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교사-유아 친밀 관계 및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Teacher-Child Closeness Relationships and Effortful Control on Young Children's Leadership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1 no.6, 2015년, pp.19 - 36  

이경님 (동아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교사-유아 친밀 관계 및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리더십에 미치는 직 간접적인 영향을 경로분석을 통하여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만 4, 5세 유아 266명과 그들의 어머니와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양육행동, 교사-유아 친밀 관계, 의도적 통제, 리더십이 측정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경로분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리더십에 의도적 통제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리더십에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유아의 의도적 통제를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리더십에 교사-유아 친밀 관계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의도적 통제를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장 큰 인과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써 유아의 리더십에 의도적 통제와 교사-유아 친밀관계는 직접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사-유아 친밀관계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의도적 통제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어 교사-유아 친밀관계와 어머니의 온정적인 양육행동은 유아의 의도적 통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리더십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교사-유아 친밀 관계는 유아의 리더십 증진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effortful control, maternal parenting and teacher-child closeness relationship on young children's leadershi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6, 4-5 year 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Young children's effortful control, maternal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의도적 통제가 사회적 행동에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어(배윤진, 임지영, 2011; Valiente, Lemery-Chalfant, Reister, 2007), 사회관계에서 발휘되는 리더십에도 영향을 미치리라 추정하였다. 또한 의도적 통제와 유사한 자기조절이 리더십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다는 많은 연구들에 근거하여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리더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리라 예측되어 이를 분석한 결과 그 영향이 확인 되었다. 구체적으로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리더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하면 4-5세 유아의 자기조절력이 높을수록 리더십이 높은 것으로 밝혀진 연구(송민서, 2013; 허소영, 김수영, 2013), 자기조절능력이 높은 아동이 높은 리더십을 보인다고 보고한 연구(임은경, 2009)와 맥락을 같이 하였다.
  • 본 연구는 만 4세와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교사-유아 친밀 관계 및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리더십에 어떠한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경로분석을 통하여 살펴보고 유아의 리더십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및 교육의 기초자료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유아의 리더십에 유아의 의도적 통제, 어머니의 양육행동, 교사-유아 친밀 관계가 어떠한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경로분석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즉 유아의 리더십에 유아의 의도적 통제, 어머니의 양육행동, 교사-유아 친밀 관계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유아의 리더십에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교사-유아 관계는 유아의 의도적 통제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리라 가정된다.
  • 즉 유아의 의도적 통제는 직접적으로 리더십을 높이는 직접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의도적 통제가 사회적 행동에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어(배윤진, 임지영, 2011; Valiente, Lemery-Chalfant, Reister, 2007), 사회관계에서 발휘되는 리더십에도 영향을 미치리라 추정하였다. 또한 의도적 통제와 유사한 자기조절이 리더십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다는 많은 연구들에 근거하여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리더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리라 예측되어 이를 분석한 결과 그 영향이 확인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현대사회에서 리더십이 필수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과거에는 리더십이란 신체적, 정신적, 성격적으로 특수한 특성과 능력으로 조직을 이끌어 나가는 소수의 개인의 능력으로 보았지만(Northouse, 1997), 최근 조직 안에서의 상호작용과 영향 및 촉진, 인간관계에 초점을 두고 타인과 상호의존의 공존능력을 중요시하는 리더십의 개념이 강조되면서 점차 개개인의 필수적 능력으로 인식되고 있다(박연경, 2009; 박화윤, 마지순, 안라리,2011; 이경화, 김윤경, 박춘성, 2009). 즉 리더십은 자신을 관리하고 효과적으로 리드할 뿐만 아니라 조직과 인간관계를 효율적으로 이끌어나가 촉진적인 상호작용을 도와 목표를 달성할 수있도록 하는데 큰 역할을 하기 때문에(서기남, 문혁준, 2009) 자신의 발전을 비롯한 긍정적인 사회관계를 위한 필수적인 역량이라 볼 수 있다.
과거에 리더십이란? 최근 현대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성공적으로 대처하고 미래사회에 보다 더 잘 적응하기 위한 인재의 역량 중의 하나로 리더십이 부각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과거에는 리더십이란 신체적, 정신적, 성격적으로 특수한 특성과 능력으로 조직을 이끌어 나가는 소수의 개인의 능력으로 보았지만(Northouse, 1997), 최근 조직 안에서의 상호작용과 영향 및 촉진, 인간관계에 초점을 두고 타인과 상호의존의 공존능력을 중요시하는 리더십의 개념이 강조되면서 점차 개개인의 필수적 능력으로 인식되고 있다(박연경, 2009; 박화윤, 마지순, 안라리,2011; 이경화, 김윤경, 박춘성, 2009). 즉 리더십은 자신을 관리하고 효과적으로 리드할 뿐만 아니라 조직과 인간관계를 효율적으로 이끌어나가 촉진적인 상호작용을 도와 목표를 달성할 수있도록 하는데 큰 역할을 하기 때문에(서기남, 문혁준, 2009) 자신의 발전을 비롯한 긍정적인 사회관계를 위한 필수적인 역량이라 볼 수 있다.
최근 리더십은 어떻게 변화되었나? 최근 현대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성공적으로 대처하고 미래사회에 보다 더 잘 적응하기 위한 인재의 역량 중의 하나로 리더십이 부각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과거에는 리더십이란 신체적, 정신적, 성격적으로 특수한 특성과 능력으로 조직을 이끌어 나가는 소수의 개인의 능력으로 보았지만(Northouse, 1997), 최근 조직 안에서의 상호작용과 영향 및 촉진, 인간관계에 초점을 두고 타인과 상호의존의 공존능력을 중요시하는 리더십의 개념이 강조되면서 점차 개개인의 필수적 능력으로 인식되고 있다(박연경, 2009; 박화윤, 마지순, 안라리,2011; 이경화, 김윤경, 박춘성, 2009). 즉 리더십은 자신을 관리하고 효과적으로 리드할 뿐만 아니라 조직과 인간관계를 효율적으로 이끌어나가 촉진적인 상호작용을 도와 목표를 달성할 수있도록 하는데 큰 역할을 하기 때문에(서기남, 문혁준, 2009) 자신의 발전을 비롯한 긍정적인 사회관계를 위한 필수적인 역량이라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권유선, 최혜진 (2010).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질이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교사교육연구, 49(2), 151-170. 

