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종 복분자 Rubus coreanus와 외래종 복분자 Rubus occidentalis 추출물의 항산화능 비교
Comparative Study on Antioxidant Effects of Extracts from Rubus coreanus and Rubus occidentali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9, 2014년, pp.1357 - 1362  

김이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공학과) ,  윤상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지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토종 복분자와 외래종 복분자의 항산화 활성과 장세포 산화스트레스 보호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및 ABTS 라디칼소거능, FRAP assay를 이용한 환원력을 비교 조사하였고, 사람의 장내 세포인 Caco-2 cell에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자극시켜 장세포 산화스트레스 보호를 확인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외래종 복분자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TS 라디칼 소거능과 FRAP assay을 이용한 환원력에서도 외래종 복분자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토종과 외래종 복분자 모두 비슷하게 나타났다. 장세포 산화스트레스 보호 역시 외래종 복분자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하게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FRAP value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FRAP value가 높았던 외래종 복분자 100% EtOH 추출물이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ABTS 라디칼 소거능, DPPH 라디칼 소거능, 장세포 산화스트레스 보호능 모두 높은 추출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d the antioxidant effects of two kinds of black raspberry extract, obtained from fruits of Rubus coreanus and Rubus occidentalis, which can be found in Korea. The fruits of R. coreanus and R. occidentalis were each extracted with 0%, 25%, 50%, 75%, and 100% ethanol (EtOH). Among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이들 두 종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한 연구는 발표된 것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 두 가지 품종 복분자들의 항산화 활성 및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비교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토종 복분자와 외래종 복분자의 항산화 활성과 장세포 산화스트레스 보호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FRAP assay를 이용한 환원력을 비교 조사하였고, 사람의 장내 세포인 Caco-2 cell에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자극시켜 장세포 산화스트레스 보호를 확인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외래종 복분자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분자는 우리나라 어디에서 자라는 식물인가? 복분자(Rubus coreanus)는 장미과에 속하고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산기슭 양지에서 자라는 식물로, 흰 분으로 덮인 줄기와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특징이고 높이는 2∼3 m 정도이다. 5∼6월에 꽃이 피며 7∼8월에 열매가 성숙되어 둥글고 붉은 색으로 익다가 나중에 흑색으로 완숙된다(1).
토종 복분자인 R. coreanus는 한방에서 어떤 질병 치료에 이용하고 있는가? 토종 복분자인 R. coreanus는 한방에서 당뇨병(diabetes mellitus), 성욕감퇴(sexual disinclination), 정액루(spermatorrhea), 유뇨증(enuresis), 천식(asthma) 및 알레르기 관련 질병 치료에 이용하고 있다(8). 이와 비교해 외래종 복분자로 알려져 있는 R.
복분자 열매의 생리활성 성분은 무엇인가? 복분자의 생리활성 성분은 열매, 잎, 줄기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열매의 생리활성 성분으로는 sanguiin H-4, sanguiin H-6와 gallic acid가 보고되었으며(2), 잎의 생리활성 성분으로는 2종의 가수성 tannin(ellagic acid, sanguiin H-5)과 4종의 flavonoids(kaempferol, quercetin, quercetin 3-O-β-D-glucuronide-sodium salt, quercetin 3-O-β-D-glucuronide-sodium carboxylate)가 보고되었다(3). 줄기에서는 epicatechin, catechin, procyanidin B-4 및 sanguiin H-4가 생리활성 성분으로 보고되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ae GH. 2000. The medicinal plants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Seoul, Korea. p 231. 

  2. Pang KC, Kim MS, Lee MW. 1996. Hydrolyzable tannins from the fruits of Rubus coreanum. Kor J Pharmacogn 27:366-370. 

  3. Lee MW. 1995. Phenolic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Rubus coreanum. Yakhak Hoeji 39: 200-204. 

  4. Lee YA, Lee LM. 1995. Tannins from Rubus coreanum. Kor J Pharmacogn 26: 27-30. 

  5. Bogs J, Downey MO, Harvey JS, Ashton AR, Tanner GJ, Robinson SP. 2005. Proanthocyanidin synthesis and expression of genes encoding leucoanthocyanidin reductase and anthocyanidin reductase in developing grape berries and grapevine leaves. Plant Physiol 139: 652-663. 

  6. Koundouras S, Marions V, Gkoulioti A, Kotseridis Y, van Leeuwen C. 2006. Effects on wine phenolic and aroma components. J Agric Food Chem 54: 5077-5086. 

  7. Watson R, Wright CJ, Mcburney T, Taylor AJ, Linforth RS. 2002. Influence of harvest date and light integral on the development of strawberry flavour compounds. J Exp Bot 53: 2121-2129. 

