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등교사 임용시험 수학교과교육학 기출 문항 분석
An Analysis of the Discipline of Mathematics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 Certificate Examination 원문보기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한국수학사학회지, v.27 no.5, 2014년, pp.347 - 364  

전영주 (Dept. of Math., ChonBuk National Univ.)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at what is required knowledge and ability to pre-service math teachers in teacher certificate examination. First, the items are analyzed and among questions of discipline of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last five years are analyzed and classified. Second, an analytical framework su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기에서도 한 가지 고려해야 할 상황이 있는데 그것은 구체적 대상이 교과교사 즉, 수학교사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수학교사의 지식과 역량 측정에 적합한 새로운 문항 분석틀 모델을 마련해보고자 한다.
  • 하고자 한다. 그리고 문항 분류 과정과 분석틀에 의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현행 임용시험에서의 수학교과교육학 출제와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다음은, 수학교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 Anderson과 Krathwohl의 기억, 이해, 적용, 분석, 평가, 창조의 6가지 인지 능력 유형을 유지하며 받아들이고자 한다. 그 이유로는 첫째, 연구 [9]에서 교직능력 인지 유형으로 검증받았다는 점, 둘째,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Bloom의 인지 능력 분류를 개선한 점을 들 수 있다.
  • Vygotsky)와 관련한 기입형 문항은 문항 유형의 특성상 이론적 지식을 단순히 기억하고 있는가를 묻는 수준이었다. 반면, 폴리아(G. Polya)와 피시바인(E. Fischbein)에 관하여는 이론적 지식의 평가 능력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 kr)에는 예비교사들이 임용시험을 준비할 수 있도록 중등교사임용시험 기출문제를 탑재하고 있으며, 중등 수학교과교육학 평가의경우 2010학년도에서 2013학년도까지 출제된 2차 논술형 문항 12문항과 2014학년도 1차시험에서 출제된 기입형 4문항, 서술형 2문항 그리고 논술형 1문항 등 총 19문항이 제시되어 있다. 본고는 제시된 19문항을 대상으로 수학교과교육학 분야에서 예비 수학교사의 어떤 지식과 역량을 평가하는지 마련한 분석틀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 분석 결과는 최근 5개년의 문항만을 취급하였고, 2010학년도~2013학년도의 1차 단계에서 출제된 객관식 문항은 다루지 않았다는 제한점이 있다.
  • 한편, 수학교과교육학 문항을 분석한 고은아의 연구 [8]가 있다. 이 연구는 2002학년도부터 2011학년도까지 10년간 출제된 문항을 수학교육학 기초론, 수학과 교육과정, 교직수학, 수학문제해결, 수학 교수・학습론, 수학교육평가, 수학교육공학, 통합형 등으로 분류하여 출제 경향을 분석하면서, 중등교사 임용시험과중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고찰하고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최근 5개년(2010〜2014학년도)의 수학교과교육학 기출문항 가운데 분석 대상 문항을 분류하고, 수학과 임용시험 문항 분석에 적합한 분석틀 탐색과 그 분석틀에 근거하여 분류된 문항을 분석1)하고자 한다. 그리고 문항 분류 과정과 분석틀에 의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현행 임용시험에서의 수학교과교육학 출제와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이제, 분석틀 마련에 도움을 얻고자 인지능력 측정에 있어 규준이라 할 수 있으며, 교육목표 설정의 도구로 사용되고 있는 Bloom [2]의 이원분류표(Specification Table of Educational Objectives)를 살펴보고자 한다. 1956년 Bloom은 ‘교육목표분류학’을 제시하면서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심리·운동적 영역으로 교육목표의 행동 요소를 3가지로 분류하면서, 인지적 (cognitive) 영역은 지식, 이해, 적용, 분석, 종합, 평가로, 정의적(affective) 영역은 수용, 반응, 가치화, 조직화, 인격화, 그리고 심리·운동적(psycho-motor) 영역은 반사, 초보적 기초운동, 지각능력, 신체적 능력, 숙려된 기능, 동작적 의사소통 등의 세부영역으로 세분화하였다.

