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Brain-based learning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n nursing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 synthesize the literature on brain-based learning in nursing education using Whittemore and Knafl's integrative review method, and (b) discuss teaching strategies for nursing ed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뇌기반 학습은 인간의 뇌가 보다 효율적으로 학습하는 원리를 교육에 이용하여 교수-학습을 설계하는 것으로서, 국내외 교육학자들은 뇌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다양한 연구를 실시하여 왔다. 그러나 국내 간호교육에서는 뇌기반 학습에 대한 담론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고 있어 본 연구자들은 1984년부터 시작된 간호교육에서의 뇌기반 학습과 관련된 연구논문들을 통합적으로 고찰하여 국내 간호교육자들에게 뇌기반 학습을 통한 교수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통합적 고찰은 분석대상 연구 논문을 특정 연구 설계에 국한하지 않는 보다 확대된 문헌고찰 방법이기 때문에, 발견된 결과를 바탕으로 고찰하고자 하는 주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해준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인지적 능력뿐 아니라 간호술기능력을 향상시켜야 하는 간호교육의 특성을 고려하여 간호교육자들에게 뇌기반 학습의 이해를 돕고 교수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교육에서 뇌기반 학습을 적용한 연구논문을 통합적 고찰 방법으로 분석한 문헌분석연구이다. Whittmore와 Knafl (2005)이 제시한 지침에 따라 연구문제의 명료화, 문헌검색, 자료의 질평가, 자료분석, 자료기술의 5단계로 시행하였다(Figure 1).
  • 뇌기반 학습은 뇌의 인지기능 및 구조에 대한 과학적인 이해를 기초로 하여, 지식의 양이 아닌 지식의 적절한 활용을 위한 실용적인 접근이다(Chung, 2010). 본 연구에서는 간호교육에서 뇌기반 학습과 관련된 24개의 국외 연구를 통합적으로 고찰하여 간호교육자를 위한 세 가지 뇌기반 학습 교수전략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의 의의는 국내 간호교육환경에서 뇌기반 학습이라는 담론을 형성하고, 뇌기반 학습의 사례를 보여주며, 이미 적용하고 있는 교육방법들의 교육효과에 대한 근거를 제시함에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교육자들이 뇌기반 학습 원리를 이용한 다양한 간호교육방법을 개발할 것을 제언한다.
  • 통합적 문헌고찰의 결론은 테이블 또는 도표 형태로 나타날 때 연구의 결론을 지지하고 논리적인 흐름을 보여준다(Whittmore & Knafl, 2005). 이러한 마지막 절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테이블을 통하여 도출된 주요 개념에 대한 깊이와 폭을 제공하고 독자들의 이해를 돕도록 노력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뇌기반 학습과 관련된 국외 논문들을 검색하여 Whittmore와 Knafl (2005)이 제시한 통합적 고찰 방법으로 관련 문헌들을 우선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통합적 고찰은 분석대상 연구 논문을 특정 연구 설계에 국한하지 않는 보다 확대된 문헌고찰 방법이기 때문에, 발견된 결과를 바탕으로 고찰하고자 하는 주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해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달의 원리에 입각한 뇌기반 학습의 원칙에 따라 학습자들을 활발하게 움직이도록 해야하는 이유는? 신체를 움직임으로써 신경세포막이 생성되고, 신경세포막이 증가할수록 두뇌에서 이루어지는 지적 과정은 더욱 고조된다(Collins, 2007). 이러한 창의적인 교육방법은 인지영역인 좌뇌와 감성영역인 우뇌를 함께 자극하여 전뇌를 활용하게 함으로써 학습효과를 향상시킨다. 또한 움직임은 학습내용을 신경망에 내면화하고 공고화하며, 뇌의 작용을 자극하는데 기여할 뿐 아니라, 평생 동안 인지기능 발달에 기여한다(Clement & Lovat, 2012). 따라서 뇌발달의 원리에 입각한 뇌기반 학습의 원칙에 따라 학습자들을 보다 활발하게 움직이게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Cho & Kim, 2011).
학습이란? 첫 번째 전략으로는 학습자의 전뇌의 기능을 활성화하라는 것이다. 학습이란 단순히 지식의 습득 뿐 아니라 학습된 지식을 신경계에 저장하고 필요할 때 다시 기억해내는 매우 복잡한 신경학적인 활동이다(Cardoza, 2011). 아드레날린과 도파민은 학습자의 보상감과 만족감을 증가시키고 복잡한 임상상황에 대처해야 하는 의사결정 능력을 증진시키며, 거울신경세포(mirror neuron)와 뇌신경세포의 생존과 기능에 관여하는 CREB (cAMP Responsive Element Binding protein, 고리형 AMP 반응요소결합단백질) 등은 학습효과를 증진시킨다(Collins, 2007).
간호교육에 있어서 아드레날린과 도파민의 역할은? 학습이란 단순히 지식의 습득 뿐 아니라 학습된 지식을 신경계에 저장하고 필요할 때 다시 기억해내는 매우 복잡한 신경학적인 활동이다(Cardoza, 2011). 아드레날린과 도파민은 학습자의 보상감과 만족감을 증가시키고 복잡한 임상상황에 대처해야 하는 의사결정 능력을 증진시키며, 거울신경세포(mirror neuron)와 뇌신경세포의 생존과 기능에 관여하는 CREB (cAMP Responsive Element Binding protein, 고리형 AMP 반응요소결합단백질) 등은 학습효과를 증진시킨다(Collins, 2007). 인간의 뇌는 형태와 크기가 거의 같은 좌뇌와 우뇌로 구분되어 있는데, 좌뇌는 논리적 사고와 언어적 기능, 과학적 판단과 객관적 사고의 기능을 담당하는 반면, 우뇌는 창조적이고 공감각적인 정보를 주로 처리하는 기능으로 알려져 있다(Collins,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ond, M. E. (2009). Exposing shame and its effect on clinical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8(3), 132-140. 

