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격 특성과 이용 동기가 모바일 메신저 그래픽 이모티콘 활용에 미치는 영향: 카카오톡 사례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ersonality Traits and Motivations on Utilization of Graphical Emoticon in Mobile Messenger: Focusing on KakaoTalk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12, 2015년, pp.129 - 140  

이성준 (청주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메신저 환경에서 어떠한 요인들이 그래픽 이모티콘의 활용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바탕으로, 인구통계학적 요인을 포함한 그래픽 이모티콘 활용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성격 5 요인 모델 및 이용과 충족 관련 선행 연구들을 중심으로 추출하여, 이들 요인들이 그래픽 이모티콘 활용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자료는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남성보다는 여성이, 연령이 낮을수록 그래픽 이모티콘 활용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개인 성격 측면에서는 외향성이 그래픽 이모티콘 활용 정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동기, 유행, 대화의 간결성 동기는 모두 이모티콘의 활용 정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지니는 실무적 이론적 함의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mainly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utilization of graphical emoticons in the environment of mobile messenger.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identified several determinants including demographic variables that have influences on utilization of graphical emoticons b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모바일 메신저의 환경 내에서 일종의 비언어적 단서의 대안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이모티콘 활용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함으로써 이모티콘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통해 나타난 결과와 결과가 나타내는 함의들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앞서 논의된 다양한 이론들을 바탕으로 이용자의 인구 통계학적 요인, 성격 특성 및 이용 동기가 모바일 메신저에서의 이모티콘 활용 정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구 통계학적 요인들 외 성격 5 요인 모델(Big Five Model)[10]과 이용과 충족 이론(Uses & Gratification Theory)[11] 등의 선행 연구들을 중심으로 이용자의 어떤 성격 유형과 동기들이 이모티콘 활용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특히 문자 기반보다는 그래픽 혹은 이미지 기반의 이모티콘을 중심으로 활용 영향 요인을 살펴본다.
  • 특히,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동기의 경우 활용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동기임이 판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상황 속에서는 다양한 사회 단서 전달이 어려우며, 이러한 가운데 다양한 사회적 단서를 대신 전달하는 것이 이모티콘의 주요 역할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실증적으로 증명하는 바라 하겠다. 더불어, 일반 컴퓨터에 비해 작은 화면 등 제약이 많은 모바일 UI(User Interface) 환경에서 메시지 전달의 편의성 혹은 효율성 역시 이모티콘 활용의 중요 동기임을 본 연구의 결과는 나타내고 있다.
  • 이러한 결과에 대해 연구자들은 인터넷 이용의 경우 전반적으로 면대면 상황에 비해 타인과 조화로운 관계를 이끌어 나가기 위한 기술들이 요구되는 상황이 적게 전개되므로 친화성 성격이 부족한 사람들은 이러한 환경을 좀 더 편안하게 느끼기 때문에 이용량이 더 많은 것으로 설명하였다. 비록 다수의 연구들이 친화성의 경우 미디어나 서비스 이용과 직접적인 관계가 부족함을 주장함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이모티콘의 기능적 특성을 고려하면서 친화성과 활용 정도간의 연관성이 있는지를 탐색적으로 알아본다. 친화성이 높은 개인의 경우 관계의 조화성을 유지하기 위해 예외 바르고 공감을 표시하는 성향이 강한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성격 특징과 이모티콘의 기능적인 요소와 부합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본 연구에세는 친화성이 높을수록 이모티콘 활용도가 높을 것임을 가정해본다.
  • 연구문제2: 모바일 메신저에서 이용자의 개인 성격 특성들은 어떻게 이모티콘 활용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 연구문제3: 모바일 메신저에서 이용자의 이용 동기는어떻게 이모티콘 활용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 하지만 이들의 연구는 연구 표본이 대학생이라는 점에서 대표성이 떨어진다는 점에서 한계점을 지닌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이모티콘의 동기 요인들을 다시 한 번 확인해보고, 이러한 요소들이 다른 성격 특성들과 함께 어떻게 이모티콘 활용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다시 살펴보고자 한다.
  • 이렇듯 이모티콘 활용 관련 영향 요인과 관련하여 일부 선행 연구들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메신저 이용자의 성격 특성과 이용 동기 등이 이모티콘 활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연구들은 드물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인구 통계학적 요인들을 동시에 고려하며 이들 요인들이 어떻게 이모티콘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 또 다른 연구[29]에서는 성실성 정도가 높은 개인의 경우 오히려 성실성이 낮은 개인에 비해 인터넷 활용에 있어서 정보 검색 등의 실용적(Utilitarian) 목적을 위한 이용에 있어선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모티콘과 관련되어서 성실성과 이모티콘 활용 정도와의 직접적인 연관 관계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존재하지 않지만, 앞서 논의된 연구[28]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성실성 성향과 이모티콘 활용 간에는 부적 관계가 있음을 추론해 본다. 이는 성실성 성향이 높은 개인에게 이모티콘은 어떤 목적 지향적이고 과업에 도움이 되는 실용적인 목적보단 단순 시간과 재미를 위한 소일거리 정도 기능이 주요 기능으로 간주되기 쉬우며, 결과적으로 이는 다른 실용적인 목적을 이루는 과정에서 오히려 방해가 되는 것으로 여겨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구 통계학적 요인들 외 성격 5 요인 모델(Big Five Model)[10]과 이용과 충족 이론(Uses & Gratification Theory)[11] 등의 선행 연구들을 중심으로 이용자의 어떤 성격 유형과 동기들이 이모티콘 활용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비록 다수의 연구들이 친화성의 경우 미디어나 서비스 이용과 직접적인 관계가 부족함을 주장함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이모티콘의 기능적 특성을 고려하면서 친화성과 활용 정도간의 연관성이 있는지를 탐색적으로 알아본다. 친화성이 높은 개인의 경우 관계의 조화성을 유지하기 위해 예외 바르고 공감을 표시하는 성향이 강한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성격 특징과 이모티콘의 기능적인 요소와 부합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본 연구에세는 친화성이 높을수록 이모티콘 활용도가 높을 것임을 가정해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모티콘이 학자들의 주목을 받는 이유 중 하나는 무엇인가? 메신저 등장 이후 초기의 연구자들은 메신저가 다양한 사회맥락적 단서(Social Cues)의 전달이 어렵다는 이유로 대인 관계 형성을 위해 활용되기에는 부적합한 미디어로 이해하였다. 이모티콘이 학자들의 주목을 받는 이유 중 하나는 이모티콘이 메신저의 이런 여러 단점 등을 보완해 주고 오히려 메신저가 새로운 대인 관계 채널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기 때문이다[1][5]. 이러한 가운데 많은 학자들은 메신저의 주요 기능으로서 이모티콘의 사용이 메신저 내에서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 지[6][7] 혹은 이모티콘을 통해 나타나는 표현 양식의 유형은 어떠한지[8]를 지속적으로 연구해왔다.
이모티콘이란 무엇인가? 모바일 메신저의 확산과 함께 메신저의 대표적인 기능이자 하나의 문화 코드로 자리 잡아 가고 있는 이모티콘(Emoticon)에 대한 학술적 관심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모티콘이란 원래 이모션(Emotion)과 아이콘(Icon)의 합성어로 가상의 공간에서 그림의 형태로 자신의 다양한 정서 및 감정의 표현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화된 상징 장치로 정의된다. 이모티콘은 초기 웃는 모습을 표현하는 상황 속에서 많이 이용된다고 하여스마일리(Smiley)라고 일컫어 지기도 했으며, 주로 문자, 숫자 및 특수 기호 등을 조합하여 묘사되었다.
성격 특성에 따른 인터넷 활용도에 대한 랜더스와 로운스버리의 연구 내용은? 이들은 이러한 결과의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외향적인 사람들의 경우 새로운 사람들 간의 만남을 좋아하고 커뮤니케이션 상황을 주도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오프라인에서의 다양한 면대면 사회 활동에 참여하여, 이에 상대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온라인 활동을 위한 시간이 적을 수밖에 없고 결과적으로 온라인 미디어의 활용 정도가 낮다. 반면, 내향적인(Introvert) 사람들의 경우 소극적이고 오프라인에서의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을 회피하는 대신에 상대적으로 매개 커뮤니케이션과 같은 비공개적이고 비인격적인 매체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서 결과적으로 온라인 미디어 서비스 활용도가 높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황하성, 박성복, "문자메시지의 이모티콘 활용에 관한 연구: 이용 동기와 사회적 현존감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제9권, pp.133-162, 2008. 

