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경변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모형구축

Construction of Model fo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Liver Cirrho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6 no.4, 2014년, pp.292 - 299  

김지숙 (경북대학교 간호학과) ,  홍해숙 (경북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is a study on the structural model that aims to build a path model of multivariates affecting the quality of health-related living for liver cirrhosis patients and specify causal relations affecting the quality of health-related living for liver cirrhosis patients. Methods: The resear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경변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환경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 심리적 증상인 불안, 우울, 기능적 상태, 건강지각, 삶의 질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요인들만을 규명한 것이어서 실제 다변인들 간의 통합적 관계로 접근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경변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가족이나 의료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증상 요인인 불안, 우울, 기능적 상태와 건강지각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다변인들에 대한 경로 모형을 구축함으로써, 간경변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간경변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경변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간경변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 변인들간의 경로모형을 통해 인과적 관계를 확인하고, 간경변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모형 구축을 하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간경변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변인들에 대한 경로모형을 구축함으로써 간경변증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간경변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변인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한 후, 모형의 적합성과 모형에서 제시된 가설을 검증하는 구조모형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 질환 관련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최근 간 질환 관련 삶의 질에 관한 국외연구를 살펴보면, 만성 간질환의 질병원인에 따른 삶의 질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어떠한 원인 에서든 간경변증이 동반된 경우 삶의 질이 저하되며(Svirtlih et al., 2008), 우울과 불안은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Mabrouk et al., 2012), 사회적 지지(Modabbernia, Ashrafi, Malekzadeh, & Poustchi 2013), 기능적 상태(Amann et al., 2013)는 삶의 질의 주요 영향요인이 었다. 국내 연구에서도 지각된 질병장애정도, 기능상태, 직업유무, 우울(Kim, 2005)이 삶의 질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Kim 등(2007) 의 연구에서 간염 환자의 삶의 질은 간 질환 영향, 절망, 건강 불편감, 성기능이 가장 심각하게 저하되어 있었다.
간경변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심리적인 불안증상을 중재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연구모형을 분석한 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 불안, 우울, 기능적 상태와 건강지각은 간경변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직접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울이나 불안과 같은 부정적 심리적 증상은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것이 자살 생각으로 이어지는 것으로(Lee & Chang, 2012), 이는 불안과 우울 증상에 대한 사정과 중재가 절실히 요구됨을 시사하였다. 특히 간경변증 환자의 치료는 완치보다는 합병증 발생과 더 이상 악화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약물섭취와 관리가 요구되므로 환자들은 사는 동안 내내 심리적 사회적 갈등을 가지고 살아가게 된다(Lee, 2008). Wong 등(2008)의 연구에서 간경변증 환자의 불안과 우울 증상이 심각하고 이는 건강관련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요인이었다. 따라서 간경변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서는 간경변증 환자의 개개인이 느끼는 심리적인 우울이나 불안증상을 수시로 사정하여 이를 중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간경변증 환자들은 어떤 부정적인 상황을 경험하는가? 최근 질병 중심의 사고가 신체적 정신적 기능과 안녕 상태를 유지하는 삶 의 질에 근거한 건강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건강관련 삶의 질이 강조되고 있다(Seo, 2010). 간경변증 환자들은 전반적인 건강 변화로 신체적이고 정서적 불편감, 일이나 여가활동 참여의 제한, 미래에 대한 염려와 심리 사회적 부적응으로 삶의 모든 영역에서 부정적인 결과를 경험하므로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Lee, 2008). 나아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평가는 올바른 치료와 경과 및 예후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Seo,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mann, S. T., Yadav, D., Barmada, M. M., O'Connell, M., Kennard, E. D., Anderson, M., et al. (2013). Physical and mental quality of life in chronic pancreatitis: A case-control study from the north american pancreatitis study 2 cohort. Pancreas, 42(2), 293-300. 

  2. Cella, D. (1997). Manual of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hronic illness therapy (FACIT) measurement system. Center on Outcomes, Research and Education (CORE), Evanston Northwestern Healthcare and Northwestern University, Evanston IL, Version 4. 13-19. 

  3. Cha, E. J. (2012). Predictive model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korean goose daddi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4(4), 428-437. 