  2. 김경숙, 양미경 (2010). 어머니의 훈육방식 및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3), 23-44. 

  3. 김계수 (2007). Amos 16.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 

  4. 김민선 (2004). 긍정적 유아 리더의 특성에 대한 문화 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송희 (2014). 의도적 통제와 어머니 양육행동 및 교사-유아관계가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나미순 (2006).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리더십간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문. 

  7. 노영희 (2004). 초등학교 아동을 위한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 개발 기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문영경 (2009).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의도적 통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9. 박미숙 (2008). 유아의 셀프 리더십과 부모의 양육태도와의 관계.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박연경 (2009). 유아 리더십 유형화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1. 박연경, 황혜정 (2009). 어머니의 리더십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3(2), 277-298. 

  12. 박영태, 이경님 (2011).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자기통제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235-256. 

  13. 박주희 (2007). 구성놀이 질과 유아의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 및 관련변인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4. 박화윤, 마지순, 안라리 (2011). 교사가 지각한 교사-유아관계, 유아 자아개념 및 리더십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1(6), 75-94. 

  15. 배윤진 (2011). 부모의 의도적 통제와 애정적 양육행동 및 유아의 의도적 통제, 친사회적 행동, 인지적 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6. 배윤진, 임지영 (2011). 의도적 통제(Effortful Control) 관련 논문의 연구 동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0(1), 57-70. 

  17. 배윤진, 임지영 (2012). 부모의 의도적 통제 및 양육행동과 영아의 의도적 통제 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50(2), 53-64. 

  18. 서기남, 문혁준 (2009). 유아의 리더십과 관련된 변인 연구 : 유아의 개인 변인과 환경 변인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7(5), 107-121. 

  19. 송민서 (2013). 자기조절능력, 교사-유아관계 및 가정환경이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윤수정, 신유림 (2009).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의 사회적 행동 특성 및 유아교육기관 적응의 관련성: 유아 및 교사 지각의 비교, 유아교육연구, 29(5), 5-20. 

  21. 이경민 (2002). 유아의 지능, 감성지능, 창의성의 관계 및 관련변인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2. 이경화, 김윤경, 박춘성 (2009). 교사용 유아 리더십 검사 개발을 위한 1차 타당화 연구, 창의력 교육연구, 9(2), 5-34. 

  23. 이선애, 현은자 (2010).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31(3), 17-32. 

  24. 이연실 (2010).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리더십과의 관계.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4(1), 139-163. 

  25. 이연실 (2011). 유아의 놀이성과 리더십과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27(2), 101-134. 