  8. Moon GS. 1991. Constituents and uses of medicinal herbs. Ilweolseogak, Seoul, Korea. p 310-311. 

  9. Wang SY, Lin HS. 2000. Antioxidant activity in fruits and leaves of blackberry, raspberry, and strawberry varies with cultivar and developmental stage. J Agric Food Chem 48:140-146. 

  10. Liu Z, Schwimer J, Liu D, Greenway FL, Anthony CT, Woltering EA. 2005. Raspberry extract and fractions contain angiogenesis inhibitors. J Agric Food Chem 53: 3909-3951. 

  11. Stoner GD, Chen T, Kresty LA, Aziz RM, Reinemann T, Nines R. 2006. Protection against esophageal cancer in rodents with lyophilized berries: potential mechanisms. Nutr Cancer 54: 33-46. 

  12. Kim JM. 2011. Characteristics of Rubus coreanus Miq. fruits at different ripening stag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341-347. 

  13. Yang HM, Lim SS, Lee YS, Shin HK. 2007. Comparison of the anti-inflammatory rffects of the extracts from Rubus coreanus and Rubus occidentali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342-347. 

  14. Lee S, You Y, Kim K, Park J, Jeong C, Jhon DY, Jun W. 2012. Antioxidant activities of native Gwangyang Rubus coreanus Miq.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327-332. 

  15. Park Y, Choi S, Kim SH, Han JG, Chung HG. 2007.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ics and vitamin C content during fruit ripening in Rubus occidentalis. Korean J Plant Res 20: 461-465. 

  16. Hayes JE, Allen P, Brunton N, O'Grady MN, Kerry JP. 2011. Phenolic composition and in vitro antioxidant capacity of four commercial phytochemical product: olive leaf extract (Olea europaea L.), lutein, sesamol and ellagic acid. Food Chem 126: 948-955. 

  17. Mandrioli R, Mercolini L, Ferranti A, Fanali S, Raggi MA. 2011. Determination of aloe emodin in Aloe vera extracts and commercial formulations by HPLC with tandem UV absorption and fluorescence detection. Food Chem 126:387-393. 

  18. Marinova D, Ribarova F, Atanassova M. 2005. Total phenolics and total flavonoids in Bulgarian fruits and vegetables. J Univ Chem Technol Metall 40: 255-260. 

  19. Goupy P, Hugues M, Boivin P, Amiot MJ. 1999. Antioxidant composition and activity of barley (Hordeum vulgare) and malt extracts and of isolated phenolic compounds. J Sci Food Agric 79: 1625-1634. 

  20. Jeon YS, Jo BS, Park HJ, Kang SA, Cho YJ. 2012.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y of Caragana sinic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211-1219. 

  21. Benzie I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22. Thongchai W, Liawruangrath B, Liawruangrath S. 2009. Flow injection analysis of total curcuminoids in turmeric and antioxidant capacity using 2,2-diphenyl-1-picrylhydrazyl assay. Food Chem 112: 494-499. 

  23. Zhang L, Liu C, Li D, Zhao Y, Zhang X, Zeng X, Yang Z, Li S. 2013. Antioxidant activity of an exopolysaccharide isolated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C88. Int J Biol Macromol 54: 270-275. 

  24. Chen HJ, Ho CH. 1997. Antioxidant activities of caffeic acid and its related hydroxycinnamic acid compounds. J Agric Food Chem 45: 2374-2378. 

  25. Yang HY, Steele WF. 1958. Removal of excessive anthocyanin pigment by enzyme. Food Technol 12: 517-519. 

  26. Re R, Pellegrin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6.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7. Loganayaki N, Suganya N, Manian S. 2012. Evaluation of edible flowers of agathi (Sesbania grandiflora L. Fabaceae) for in vivo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and in vitro antioxidant potential. Food Sci Biotechnol 21: 509-517. 

  28. Joung CH, Bac YI, Prak SJ, Lee SK, Hur SJ. 2012. Antioxidant activity of aqueous extracts from three cultivars of guava leaf. Food Sci Biotechnol 21: 1557-1563. 

  29. Jun HI, Kim YA, Kim YS. 2014. Antioxidant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and Morus alba L. frui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381-388. 

  30. Moure A, Cruz JM, Franco D, Domi?nguez JM, Sineiro J, Dominguez H, Jose Nunez M, Parajo JC. 2001. Natural antioxidants from residual sources. Food Chem 72: 145-171. 

  31. Yang HJ, Park MJ, Lee HS. 2011.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mponents of Gardenia jasminoid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51-57. 

  32. Lee MY, Yoo MS, Whang YJ, Jin YJ, Hong MH, Pyo YH. 2012. Vitamin C, total polypheno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several fruit pee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540-5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