  4. Choi, B. H. (2002). A research of women's functional status, symptomatology and depression after mastectomy. Korean Academic Society of Womens Health, 3(1), 193-206. 

  5. Choi, W. K. (2004). A study on the socio-structural cause of youth suicide. Social Welfare Policy, p8. 

  6. Cohen, S., & Hoverman, H.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 99-125. 

  7. Hahn, D. W., & Pyo, S. Y. (2002). Predictions of subjective well-being, health perception and physical illness from emotional experiences in everyday lif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7(3), 403-427. 

  8. Han, Y. S., & Kim, B. H. (2001). Review: Who screening for the early detect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38(5), 313-318. 

  9. Jackson, D. L. (2003). Revising sample size and number of parameter estimates: Some support for the N:q hypothe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0, 128-141. 

  10. Kim, K. S., Yi, M., Choi, E. O., Paik, S. W., Kwak, S., & Kwon, S. H. (2007). Quality of life and 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s of Nursing, 14(3), 331-339. 

  11. Kim, S. H. (2005). Factors influencing Symptom experience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7(2), 248-258. 

  12.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0). (2013).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International Statistics Yearbook, Seoul, Korea. http://www.kostat.go.kr [accessed 1 Feb 2014]. 

  13. Kumari, A. K., Krishnamoorthy, K., Harichandrakumar, K., & Das, L. (2007).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 appropriate indicator to assess the impact of morbidity management and disability prevention activities towards elimination of lymphatic filariasis. Filariasis Journal, 6, 8. 

  14. Lee, H. K., & Chang, C. G. (2012). The relation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ntal health, and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 Public Health Association, 38(1), 69-79. 

  15. Lee, H. S. (2008). A study of psychosocial needs of cirrhosi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ji University, Gangwon-do. 

  16. Mabrouk, M., Esmat, G., Yosry, A., El-Serafy, M., Doss, W., Zayed, N., et al. (2012).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gyptian patients after liver transplantation. Annals of Hepatology, 11(6), 882-890. 

  17. Min, K. J., Oh, S. M., & Park, D. B. (1999).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for koreans: A comparison of normal, depressed and anxious group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8(2), 289-296. 

  18. Modabbernia, A., Ashrafi, M., Malekzadeh, R., & Poustchi, H. (2013). A review of psychosocial issues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Archives of Iranian Medicine, 16(2), 114-122. 

  19. Oh, J. H., & Yi, M. S. (2014).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with osteoarthri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4(1), 75-85. 

  20. Seo, J. I. (2010). Quality of life in chronic hepatitis C.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 Single Topic Symposium, 22-35. 

  21. Song, E. K., Kim, C. J., Yoo, I. Y., Kim, G. Y., Kim, J. H., & Ha, J. W. (2006). Factors influencing functional status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5), 853-862. 

  22. Suh, M. J. (1990).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state of adaptation of the hemiplegic patients.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20(1), 88-117. 

  23. Svirtlih, N., Pavic, S., Terzic, D., Delic, D., Simonovic, J., Gvozdenovic, E., & Boricic, I. (2008). Reduc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viral liver disease as assessed by SF12 questionnaire. Journal of Gastrointestinal and Liver Diseases, 17(4), 405-409. 

  24. Yoo, J. S., Kim, C. J., & Park, J. W. (1985).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health perception, health behavior and health status of adolescents. YonSei Graduate Student Association, 169-187. 

  25. Yu, J. P. (2012). Concepts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Seoul: Hannarae. 

  26. Ware, J. E. (1979). Health perceptions questionaire. instruments for measuring nursing practice and other care variable. Hyattsville, Maryland.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158-161. 

  27. Ware, J, E., Gandek, B., & the IQOLA Project Group. (1994). The SF-36 $^{(R)}$ Health Survey: Development and use in mental health research and the IQOLA Project.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23(2), 49-73. 

  28. Wilson, I. B., & Cleary, P. D. (1995). Linking clinical variables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 conceptual model of patient outcomes.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73(1), 59-65. 

  29. Wong, G. L., Law, F. M., Wong, V. W., Hui, A. Y., Chan, F. K., Sung, J. J., & Fielding, R. (2008).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hinese patients with primary biliary cirrhosis. Journal of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23(4), 592-598. 

  30. Zigmond, A. S., & Snaith, R. P. (1983).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67(6), 361-37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