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메타인지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Metacognition on Clinical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0 no.4, 2014년, pp.513 - 522  

조미영 (동남보건대학교 간호과) ,  채명옥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dentifies the influence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metacognition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Method: The subjects consisted of 290 second and third year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메타인지와 임상수행능력을 파악하고,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메타인지, 임상 수행능력 간의 관계를 확인하여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메타인지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교육과정 개발에 기여하고, 장기적으로 신규간호사로서의 적응력 향상 및 전문성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메타인지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와 같이 그동안 자기주도 학습은 자기주도 학습 영향요인이나 임상수행능력과 관련된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메타인지는 비판적 사고능력, 문제해결능력과 관련된 연구가 대부분으로, 간호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메타인지, 임상수행능력 간의 관계를 확인한 연구는 찾기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관점에서, 간호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메타인지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메타인지와 자기주도 학습을 반영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상실습교육은 어떤 교육방법인가? 간호교육에서 임상실습교육은 실제 임상현장에서 직접 환자를 대면하여 학생이 습득한 이론교육과 간호술기를 적용하는 교육방법으로,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와 분석적 기술, 의사소통능력, 시간관리 기술을 개발하고 간호사로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자신감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Löfmark & Wikblad, 2001).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간호교육기관의 임상실습교육은 이론과 실무 간의 연계가 부족하고, 학생의 임상실습지도에 대한 관심과 열의를 갖춘 현장실습지도교수의 부족과 관찰위주의 임상실습교육 방식으로 인해 학생들의 실습의욕과 실습만족도를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Cho & Kwon, 2007).
간호학생들 스스로 습득한 간호학적 지식을 응용해 간호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학습 방법을 포괄적 관점에서는 무엇이라고 하는가? 이와 같은 간호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더 이상 교수자 중심의 단편적인 개선노력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학습자인 간호학생들 스스로 습득한 간호학적 지식과 기술을 상황에 통합, 연계하여 환자의 간호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노력과 능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학습방법을 포괄적 관점에서 자기주도 학습방법이라 말하며, 특히 임상실습교육과정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Yang & Park, 2004). 교육학분야에서는 이러한 자기주도 학습을 말할 때, 학생이 자신의 인지적 지식수준을 파악한 후 지식활동을 통제· 조절하는 메타인지(metacognition) 능력을 같이 언급하고 있다.
임상실습교육의 목적은? 간호교육에서 임상실습교육은 실제 임상현장에서 직접 환자를 대면하여 학생이 습득한 이론교육과 간호술기를 적용하는 교육방법으로,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와 분석적 기술, 의사소통능력, 시간관리 기술을 개발하고 간호사로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자신감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Löfmark & Wikblad, 2001).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간호교육기관의 임상실습교육은 이론과 실무 간의 연계가 부족하고, 학생의 임상실습지도에 대한 관심과 열의를 갖춘 현장실습지도교수의 부족과 관찰위주의 임상실습교육 방식으로 인해 학생들의 실습의욕과 실습만족도를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Cho & Kwon,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rret, C., & Myrick, F. (1998). Job satisfaction in preceptorship and its effect on the clinical performance of precepte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7(2), 364-371. 

  2. Chaung, S. K. (201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1), 71-78. 

  3. Cho, M. H., & Kwon, I. S. (2007). A study on th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on nursing activities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3(2), 143-154. 

  4. Choi, H. J. (2004). The effect of PBL(problem based learning) on the metacognition,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proces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5), 712-721. 

  5. Choi, J. H., & Jeong, J. H. (2011). The effect of readiness to self-directed learning on nursing practice competenc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1), 16-26. 

  6. Choi, M. S. (200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effectiveness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7. Flavell, J. H. (1979). Metacognition and Cognitive Monitoring: A New area of cognitive-developmental inquiry. American Psychologist, 34(10), 906-911. 

  8. Hwang, Y. Y, Park, C. S., & Chu, M. S. (2007). Correlations among meta cognition, critical thinking and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studying through problem based learning (PB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8(1), 146-155. 

  9. Jang, K. S., Kim, N, Y., Ryu, S. A., Kim, Y. M., & Chung, K. H. (2007). Effects of collaborative learning on problem -solving processes according to the level of metacognition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2), 191-198. 

  10. Jung, J. S. (2012). Relationship of self-directedness and practice satisfaction to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clinical competenc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 53-61. 

  11. Kim, E. J., & Cho, D. S. (2012). Learining contracts based self-directed clinical practicum.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2), 268-275. 

  12. Knowles, M. S. (1975). Self-directed: A guid for learners and teachers. N.Y.: Association Press. 

  13.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al Institute (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al of life-skills: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al Institute. 

  14. Kwon, M. S. (2011). The influence of self-directed learning &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3), 389-396. 

  15. Lee, E. J., Yi, Y. J., Kim, Y. S., Jo, H. S., Kim, H. S., Kim, Y. M., Park, K. H., & Kim, J. S. (2011). Comparison of factors affecting clinical competence between associate and bachelor nursing students completed nursing co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2), 218-225. 

  16. Lee, E. K., & Park, J. A. (2013). Ego-resilience and the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2), 293-303. 

  17. Lee, O. S., & Gu, M. O.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skill, clinical competence &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6), 2749-2759. 

  18. Lee, S. O, & Suh, M. H. (2012). A study on interaction pattern, learning attitude, task performance by meta-cognitive level in web-based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2), 323-331. 

  19. Lee, W. H., Kim, C. J., Yoo, J. S., Hur, H .K., Kim, K. S., & Lim, S. M. (1990). Development of clinical competency measurement tool for student. Journal Nursing Science, 13(1), 17-29. 

  20. Lofmark, A., & Wikblad, K. (2001). Facilitating and obstructing factors for development of learning in clinical practice: a student perspective. Issues and Innovations in Nursing Education, 34(1), 43-50. 

  21. Noh, H. J. (2001).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through metacognitive strategy on social studies at the elementary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22. Oh, Y. J., & Kang, H. Y. (2013). Metacognition, learning flow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nursing simulation learning. The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3), 239-247. 

  23. Park, K. O., & Kim, J, K. (2013). A study on experience of transition from new clinical nurse to competent step.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4), 594-605. 

  24. Pintrich, P. R., Smith, D. A. F., Garcia, T., & McKeachie, W. J. (1991). A Manual for the use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MSLQ). Washington, DC: Office of Educational Research and Improvement. 

  25. Schwirian, P. M. (1978).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nurse: a multidimensional approach. Nursing Research, 27(6), 347-351. 

  26. Song, M. R., Kim, E. M., & Yu, S. J. (2012). Aanalysis on th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basic nursing skill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12(6), 390-401. 

  27. Stewart, P. W., Cooper, S. S., & Moulding, L. R. (2007). Metacognitive development in professional educators. The Researcher, 21, 32-40. 

  28. Wiley, K. (1983). Effects of a self-directed learning project and preference for structure 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Nursing Research, 32(3), 181-185. 

  29. Yang, J., J., & Park, M. Y. (2004). The relationship of clinical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0(2), 271-277. 

  30. Yi, W. M. (2004). Effect of metacognition and flow level in learning through educational computer game on problem solving 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