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of meta-analysis regarding exercise using Assessment of Multiple Systematic Reviews (AMSTAR) as well as to compare effect size according to outcomes. Methods: Electronic databases including the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운동’과 ‘메타분석’을 주요어로 하여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현재시점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메타분석 연구를 대상으로 연구의 특성을 파악하고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평가도구인 AMSTAR를 사용하여 연구의 질을 평가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운동’과 ‘메타분석’을 주요어로 하여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현재시점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메타분석 연구를 대상으로 연구의 특성을 파악하고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평가도구인 AMSTAR를 사용하여 연구의 질을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개별 메타분석 연구에서 제시한 효과크기를 토대로 가장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를 보이는 운동중재가 무엇인지, 운동의 효과는 무엇인지, 운동에 참여한 대상자의 특성과 측정방법에 대해 비교함으로써 간호사에게 대상자 중심의 효과적인 운동간호중재를 위한 임상적 의사결과정과 간호수행의 근거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는 추후 메타분석 연구의 질 향상 방안을 제시하며 더 나아가 근거 기반에 기초한 운동 간호실무 향상에도 기여할 것이다.
  •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운동 관련 메타분석 논문의 연구특성과 효과크기의 차이를 파악하고 연구의 질 평가를 수행하여 메타분석 연구의 질 향상과 운동 관련 근거기반 간호실무 향상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운동 관련 메타분석 연구를 AMSTAR 보고기준에 따라 연구의 질을 평가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국내 의학, 간호학, 체육학 등 다양한 학문분야의 학술지에 게재된 메타분석 연구를 검색하기 위해 한국학술정보원(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DBpia, RISS4U, 학지사의 뉴논문, 국회도서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한국어로 ‘메타분석’, ‘운동’을 주요어로 하여 2014년 1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체계적 문헌고찰, 메타분석 및 질 평가 관련 워크숍에 참여하여 메타분석 연구의 질 평가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각자 독립적으로 자료검색과 자료추출에 참여하였으며 공동 연구자이며 메타분석 전공 교수 1명이 전반적인 자료 수집 및 선정 과정을 함께 검토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AMSTAR를 이용하여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운동 관련 메타분석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운동 관련 메타분석 논문의 연구특성과 효과크기의 차이를 파악하고 연구의 질 평가를 수행하여 메타분석 연구의 질 향상과 운동 관련 근거기반 간호실무 향상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타분석이란 무엇인가? 이를 통해 국내외적으로 메타분석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메타분석은 특정한 연구주제에 대한 두개 이상의 개별 연구들을 통계적으로 결합하여 평균 또는 공통 효과를 추정하는 양적 연구 방법이다[2]. 즉, 동일한 주제에서도 연구 대상의 표집, 측정도구, 자료 분석 방법이나 연구 결과가 서로 다르므로 선행 연구들을 종합하여 또 다른 대안이나 결론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통합법이라고 할 수 있다.
PostdamConsultation on Meta-analysis와 QUOROM의 단점을 보완하여 무엇이 개발되었는가? 1990년초에개발된PostdamConsultation on Meta-analysis[15]은 문항이 적고 일부 과학적 연구 방법론에만 초점을 두고 있으며QUOROM (Quality ofReporting of Meta-analyses)[20]은비교적체계적으로 연구의 질을 평가하였으나 평가 항목수가 많고 실시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여 관찰연구의 질을 평가하는 MOOSE (Meta-analysis of Observation Studies in Epidemiology)[16], 무작위 실험 연구의 질을 평가하는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17]가 개발되었으나 대상 논문의 연구 설계에 따라 적용이 제한되며 27-35개 항목의 체크리스트 형식으로 구성되어 현재는 체계적 문헌고찰의 보고기준으로만 활용되고있다.
메타분석 연구의 질 평가에는 무엇이 사용되는가? 지금까지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메타분석 연구의 질 평가를 위해 다양한 평가도구들이 개발되어 사용되어왔다. 의학, 약학, 치의학및 간호학 분야에서는 1990년대 초부터 Postdam Consultation on Meta-analysis [15], QUOROM (Quality of Reporting of Meta-analyses)[5], MOOSE (Meta-analysis of Observation Studies in Epidemiology)[16],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17], OQAQ (The Overview Quality Assessment Questionnaire)[18], AMSTAR (Assessment of Multiple Systematic Reviews)[19,20] 등을 주로 사용하여 메타분석 연구의 질 평가를 수행해 왔다[13-19]. 1990년초에개발된PostdamConsultation on Meta-analysis[15]은 문항이 적고 일부 과학적 연구 방법론에만 초점을 두고 있으며QUOROM (Quality ofReporting of Meta-analyses)[20]은비교적체계적으로 연구의 질을 평가하였으나 평가 항목수가 많고 실시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Yoo JY, Oh EG. Level of beliefs, knowledge and performance for evidence-based practice among nurses experienced in preceptor ro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2):202-212.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2.202 

  2. Shin IS, Park EY. Review of the meta-analysis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and related field.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2011;54(4):157-176. 

  3. Kim JH, Kim AK. A quality assessment of meta-analyses of nursing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6):736-745. http://dx.doi.org/10.4040/jkan.2013.43.6.736 

  4. Jang DH, Shin IS. Historical development of meta-analysis as an educational research methodology.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1;14(3):309-332. 

  5. Moher D, Cook DJ, Eastwood S, Olkin I, Rennie D, Stroup DF. Improving the quality of reports of meta-analyses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The QUOROM statement. Quality of reporting of meta-analyses. Lancet. 1999;354(9193):1896-1900. 

