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Purpose: This is a study on the structural model that aims to build a path model of multivariates affecting the quality of health-related living for liver cirrhosis patients and specify causal relations affecting the quality of health-related living for liver cirrhosis patients. Methods: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244 patients diagnosed with liver cirrhosi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013 to January 2014.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19.0 and AMOS 21.0 statistical programs. Results: All the fit indexes of the path model properly met the assessment criteria. Anxiety, depression, functional status, and perceived health directly affected the quality of health-related living for liver cirrhosis patients and anxiety, depression, and functional status directly affected perceived health. Social support, anxiety, and depression directly affected the functional statu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segment the severity of liver cirrhosis in testing its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 quality of health-related living for patients with the condition.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간 질환 관련 삶의 질 | 간 질환 관련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간경변증이 동반된 경우 삶의 질이 저하되며(Svirtlih et al., 2008), 우울과 불안은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Mabrouk et al., 2012), 사회적 지지(Modabbernia, Ashrafi, Malekzadeh, & Poustchi 2013), 기능적 상태(Amann et al., 2013)는 삶의 질의 주요 영향요인
최근 간 질환 관련 삶의 질에 관한 국외연구를 살펴보면, 만성 간질환의 질병원인에 따른 삶의 질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어떠한 원인 에서든 간경변증이 동반된 경우 삶의 질이 저하되며(Svirtlih et al., 2008), 우울과 불안은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Mabrouk et al., 2012), 사회적 지지(Modabbernia, Ashrafi, Malekzadeh, & Poustchi 2013), 기능적 상태(Amann et al., 2013)는 삶의 질의 주요 영향요인이 었다. 국내 연구에서도 지각된 질병장애정도, 기능상태, 직업유무, 우울(Kim, 2005)이 삶의 질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Kim 등(2007) 의 연구에서 간염 환자의 삶의 질은 간 질환 영향, 절망, 건강 불편감, 성기능이 가장 심각하게 저하되어 있었다. |
간경변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 간경변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심리적인 불안증상을 중재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우울이나 불안과 같은 부정적 심리적 증상은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것이 자살 생각으로 이어지는 것으로(Lee & Chang, 2012), 이는 불안과 우울 증상에 대한 사정과 중재가 절실히 요구됨을 시사하였다. 특히 간경변증 환자의 치료는 완치보다는 합병증 발생과 더 이상 악화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약물섭취와 관리가 요구되므로 환자들은 사는 동안 내내 심리적 사회적 갈등을 가지고 살아가게 된다(Lee, 2008). Wong 등(2008)의 연구에서 간경변증 환자의 불안과 우울 증상이 심각하고 이는 건강관련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요인이었다
연구모형을 분석한 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 불안, 우울, 기능적 상태와 건강지각은 간경변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직접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울이나 불안과 같은 부정적 심리적 증상은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것이 자살 생각으로 이어지는 것으로(Lee & Chang, 2012), 이는 불안과 우울 증상에 대한 사정과 중재가 절실히 요구됨을 시사하였다. 특히 간경변증 환자의 치료는 완치보다는 합병증 발생과 더 이상 악화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약물섭취와 관리가 요구되므로 환자들은 사는 동안 내내 심리적 사회적 갈등을 가지고 살아가게 된다(Lee, 2008). Wong 등(2008)의 연구에서 간경변증 환자의 불안과 우울 증상이 심각하고 이는 건강관련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요인이었다. 따라서 간경변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서는 간경변증 환자의 개개인이 느끼는 심리적인 우울이나 불안증상을 수시로 사정하여 이를 중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
간경변증 환자 | 간경변증 환자들은 어떤 부정적인 상황을 경험하는가? |
전반적인 건강 변화로 신체적이고 정서적 불편감, 일이나 여가활동 참여의 제한, 미래에 대한 염려와 심리 사회적 부적응으로 삶의 모든 영역에서 부정적인 결과를 경험
최근 질병 중심의 사고가 신체적 정신적 기능과 안녕 상태를 유지하는 삶 의 질에 근거한 건강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건강관련 삶의 질이 강조되고 있다(Seo, 2010). 간경변증 환자들은 전반적인 건강 변화로 신체적이고 정서적 불편감, 일이나 여가활동 참여의 제한, 미래에 대한 염려와 심리 사회적 부적응으로 삶의 모든 영역에서 부정적인 결과를 경험하므로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Lee, 2008). 나아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평가는 올바른 치료와 경과 및 예후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Seo, 2010).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