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추신경발달치료를 이용한 몸통 안정화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허리부위 근 활성도와 균형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on muscle activity in lumbar region and balance in the patients with hemiplegia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6 no.1, 2014년, pp.33 - 40  

심현보 (가천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조휘영 (가천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최원호 (가천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lower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using neurodevelopmental technique (NDT) on muscle activity in lumbar region and balance in the patients with hemiplegia. Methods: Fifteen participants were allocated in two groups: NDT group (n=8)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에서 중추신경발달치료를 이용한 몸통 안정화 운동이 허리부위 근육의 활성도와 균형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뇌졸중환자를 대상으로 중추신경발달치료를 이용한 몸통 안정화 운동이 허리부위 근 활성도와 균형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증명하였다. 첫째, 중추신경발달치료를 이용한 몸통 안정화 운동은 뇌졸중 환자의 배곧은근과 배바깥빗근의 근활성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킨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이란? 뇌졸중은 허혈 및 출혈에 의하여 중추신경계인 뇌의 신경조직에 혈액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신경학적 손상으로, 신체의 비대칭 및 근육 긴장도의 변성, 그리고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의 결손이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중 근력약화는 뇌졸중환자의 재활에 있어서 보행과 균형의 운동 기능 제한에 주된 원인이 된다.
뇌졸중 환자는 운동기능의 결손이 유발하는 문제점은? 뇌졸중 환자는 운동기능의 결손으로 인하여 몸통의 분절 간 협응력 저하가 유발되며, 이는 균형과 보행기능의 장애를 유발한다.6또한, 뇌졸중 환자에서 이러한 몸통 근육의 근력 및 지구력은 일상생활동작 유지에 필수적이며, 균형과 보행능력 및 기능활동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NDT의 장점은? 중추신경발달치료(neurodevelopmental technique; NDT)는 임상에서 뇌졸중 환자의 몸통 및 팔다리의 기능 재활에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서, 자세 근 긴장도 관점에서 몸통 근육의 정상자세와 동작을 학습하고 운동패턴을 조절하여 신체 협응 패턴의 정상화를 강조한다.11 중추신경발달치료는 다양한 치료양식을 포함하며, 환자의 상태에 맞추어 치료양식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양한 연구에서 중추신경발달치료의 적용이 뇌졸중 환자의 건강상태, 근 긴장도, 보행 및 균형, 일상생활동작, 그리고 팔다리의 기능 개선을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harp SA, Brouwer BJ.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of the hemiparetic knee : Effects on functional and spasticity. Arch Phys Med Rehabil. 1997;78(11):1231-6. 

  2. Belda-Lois JM, Mena-del Horno S, Bermejo-Bosch I, Moreno JC, Pons JL, Farina D, Iosa M, Molinari M, Tamburella F, Ramos A, Caria A, Solis-Escalante T, Brunner C, Rea M. Rehabilitation of gait after stroke: a review towards a top-down approach. J Neuroeng Rehabil. 2011;8:66. 

  3. Hodges PW, Richardson CA. Relationship between limb movement speed and associated contraction of the trunk muscles. Ergonomics. 1997;40(11):1220-30. 

  4. Yu CH, Shin SH, Jeong HC, Go DY, Kwon TK. Activity analysis of trunk and leg muscles during whole body tilt exercise. Biomed Mater Eng. 2014;24(1):245-54. 

  5. Miyake Y, Kobayashi R, Kelepecz D, Nakajima M. Miyake Y, Kobayashi R, Kelepecz D, Nakajima M. Core exercises elevate trunk stability to facilitate skilled motor behavior of the upper extremities. J Bodyw Mov Ther. 2013;17(2):259-65. 

  6. Hacmon RR, Krasovsky T, Lamontagne A, Levin MF. Deficits in intersegmental trunk coordination during walking are related to clinical balance and gait function in chronic stroke. J Neurol Phys Ther. 2012;36(4):173-81. 