  6. Dixon E, Hameed M, Sutherland F, Cook DJ, Doig C. Evaluating metaanalyses in the general surgical literature: A critical appraisal. Annals of Surgery. 2005;241(3):450-459. 

  7. MacDonald SL, Canfield SE, Fesperman SF, Dahm P. Assessment of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systematic reviews published in the urological literature from 1998 to 2008. The Journal of Urology. 2010;184(2):648-653. http://dx.doi.org/10.1016/j.juro.2010.03.127 

  8. Dijkman BG, Abouali JA, Kooistra BW, Conter HJ, Poolman RW, Kulkarni AV, et al. Twenty years of meta-analyses in orthopaedic surgery: Has quality kept up with quantity? The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American Volume. 2010;92(1):48-57. http://dx.doi.org/10.2106/jbjs.i.00251 

  9. De Vito C, Manzoli L, Marzuillo C, Anastasi D, Boccia A, Villari P. A systematic review evaluating the potential for bias and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meta-analyses in vaccinology. Vaccine. 2007;25(52):8794-8806. http://dx.doi.org/10.1016/j.vaccine.2007.10.034 

  10. Melchiors AC, Correr CJ, Venson R, Pontarolo R. An analysis of quality of systematic reviews on pharmacist health interven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2012;34(1):32-42. http://dx.doi.org/10.1007/s11096-011-9592-0 

  11. Papageorgiou SN, Papadopoulos MA, Athanasiou AE. Evaluation of methodolog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ystematic reviews in orthodontics. Orthodontics & Craniofacial Research. 2011;14(3):116-137. http://dx.doi.org/10.1111/j.1601-6343.2011.01522.x 

  12. Suebnukarn S, Ngamboonsirisingh S, Rattanabanlang A. A systematic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meta-analyses in endodontics. Journal of Endodontics. 2010;36(4):602-608. http://dx.doi.org/10.1016/j.joen.2009.12.019 

  13. Kim YK. A review of the meta-analysis in major academic journal of business management in Korea.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10;23(4):1833-1858. 

  14. Suh MO. The review of meta-analysis and research methodology proposed.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011;49(2):1-23. 

  15. Cook DJ, Sackett DL, Spitzer WO. Methodologic guidelines for systematic reviews of randomized control trials in health care from the potsdam consultation on meta-analysi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1995;48(1):167-171. 

  16. Stroup DF, Berlin JA, Morton SC, Olkin I, Williamson GD, Rennie D, et al.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in epidemiology: A proposal for reporting.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in epidemiology (MOOSE) group. JAMA: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0;283(15):2008-2012. 

  17. Moher D, Liberati A, Tetzlaff J, Altman DG.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2009;62(10):1006-1012. http://dx.doi.org/10.1016/j.jclinepi.2009.06.005 

  18. Oxman AD, Guyatt GH, Singer J, Goldsmith CH, Hutchison BG, Milner RA, et al. Agreement among reviewers of review article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1991;44(1):91-98. 

  19. Shea BJ, Grimshaw JM, Wells GA, Boers M, Andersson N, Hamel C, et al. Development of AMSTAR: A measurement tool to assess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systematic reviews. BMC Medical Research Methodology. 2007;7:10. http://dx.doi.org/10.1186/1471-2288-7-10 

  20. Shea BJ, Hamel C, Wells GA, Bouter LM, Kristjansson E, Grimshaw J, et al. AMSTAR i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ment tool to assess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systematic review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2009;62(10):1013-1020. http://dx.doi.org/10.1016/j.jclinepi.2008.10.009 

  21. Kim SY, Park JE, Seo HJ, Lee YJ, Jang BH, Son HJ, et al.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1. 

  22. Matjasko JL, Vivolo-Kantor AM, Massetti GM, Holland KM, Holt MK, Cruz JD. A systematic meta-review of evaluations of youth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Common and divergent findings from 25 years of meta-analyses and systematic reviews.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2012;17(6):540-552. http://dx.doi.org/10.1016/j.avb.2012.06.006 

  23.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24. Burda BU, Norris SL, Holmer HK, Ogden LA, Smith ME. Quality varies across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mammography screening in women aged 40-49 years as assessed by AGREE and AMSTAR instrument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2011;64(9):968-976. http://dx.doi.org/10.1016/j.jclinepi.2010.12.005 

  25. Lee MH, Baek SS. A meta-analysis of optimal exercise time and frequence for fat loss in overweight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2012;18(2):199-210. 

  26. Ho SS, Dhaliwal SS, Hills AP, Pal S. The effect of 12 weeks of aerobic, resistance or combination exercise training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the overweight and obese in a randomized trial. BMC Public Health. 2012;12:704. http://dx.doi.org/10.1186/1471-2458-12-704 

  27. Davidson LE, Hudson R, Kilpatrick K, Kuk JL, McMillan K, Janiszewski PM, et al. Effects of exercise modality on insulin resistance and functional limitation in older adul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2009;169(2):122-131. http://dx.doi.org/10.1001/archinternmed.2008.558 

  28. Chung CW, Lee S, Hwang SW, Park EH. Systematic review of exercise effects on health outcomes in women with breast cancer. Asian Nursing Research. 2013;7(3):149-159. http://dx.doi.org/10.1016/j.anr.2013.07.005 

  29. Sung KS, Yoon YM, Kim EJ.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obesity management program for childre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3;19(4):262-269. http://dx.doi.org/10.4094/chnr.2013.19.4.262 

  30. McCartney K, Rosenthal R. Effect size, practical importance, and social policy for children. Child Development. 2000;71(1):173-1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