  2. Burk, B., Gillman, D., & Ose, P. (1984). Brain research for educators. Th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15(6), 195-198. 

  3. Cardoza, M. P. (2011). Neuroscience and simulation: An evolving theory of brain-based education.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7(6), e205-e208. 

  4. Cho, S., & Kim, M. (2011). An analysis of brain dominance,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emotion between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Biology Education, 39(3), 345-354. 

  5. Choi, H. Y., & Shin, D. H. (2014). The analysis of researches on the brain-based teaching and learning for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3(1), 140-161. 

  6. Chung, J. (2010). The concept and principal of brain-based teaching and learning. The Proceeding of The Korea Association of Yeolin Education, 2, 19-39. 

  7. Clement, N. D., & Lovat, T. (2012). Neuroscience and education: Issues and challenges for curriculum. Curriculum Inquiry, 42(4), 534-557. 

  8. Collins, J. W. (2007). The neuroscience of learning.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39(5), 305-310. 

  9. Denny, M., Weber, E. F., Wells, J., Stokes, O. R., Lane, P., & Denieffe, S. (2008). Matching purpose with practice: Revolutionizing nurse education with MITA. Nurse Education Today, 28(1), 100-107. 

  10. Fero, L. J., O'Donnell, J. M., Zullo, T. G., Dabbs, A. D., Kitutu, J., Samosky, J. T., & Hoffman, L. A. (2010). Critical thinking skills in nursing students: Comparison of simulation­based performance with metric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10), 2182-2193. 

  11. Garrard, J. (2010). Health sciences literature review made easy: The matrix method (3rd ed). Massachusetts: Jones & Bartlett Learning. 

  12. Hermanns, M., Lilly, M. L., Wilson, K., & Russell, N. A. (2012). Name that neurotransmitter: using music to teach psychopharmacology concep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1(9), 517-520. 

  13. Immordino-Yang, M. H. & Damasio, A. (2007). We feel, therefore we learn: The relevance of affective and social neuroscience to education. Mind, Brain and Education, 1(1), 3-10. 

  14. Jensen, E. P. (2008). Brain-based learning: The new paradigm of teaching (2nd ed). California: Corwin Press. 

  15. Kolb, A. Y., & Kolb, D. A. (2005). The Kolb Learning Style Inventory - Version 3.1 2005 Technical Specifications. Boston: Hay Resources Direct. 

  16. Lee, W. H., Kang, K. A., Kim, D. S., & Jang, S. O. (2011). The nature of theoretical thinking in nursing. Seoul: Hyunmoonsa. 

  17. Lichtman, M. (2006).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A user's guide. London: Sage Publication. 

  18. Lillyman, S., Gutteridge, R., & Berridge, P. (2011). Using a storyboarding technique in the classroom to address end of life experiences in practice and engage student nurses in deeper reflection. Nurse Education in Practice, 11(3), 179-185. 

  19. Mueller, A., Johnston, M., & Bligh, D. (2001). Mind-mapped care plans: A remarkable alternative to traditional nursing care plans. Nurse Educator, 26(2), 75-80. 

  20. Noonan, P. (2011). Using concept maps in perioperative education. AORN Journal, 94(5), 469-478. 

  21. Oh, J., Im, M., & Roh, H. (2014). Development of cinenurducation based on Kolb's experiential learning model for understanding child growth and development.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2), 96-104. 

  22. Oh, J., Shin, H., & De Gagne, J. C. (2012). QSEN competencies in pre-licensure nursing education and the application to cinenur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3), 474-485. 

  23. Pilcher, J. (2012). Growing dendrites and brain-based learning. Neonatal Network, 31(3), 191-194. 

  24. Potgiert, E., & Phill, D. L. (1999). Relationship between the whole brain creativity model and Kolb's experiential learning model. Curationis, 12, 9-14. 

  25. Restaino., R. (2011). Gain attention, enhance memory, and improve learning with brain-based strategies. Th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42(5), 199-200. 

  26. Rothgeb, M. K. (2008). Creating a nursing simulation laboratory: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7(11), 489-494. 

  27. Sripada, K. (2012). Neuroscience in the capital: Linking brain research and federal early childhood programs and policie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3(1), 120-130. 

  28. Whittemore, R., & Knafl, K. (2005). The integrative review: Updated methodolog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2(5), 546-551. 

  29. Yang, S. (2012). The trend in domestic research on the brain-based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Korean Education Inquiry, 30(1), 239-265. 

  30. Zander, P. E. (2007). Ways of knowing in nursing: The historical evolution of a concept. Journal of Theory Construction & Testing, 11(1), 7-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