  26. 이은미 (2005). 유아 리더십과 부모 양육태도 관계 분석.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이진숙 (2001). 유아의 애착 표상과 교사-유아 관계 및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8. 임은경 (2009).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친사회적 능력 및 리더십과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한선희 (2014). 유아의 정서지능, 어머니의 양육행동, 교사-유아관계가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허소영, 김수영 (2013). 유아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가정환경 변인 분석, 아동교육, 22(3), 231-244. 

  31. 허태근 (2015). 유아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1), 145-165. 

  32. 홍세희 (2000). 특별기고 :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33. 황윤세 (2006). 유아의 놀이성과 또래유능성 및 교사-유아 관계성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1(2), 211-228. 

  34. Blair, C., & Razza, R. P. (2007). Relating effortful control, executive function, and false belief understanding to emerging math and literacy ability in kindergarten. Child Development, 78(2), 647-663. 

  35. Berk, L. E. (2014). Child development(9th). 아동발달(이종숙, 신은수, 안선희, 이경옥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원판 2013). 

  36. Boulais, N. A. (2002). Leadership in children's literature: Qualitative analysis from a study based on the Kouzus and Posner leadership framework. The Journal of Leadership Studies, 8(4), 54-63. 

  37. Campbell, D. (1991). The challenge of assessing leadership characteristics. Issue & Observations, 11(2), 1-8. Greensboro, NC: Center for Creative Leadership. 

  38. Chang, H., Olson, S. L., Sameroff, A. J., & Sexton, H. R. (2011). Child effortful control as a mediator of parenting practices on externalizing behavior: evidence for a sex-differentiated pathway across the transition from preschool to school.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9(1), 71-81. 

  39. Eisenberg, N., Hoffer, C., & Vaughan, J. (2007). Effortful control and its socioemotional consequences. In J. J. Gross (Ed.), Handbook of emotion regulation (pp.289-306). New york, NY: Guilford Press. 

  40. Eisenberg, N., Zhou, Q., Losoya, S. H., Fabes, R. A., Shepard, S. A., & Murphey, B. C., et al. (2003). The relations of parenting, effortful control, and ego control to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ity. Child Development, 74(3), 875-895. 

  41. Fukada, S., Fukada, G., & Hicks, J. (1997).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sociometric status among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58(4), 481-486. 

  42. Hamre, B., Hatfield, B., Pianta, R., & Jamil, F. (2013). Evidence for general and domain-specific elements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associations with preschool children's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85(3), 1257-1274. 

  43. Howes, C., & Hamilton, C. E. (1993). The changing experience of child care: Change in teachers and in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ith peers. Early Child Research Quarterly, 8(1), 15-32. 

  44. Kochanska, G., & Knaack, A. (2003). Effortful control as a personality characteristic of young children: Antecedents, correlates, and consequences. Journal of Personality, 71(6), 1087-1112. 

  45. Northouse, P. G. (1997). Leadership theory and practice. Thousands Oaks, CA: Sage. 

  46. Pianta, R. C. (1991). The student teacher relationship scale. unpublished paper. University of Virginia Charloteville, VA. 

  47. Rothbart, M. K. (2003). Temperament and the pursuit of an integrated developmental psychology. Merill-Parlmer Quarterly, 50(4), 492-505. 

  48. Rothbart, M. K., Ahadi, S. A., & Hershey, K. L. (1994). Temperament and social behavior in childhood. Merrill-Palmer Quarterly, 40(1), 21-39. 

  49. Rothbart, M. K., & Bates, J. E. (2006). Temperament. In W. Damon, R. M. Lerner, & N, Eisenberg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3: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6th ed., pp. 99-166). New York, NY: Wiley. 

  50. Soffler, A. A. (2011). What is the nature of children's leadership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settings? a grounded theo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olorado State University. USA. 

  51. Thomas, A., & Chess, S. (1977). Temperament and development. New York, NY: Bruner/Mazel. 

  52. Valiente, C., Lemery-Chalfant, K., & Reister, M. (2007). Pathways to problem behaviors: Chaotic homes, parent and child effortful control, and parenting. Social Development, 16(2), 249-267. 

  53. Vaughn, B. E., Kopp, C. B., & Krakow, J. B. (1984). The emergence and consolidation of self-control from eighteen to thirty months of age: Normative trends and individual difference. Child Development, 55(3), 990-1004. 

  54. Zhou, Q., Main, A,. & Wang, Y. (2010). The relations of temperament reactivity and effortful control and anger/frustration to Chinese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adjustment: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2(1), 180-1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