  2. 최준호, 이진성, 최성현, "모바일 메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 품질 영향 요인: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디자인디지털연구, 제12권, 제3호, pp.211-220, 2012. 

  3. 진보래, 이연경, 박남기, "모바일 메신저 이용의 스트레스 요인: 사회적 성향, 메신저의 관계적 유용성 및 중요성과의 관계," 한국방송학보, 제28권, 제6호, pp.168-210, 2014. 

  4. 장예빛,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 행태 및 이용 강도가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20-30대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11호, pp.541-548, 2014. 

  5. 박현구, "온라인 환경의 이모티콘과 비언어 행위의 관계: 관계통제 기제로서의 이모티콘," 언론과학연구, 제5권, 제3호, pp.273-302, 2005. 

  6. 안원미, 김중완, 한광희, "메시지 해석에 이모티콘이 미치는 정서적 효과: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HCI학회 논문지, pp.11-18, 2010. 

  7. 양경모, 정문열, 홍성수, "방송 공동 시청을 위한 시청자 감성기반 이모티콘 메신저의 효과,"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7권, 제1호, pp.303-312, 2007. 

  8. 김승연, "이모티콘의 표현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어의미학, 제38권, pp.1-25, 2012. 

  9. A. Wolf, "Emotional Expression Online: Gender Differences in Emoticon Use,"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3, No.5, pp.827-833, 2000. 

