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교사의 수업연수에 대한 요구도 조사
Needs Assessment of In-service Education on Teaching for School Health Teache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11, 2014년, pp.6509 - 6517  

최미정 (조선간호대학교 간호학과) ,  진상우 (광주문화초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보건교사들의 수업연수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와 J도에 근무하고 있는 504명의 보건교사였다. 보건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질문지가 2013년 11월 9일부터 23일까지 배부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카이자승 검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건교사 업무의 우선순위 1위는 건강 문제 관리였으며, 2위가 보건교육이었으며, 이 결과는 학교급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p<.01). 두 번째, 보건수업 시간에 주로 사용하는 수업방법은 강의, 토의 그리고 실습의 순서로 나타났다. 세 번째, 보건수업 시간에 주로 사용하는 수업자료는 PPT, 교과서, 인터넷동영상의 순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대부분의 보건교사는 창의성 교육의 중요성에 동의하나 실제 사용하고 있는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대부분의 보건교사들은 수업연수를 원하고 있으며 그 내용으로 창의성 교육 또는 새로운 수업을 위한 스토리텔링 등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needs assessment of in-service education on teaching for school health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4 school health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G-city and J-do. The data was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of school health teacher's teaching from Nov. 9 to 23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기존의 연구가 현대 사회와 교육과정이 요구하고 있는 보건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가 미흡하고 보건교사의 연수 요구에 대한 체계적인 요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기 때문에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보건교사들의 수업방법, 수업자료, 창의성 수업 여부를 조사하고 수업관련 연수의 내용, 방법, 평가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 이 연구는 보건교사의 수업연수에 대한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한 조사연구로서 보건교사 업무의 우선순위, 보건교사의 수업방법, 보건교사의 창의성 수업에 대한 인식, 보건교사의 연수 요구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경력, 학력, 학교급 별로 다양한 보건교사들에게 현재 사용하고 있는 수업방법, 수업자료, 창의성 수업 실시 여부 등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건교사의 수업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수업연수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도교육지원청에서 지원하는 연수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이유는 무엇인가? 보건교사들은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자체 연수기회를 갖거나 시·도교육지원청에서 지원하는 연수에 참여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수가 보건 수업능력 향상과 관련이 적거나 연수 내용 및 방법의 부적절함, 승진 및 승급 등의 유인체제 미약, 교사 의욕 부족, 강사 전문성 및 현장 이해도 부족을 이유로 연수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실정이다[7-10].
보건교사 자격 연수 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보건교사의 연수와 관련하여 김영숙[13]은 보건교사 자격연수 프로그램에 관한 인식 및 요구분석이라는 연구에서 보건교사 자격연수 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각 지방마다 보건교사 자격연수 교육과정이 다르고 교과목 수는 과목 수에 비해 시간 편성이 적어 보건교사 자격 연수 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일반교양 및 교직과정 영역을 개편하여 창의성 교육, 교육과정 설계 및 평가 등의 내용을 보강할 것을 주장하였다.
보건교사 자격연수 제도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보건교사의 연수와 관련하여 김영숙[13]은 보건교사 자격연수 프로그램에 관한 인식 및 요구분석이라는 연구에서 보건교사 자격연수 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각 지방마다 보건교사 자격연수 교육과정이 다르고 교과목 수는 과목 수에 비해 시간 편성이 적어 보건교사 자격 연수 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일반교양 및 교직과정 영역을 개편하여 창의성 교육, 교육과정 설계 및 평가 등의 내용을 보강할 것을 주장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Strauss, Hubert., & Maisonneuve, Christine de la.(2009). The wage premium on tertiary education: New estimates for 21 OECD countries. OECD Journal: Eco-nomic Studies, Vol 2009, 1-28. 

  2. K. S. Park & E. K. Bae(2012). A Delphi Study of Developing Competency Model For Korean Health Teach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ol.25(1);1-13. 

  3. C. R. Yi & N. W. Kwon(2008). Development of a Teacher Efficacy Scale for Health Education Teac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19(2);247-259. 

  4. J. H. Park etal.(2012). Research on Achievement Standards And Achievement Level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ed In 2009: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Health, (CRC 2012-18). KEDI, pp.1-51. 

  5. K. W. Lee & M. J. Choi(2013). A Study of Teachers' Learning And Teacher Creativity Education. Korean Society for Creativity Education, Vol.3(1);5-30. 

  6. J. M. Kim & Y. S. Park(2005).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Needs of The In-Service Education of School Nurs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ol.6;89-107. 

  7. Y. S. Kim etal(2012). Factors Related to Teachers' Self-Efficacy In Korean Health Teach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ol.25(1);59-67. 

  8. S. W. Kim(2011). Analysis of Actual Conditions for Health Care Teachers' Teaching Efficacy. Teacher Education Research, Vol.50(3);152-159. DOI: http://dx.doi.org/10.15812/ter.50.3.201112.152 

  9. E. H. Kim(2011). A Study on The Health Education Environment, Work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of Nursing Teachers At Middle And High School in Gyoung-gi province. Korea University, pp.1-30. 

  10. J. S. Park, S. H. Ka & J. Y. Uhm(2012).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New Teacher Evalu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Journal of Politics of Education, Vol.19(2);125-156. 

  11. H. J. Kim, S. N. Yoon & Y. I. Kim.(1996). Curriculum Development for In-Service Training of School Health Nurs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ol.9(1);31-41. 

  12. M. S. Yoo(1997). A Study of Teachers' Job Ability And Related Factors of School Health Nurses. Se-oul National University, pp.1-30. 

  13. Y. S. Kim(2002). A Study of Recognition And Need Assessment on The Training Program of School Health Teachers. Ajou University, pp.1-56. 

  14. J. M. Kim(2006).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Needs of The In-Service Education of School Nurs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p.1-92. 

  15. H. A. Seo, S. H. Cho & S. I. Park(2001).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Strategies for Fostering Students' Creativity in Schools. RR2001-6. KEDI. pp.37-170. 

  16. H. S. Ahn(2010). The Requirements analysis of H-ealth Education in The Primary Schoo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p.28-80. 

  17. M. K. Kwon, K. S. Bang & J. Y. Yu(2012). Role Expectation of School Health Teachers Recognized by Elementary Students And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e Education, Vol.18(3);454-464.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3.456 

  18. J. S. Moon, K. A. Song & J. E. Lee(2005). Status of Health Education by Elementary School Nurs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22(4);57-72. 

  19. J. N. Kim & E. Y. Lee(2013). Development of Job Stress Scale for School Health Teach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Maternal Child Health, Vol.17(1);79-92. 

  20. S. K. Cha & D. T. Kwon(2012). A Study on Difference in Work-Related Stress And Burnou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Studies, Vol.19(1);111-130. 

  21. B. R. Kim & Y. S. Park(2012).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s' Stress Management In Relation to Work Environment with Job Engagement And Burnout Respectively.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Vol.20(3);199-208. 

  22. M. J. Choi(2010). Teacher Education Model Development for Creativity Educ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 Instruction, Vol.10(3);501-526. 

  23. S. D. Lee(2005). Needs of Public kindergarden te-achers on in-service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