  7. Verheyden G, Vereeck L, Truijen S, Troch M, Herregodts I, Lafosse C, Nieuwboer A, De Weerdt W.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nd the relationship with balance, gait and functional ability. Clin Rehabil. 2006;20(5):451-8. 

  8. Yu SH, Park SD. The effects of core stability strength exercise on muscle activity and trunk impairment scale in stroke patients. J Exerc Rehabil. 2013;9(3):362-7. 

  9. Bae SH, Lee HG, Kim YE, Kim GY, Jung HW, Kim KY. Effects of Trunk Stabilization Exercises on Different Support Surfaces 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runk Muscles and Balance Ability. J Phys Ther Sci. 2013;25(6):741-5. 

  10. Karthikbabu S, Nayak A, Vijayakumar K, Misri Z, Suresh B, Ganesan S, Joshua AM. Comparison of physio ball and plinth trunk exercises regimens on trunk control and functional balance in patients with acute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011;25(8):709-19. 

  11. Raine S, Meadows L, Lynch-Ellerington M. Bobath Concept: Theory and Clinical Practice in Neurological Rehabilitation. Wiley-Blackwell, 2009:23-42. 

  12. Mikolajewska E. Associations between Results of Post- Stroke NDT-Bobath Rehabilitation in Gait Parameters, ADL and Hand Functions. Adv Clin Exp Med. 2013;22(5):731-8. 

  13. Mikolajewska E. NDT-Bobath method in normalization of muscle tone in post-stroke patients. Adv Clin Exp Med. 2012;21(4):513-7. 

  14. Graham JV, Eustace C, Brock K, Swain E, Irwin- Carruthers S. The Bobath concept in contemporary clinical practice. Top Stroke Rehabil. 2009;16(1):57-68. 

  15. Park HJ, Oh DW, Kim SY. Effects of integrating hip movements into bridge exercises on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of selected trunk muscles in healthy individuals. 2013;Epub ahead of print. 

  16. Berg K, Wood-Dauphin S, Williams JI. The Balance Scale: reliability assessment with elderly residents and patients with an acute stroke. Scand J Rehabil Med. 1995;27(1):27-36. 

  17. Blum L, Korner-Bitensky N. Usefulness of the Berg Balance Scale in stroke rehabilitation: a systematic review. Phys Ther. 2008;88(5):559-66. 

  18.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2):142-8. 

  19. Ng SS, Hui-Chan CW. The timed up & go test: its reliability and association with lower-limb impairments and locomotor capacities in people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5;86(8):1641-7. 

  20. Desai I, Marshall PW. Acute effect of labile surfaces during core stability exercises in people with and without low back pain. J Electromyogr Kinesiol. 2010;20(6):1155-62 

  21. Hu H, Meijer OG, Hodges PW, Bruijn SM, Strijers RL, Nanayakkara PW, van Royen BJ, Wu WH, Xia C, van Dieen JH. Control of the lateral abdominal muscles during walking. Hum Mov Sci. 2012;31(4):880-96. 

  22. Prosser LA, Lee SC, VanSant AF, Barbe MF, Lauer RT. Trunk and hip muscle activation patterns are different during walking in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cerebral palsy. Phys Ther. 2010;90(7):986-97. 

  23. Cabanas-Valdes R, Cuchi GU, Bagur-Calafat C. Trunk training exercises approaches for improving trunk performance and functional sitting balance in patients with stroke: A systematic review. NeuroRehabilitation. 2013;33(4):575-92. 

  24. Weaver H, Vichas D, Strutton PH, Sorinola I. The effect of an exercise ball on trunk muscle responses to rapid limb movement. Gait Posture. 2012;35(1):70-7 

  25. Kibler WB, Press J, Sciascia A. The role of core stability in athletic function. Sports Med. 2006;36(3):189-98. 

  26. Barr KP, Griggs M, Cadby T. Lumbar stabilization: core concepts and current literature, Part 1. Am J Phys Med Rehabil. 2005;84(6):473-80. 

  27. Hodges PW, Richardson CA. Contraction of the abdominal muscles associated with movement of the lower limb. Phys Ther. 1997;77(2):132-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