  10. R. McCae and P. Costa, "Validation of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cross Instruments and Observ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2, pp.81-90, 1987. 

  11. E. Katz, J. Blumler, and M. Gurenvitch, "Uses and Gratifications Research," Public Opinion Quarterly, Vol.37, No.4, pp.509-523, 1973. 

  12. 김선진, "모바일 메신저의 이모티콘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국내, 해외 대표 앱(카카오톡, 라인, 페이스북, 왓츠앱)을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4권, 제1호, pp.87-96, 2014. 

  13. J. B. Walther and K. P. D'Addario, "The Impact of Emoticons on Message Interpretation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Vol.19, pp.324-347, 2001. 

  14. 박현구, "CMC 유사언어와 대화간접성에 관한 연구: 대화간섭성척도(CIS), 냉소성자기보고척도(SSS)에 따른 반어적 모욕 메시지에서 유사언어 사용 분석," 언론학연구, 제18권, 제4호, pp.101-128, 2014. 

  15. L. Rebazabek and J. Cochenour, "Visual Cues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Supplementing Text with Emotions," Journal of Visual Literacy, Vol.18, pp.201-215, 1998. 

  16. C. C. Tossell, P. Kortum, C. Shepard, L. H. Barg-Walkow, and A. Rahmati, "A Longitudinal Study of Emoticon Use in Text Messaging from Smartphon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8, pp.659-663, 2012. 

  17. 오미영, 정인숙, 커뮤니케이션 핵심 이론, 2005. 

  18. L. Xu, C. Yi, and Y. Xu, "Emotional Expression Online: the Impact of Task, Relationship and Personality Perception on Emoticon Usage in Instant Messenger," PACIS Proceedings, 2007. 

  19. D. Derks, A. Bos, and J. Grumkow, "Emoticons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Social Motives and Social Context',"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11, No.1, pp.99-101. 

  20. T. Correa, A. Hinsley, and H. Zuniga, "Who Intersect on the Web? The Intersection of Users' Personality and Social Media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6, pp.247-253, 2009. 

  21. Y. Kim and J. Jeong, "Personality Predictors for the Use of Multiple Internet Functions," Internet Research, Vol.25, No.3, pp.399-415, 2015. 

  22. C. Ross, E. Orr, M. Sisic, J. Arseneault, M. Simmering, and R. Orr, "Personality and Motivations Associated with Facebook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5, pp.578-586, 2009. 

  23. R. Guadagno, B. Okdie, and C. Eno. "Who blogs? Personality Predictors of Blogging,"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4, No.5, pp.1993-2004, 2008. 

  24. 김석영, 전희원, "호텔종사원의 개인성격이 직무몰입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성격 5요인을 바탕으로," 관광연구, 제23권, 제2호, pp.239-257, 2008. 

  25. L. R. Goldberg, "An Alternative Description of Personality: The Big-Five Factor Struct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9, pp.1216-1229, 1981. 

  26. R. Landers and J. Lounsbury, "An Investigation of Big Five and Narrow Personality Traits in Relation to Internet Usag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2, No.2, pp.283-293, 2006. 

  27. 배진한, "이용자의 내향성-외향성에 따른 대인매체 이용의 차이: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인터넷, 이동전화 이용 사이의 관계를 중심으로," 제5권, 제3호, pp.303-336, 2005. 

  28. T. Ryan and S. Xenos, "Who Uses Facebook? An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 Five, Shyness, Narcissism, Loneliness, and Facebook Usag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7, No.5, pp.1658-1664, 2011. 

  29. D. Hughes, M. Rowe, M. Batey, and A. Lee, "A Tales of Two Sites: Twitter vs. Facebook and the Personality Predictors of Social Media Usag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8, No.2, pp.561-569, 2012. 

  30. 이성준, "개인 심리적 충족, 이용 충족과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 중독과의 관계에 관한 실증 연구: 페이스북 사용자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연구, 제21권, 제4호, pp.17-39, 2013. 

  31. J. Walther,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Impersonal, Interpersonal, and Hyperpersonal Interaction," Communication Research, Vol.23, pp.3-43, 1996. 

  32. 김유정, "소셜네트워크에 대한 이용과 충족 연구: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제20호, pp.71-105, 2011. 

  33. K. Kelin and S. Hodges, "Gender Difference, Motivation, and Empathic Accuracy: When It Pays to Understand,"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27, No.6, pp.720-730, 2001. 

  34. 이상호, "스마트폰 메신저 앱의 지속사용 요인과 집단간 소통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제16권, pp.7-43, 2011. 

  35. 이성준, "SNS 광고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관여도의 역할에 대한 고찰: 페이스북 뉴스 피드 광고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188-202, 2014. 

  36. 류철균, 김정연, "테크노-코드로서의 캐릭터 이모티콘 분류체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4호, pp.479-489, 2015. 

  37. 황유선, "유명인과의 트위터 매개 상호작용 특성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8호, pp.72-82,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