가설 설정

  • 넷째, 문항 난이도의 조정이다. 예년에는 객관식 선다형과 논술형 문항으로 출제되어 오던 것이 2014학년도부터 기입형, 서술형, 논술형 등 3가지 문항 유형으로 출제되면서 문항 유형에 일부 변화가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용시험 개편 과정은 궁극적으로 무엇이라 할 수 있는가? 이러한 임용시험 개편 과정은 궁극적으로 학교교육의 질적 개선과 교육 현장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우수한 자질을 갖춘 교사, 즉 내용교수지식(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을 바탕으로 한 수업전문성에 대한 능력과 다양한 소양을 겸비한 교사를 어떻게 선발할 것인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고민의 흔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수학과는 가르치는 내용이 모두 추상화되어 있는 관계로 교사가 가지는 수학교육철학, 수학교육 방법론적 기술, 수학적 지식에 대한 관점, 수학적 지식의 양, 수학적 태도, 수학적 사고 방법 등은 타 과목에 비해 훨씬 학생들의 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9] 수학교사의 선발은 매우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임용시험 기출 문항을 분석한 최근 연구의 한계는 무엇인가? 그러나 위와 같은 선행 연구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시한 평가 영역별 내용 요소를 근거로 한 문항 분석 [3]에 머물거나 임용시험이 어떻게 출제되었는지에 대한 중요한 지표를 출제 빈도수로만 가정 [8,11]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선행 연구는 첫째, 예비 수학교사가 갖추어야 할 세부적인 능력 측정 분류를 간과하였고, 둘째, 2014학년도 임용시험부터는 서답형 문항으로 출제됨에 따라 2013학년도 이전의 논술형 문항 유형 정보가 요구되고 있으나 연구가 미비하며, 셋째, 교과내용학 뿐만 아니라 교과교육학에 대한 보다 세밀한 분석연구가 부족하다는 것을 드러내고 있다. 그러므로 지식기반 사회에서의 교수(teaching) 활동을 위해 예비 수학교사에게 필요한 교과 내용 지식, 그리고 교수 방법 지식이 무엇인지를 측정할 수 있는 분석틀 마련과 수학교과교육학 논술형 문항 분석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Bloom은 ‘교육목표분류학’을 제시하였는데 어떻게 분류하였나? 이제, 분석틀 마련에 도움을 얻고자 인지능력 측정에 있어 규준이라 할 수 있으며, 교육목표 설정의 도구로 사용되고 있는 Bloom [2]의 이원분류표(Specification Table of Educational Objectives)를 살펴보고자 한다. 1956년 Bloom은 ‘교육목표분류학’을 제시하면서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심리·운동적 영역으로 교육목표의 행동 요소를 3가지로 분류하면서, 인지적 (cognitive) 영역은 지식, 이해, 적용, 분석, 종합, 평가로, 정의적(affective) 영역은 수용, 반응, 가치화, 조직화, 인격화, 그리고 심리·운동적(psycho-motor) 영역은 반사, 초보적 기초운동, 지각능력, 신체적 능력, 숙려된 기능, 동작적 의사소통 등의 세부영역으로 세분화하였다.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은 교육목표의 단순분류가 아니라 학습목표의 성질을 구조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문항 표집에 최적화 시킬 수 있어 그 의미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L. Anderson, D. Krathwohl,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New York: Addison Wesley Longman, 2001. 

  2. B. S. Bloom, The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Handbook I, Cognitive domain, New York: David McKay, 1956. 

  3. Byun J., Choi B., Trend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25(3) (2012), 119-140.(변지수, 최병옥, 중등교사 임용시험 수학교과 내용학 문항의 출제 경향 분석, 한국수학사학회지 25(3) (2012), 119-140.) 

  4. J. Dewey, (1904). The relation of theory to practice in education, 1904. In M. L. Brrowan(Ed), Teacher education in America: a documentary history, New york: teacher' college Press, 1971. 

  5. P. L. Grossman, The making of a teacher: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1990. 

  6. Han H. C., Implications of a Study on the Secondary Written Assessment of Teaching Skills in New York for t he Korean Teacher Certificate Examination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39(2) (2012), 129-155.(한혜정, 미국 뉴욕 주 교원임용 중등 교수역량 지필평가가 우리나라 교원임용시험에 주는 시사점 탐색, 한국교육 39(2) (2012), 129-155.) 

  7. J. Hiebert, P. Lefevre, 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in mathematics: An introductory analysis, 1986. In J. Hiebert (Ed.), 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the case of mathematics, Hillsdale(NJ): Lawrence Erbaum, 1-27. 

  8. Ko E. A., An Analysis of the part of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Selection Examination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of Ulsan University, 2011.(고은아, 중등임용고사 수학교육학 분야 문항 분석,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9. Lee I. J et 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degree and specification assessment areas and evaluation of teaching skill of mathematics of display the subjects in secondary school teacher certificate examination on reforming the 2009 academic year,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Report CRE 2008-6-2, 2008.(이인제 외, 2009학년도 개편 중등교사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 표시과목 수학의 교사 자격 기준 개발과 평가 영역 상세화 및 수업 능력 평가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E 2008-6-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 Lee I. J et al, Study on the system of the questions and scoring in secondary school teacher certificate examination on reforming the 2009 academic year,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Report CRE 2008-9-1, 2008.(이인제 외, 2009학년도 개편 중등교사신규 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의 출제.채점 체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E 2008-9-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1. Lee S. J., An Analysis of the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 Selection Test, Unpublished master's thesis of Ulsan University, 2011.(이수진, 수학 중등교원 임용고사 기출문항 분석-2009학년도-2011학년도 문항을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2. R. J. Marzano, Designing a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ousand Oaks, CA : Corwin Press, 2001. 

  13.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Notice,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8-117, 2008.(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2008-117호, 표시과목의 대학의 관련학부 (전공.학과) 및 기본이수과목 또는 분야, 2008.) 

  1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release,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02.15, 2012.(교육과학기술부, 교사신규채용제도 개선, 2012.2.15 보도자료, 2012.) 

  15.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ordinance 2007-914, 2007.(교육인적자원부, 교육인적자원부령 제914호. 교육공무원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규칙 일부개정령, 2007.10.1, 2007.) 

  16. D. Moseley et al, Frameworks for Thinking: A Handbook for Teaching and Learn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17.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2000. 

  18. Park S. H. et al, The questions of manual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05.(한국교육과정평가원, 대학수학능력시험출제 매뉴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19. L. S. Shulman, Paradigms and research program in the study of teaching: A contemporary perspective, 1986. In D. Grouws (Ed.), Handbook on research on teaching mathematics and learning (3rd ed.), New York: Macmilla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