이 사용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General Self-efficacy Scal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도구는 ‘나는 어떤 일을 계획할 때 그 일을 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 ‘나는 무엇을 하든지 그 일을 완성하기 전에 포기하지 않는다’, ‘나는 어떤 일을 해내는 나의 능력에 자신이 있다’ 등 총 17문항으로 구성된 5점의 Likert 척도이다. 각 문항에 대하여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으로 평가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간호사들이 지각하는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Kim과 Park (2012)의 연구에서 Cronbach's ⍺ 는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ndura, A. (2000). Exercise of human functioning through collective efficacy.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9(3), 75-78. 

  2. Bong, Y. S., So, H. S., & You, H. S. (200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15(3), 425-433. 

  3. Cho, S. H., Park, J. H., & Lee, S. M. (2010). The effect of hotel western restaurant F & B and kitchen manager's leadership on efficac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6(4), 94-110. 

  4. Choi, J. H. (2009). A study on the consequences of perception of collective efficacy. Productivity Review, 23(2), 113-133. 

  5. Gibson, C. B. (1999). Do they do what they believe they can? Group efficacy and group effectiveness across tasks and cultur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2(2), 138-153. 

  6. Gibson, C. B. (2001). Me and us: Differential relationship among goal-setting, training, efficacy and effectiveness at the individual and team level.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2(7), 789-808. 

  7. Gibson, C. B., Randel, A. P., & Earley, P. C. (2000). Understanding group efficacy: An empirical test of multiple assessment methods. Group and Organization Management, 25, 67-97. 

  8. Gwak, S. H. (2011). (A) Study on the influence of leadership on group efficacy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Focused on revolutionary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9. Ha, N. S., & Choi, J. (2010). An analysis of nursing competency affecting on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16(3), 286-294. 

  10. Judge, T. A., & Bono, J. E. (2001). Relationship of core self- evaluations traits-self esteem, generalized self efficacy, locus of control, and emotional stability-with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 meta-analysi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6(1), 80-92. 

  11. Jung, B. N. (2009). A study of the empowerment of nurses and organizational effec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angwon University, Changwon. 

  12. Kee, B. Y. (2008). The relationship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ception, group efficacy & team effective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3. Kim, J. H., & Hyun, M. Y. (2005),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staff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4(2), 108-117. 

  14. Kim, J. H., & Park, E. O. (2012). The effect of job-stress and selfefficacy on depression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1(2), 134-144. 

  15. Kim, J. H., & Park, S. A.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coping strategies and a nurs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staf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8(1), 97-105. 

  16. Kim, M. H., & Jung, M. S. (2010). The effect of head nurse's emotional leadership on nurse's job satisfaction &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16(3), 336-347. 

  17. Kim, M. S. (2007). The interactive effect between self- and group efficacy on performance and job attitud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8. Kim, M. S., & Park, Y. B. (2008).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empowerment 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14(3), 268-277. 

  19. Ko, Y. K. (2008). Identification of factors related to hospital nurs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using a multilevel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8(2), 287-297. 

  20. Ko, Y. K., & Kang, K. H. (200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collective-efficacy and job stress in the nursing staff.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12(2), 276-286. 

  21. Moon, Y. S., & Han, S. J. (2011). Impact of self-effica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1), 72-79. 

  22. Mowday, R. T., Steers, R. M., & Porter, L. W. (1979).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2), 224-247. 

  23. Nielsen, K., Yarker, J., Randall, R., & Munir, F. (2009). The mediating effects of team and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healthcare professionals: A cross-sectional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6(8), 1236-1244. 

  24. Oh, J. H. (2005). Mediation roles of group 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rust between service orienta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Focused on hotel busin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25. Park, W., & Paik, Y. (2006). Negative effect of group efficacy on group performance, Korean Management Review, 35(5), 1427-1448. 

  26. Riggs, M. L., & Knight, P. A. (1994). The impact of perceived group success-failure on motivational beliefs and attitudes: A causal model. Th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9(5), 755-766. 

  27. Seo, Y. S., & Kim, Y. C. (2007).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and job involvement of nurses. Korean Business Education Association, 12, 151-172. 

  28. Shim, D., Choi, J., Yang, D., Moon, Y., & Heo, Y. (2009). The influence of task conflict on project team performance: The moderating effect of team efficacy. Korean Management Review, 38(6), 1599-1623. 

  29. Tasa, K., Taggar, S., & Seijts, G. (2007). The development of collective efficacy in teams: A multi-level and longitudinal perspective. Th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2(1), 17-27. 

  30. Yoon, S. H. (2000). A model fo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nursing unit: From the organizational behavioral perspectiv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