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합병원 신규간호사의 태움, 건강증진생활양식, 신체증상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orkplace Bullying, Health Promotion Lifestyle, and Physical Symptoms on Occupational Stress of New Nurses in General Hospital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8 no.1, 2019년, pp.12 - 20  

김경순 (용인송담대학교 간호학과) ,  차지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과) ,  김영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ai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bullying, health promotion lifestyles, and physical symptoms on the occupational stress of new nurses in general hospital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57 new nurses in fivegeneral hospitals with 100 to 399 beds in Gy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종합병원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태움, 건강증진 생활양식, 신체증상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신규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이 연구는 종합병원 신규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신규간호사의 태움, 건강증진생활양식 및 신체증상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며,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그러나 신규간호사가 경험하는 태움 등 직무환경과 이들의 신체증상이나 건강증진생활양식의 관련성을 직무 스트레스와 관련하여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규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태움, 건강증진생활양식, 신체 증상과의 관련성을 통해 파악하여 신규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움이란 무엇인가? 간호사의 높은 직무 스트레스는 태움의 선행요인이 되기도 하는데(Jeong, 2018), 최근 간호사의 병원 조직 내 태움이 사망으로까지 이어지는 사건 발생 등으로 의료계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 심각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태움은 직장 내 간호사 간의 괴롭힘의 일종으로 인간적 가치를 무시하거나 훼손하여 간호사를 통제하는 행동으로 나타난다(Jeong, 2018). 이는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정기적이고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고(Coursey, Rodriguez, Dieckmann, & Austin, 2013),국내에서는 11~23%의 간호사가 태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Kang & Lee, 2016).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무엇인가? 이 연구의 목적은 신규간호사의 태움, 건강증진생활양식 및 신체증상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며,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신규간호사의 태움 특성을 파악한다.·신규간호사의 건강증진생활양식, 신체증상, 직무 스트레·신규간호사의 인구사회직업 특성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의 차이를 파악한다.·신규간호사의 태움 인지정도, 건강증진생활양식, 신체증상 및 직무 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신규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간호사의 태움 현상의 원인으로는 어떤 것이 제시되고 있는가? 이는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정기적이고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고(Coursey, Rodriguez, Dieckmann, & Austin, 2013),국내에서는 11~23%의 간호사가 태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Kang & Lee, 2016). 이러한 간호사의 태움 현상은 교대 근무 및 인수인계를 해야 하는 업무 특성, 업무 숙련도가 다른 간호사가 함께 근무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 요소,그리고 간호 조직의 위계적 조직문화 등이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Hutchinson, Wilkes, Jackson, & Vickers, 2010). 또한 태움은 간호사의 자신감을 저하시키고 우울 및 불안 증상, 불면이나 각종 통증, 만성피로와 같은 신체적 증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k, S. E., Kim, Y. I., & Cha, J. E. (2018).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labor, health promotion lifestyle, and health promotion programs needs of flight attendant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7(1), 25-35. 

  2. Bendapudi, N., & Leone, R. P. (2002). Managing business-to-business customer relationships following key contact employee turnover in a vendor firm. Journal of Marketing, 66(2), 83-101. 

  3. Cheong, S. H. (2018). A ground theory on occurrence and persistence of Tae-um among nurses on the nursing nnit environ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4. Cleary, M., Hunt, G. E., & Horsfall, J. (2010). Identifying and addressing bullying in nursing.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31(5), 331-335. 

  5. Coursey, J. H., Rodriguez, R. E., Dieckmann, L. S., & Austin, P. N. (2013).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policies addressing lateral violence. AORN Journal, 97(1), 101-109. 

  6. Hutchinson, M., Wilkes, L., Jackson, D., & Vickers, M. H. (2010). Integrating individual, work group and organizational factors: Testing a multidimensional model of bullying in the nursing workplace.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8(2), 173-181. 

  7. Jeong, S. K. (2018). Concept analysis of Tae-um in nurse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8), 482-491. https://doi.org/10.5762/KAIS.2018.19.8.482 

  8. Ju, W. J., & Kim, M. Y. (2017) Nursing competency, self-esteem, and job stress between floating nurses and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3(2), 248-257. https://doi.org/10/22650/JKCNR/2017.23.2.248 

  9. Kang, J. Y., & Lee, M. J. (2016). Pooled prevalence of workplace bullying in nursing: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9(1), 51-65. 

  10. Kang, J. Y., & Yun, S. Y. (2016). A grounded theory approach on nurses' experience with workplace bully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6(2), 226-237. 

  11. Kim, J. H., & Park, S. A. (2003)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job stress responses of the staf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9(2), 217-232. 

  12. Kim, J. O., Kim, J. S., Park, A. Y., & Han, S. J. (2013).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fire offic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2(3), 218-227. 

  13. Kim, K. R., Lee, H. J., Cho, Y. S., & Kim, M. H. (2013). The Experience of turnover decision making in new graduate nurses. The Academy of Qualitative Research, 14(1), 23-33. 

  14. Kim, M. H., & Lee, J. S. (2016). The health care experience of the clinical nurse in a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 209-218. 

  15. Kim, N. Y., & Shim, M. S. (2009). A study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its affecting factors of general hospital worker. Journal of Korea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0(4), 728-735. 

  16. Kim, S. M. (2013). The ego-state, job stress and nursing performance in new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17. Kim, S. Y., Kim, J. K., & Park, K. O. (2012). The role experience of preceptor nurses in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8(1), 33-45. 

  18. King, K. A., Vidourek, R., & Schwiebert, M. (2009). Disordered eating and job stress among nurs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7(7), 861-869. 

  19. Ko, J., & Kang, K. A. (2015). Relations between perceiving a calling and job satisfaction in probation officers: Testing a mediated effect of work meaning and career commitment.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4(3), 194-203. 

  20. Laschinger, H. K. S., Grau, A. L., Finegan, J., & Wilk, P. (2010). New graduate nurses' experiences of bullying and burnout in hospital setting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12), 2732-2742. 

  21. Lee, H., Lim, Y., Jung, H. Y., & Shin, Y. W. (2012). Turnover intention of graduate nurses in South Korea. Japan Journal of Nursing Science, 9(1), 63-75. https://doi.org/10.1016/S0022-3999(97)00019-6 

  22. Lee, S. J., Lee, J. H., Gillen, M., & Krause, N. (2014). Job stres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A comparison between job demand-control and effort-reward imbalance models.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57(2), 214-221. 

  23. Lee, S. Y., Oh, E. J., & Sung, K. M. (2013). The experiences of turnover intention in early stage nurse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9(2), 168-176. 

  24. Lee, Y. J., & Lee, M. H. (2013). Effect of workplace bullying and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2(2), 77-87. 

  25. Mamchur, C., & Myrick, F. (2003). Preceptorship and interpersonal conflict: A multidisciplinary stud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3(2), 188-196. 

  26. Min, S. Y., & Park, J. S. (2017). The influence of job stress and egoresilience on nursing performance new nurse in secondary hospital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1), 297-305. 

  27. Oh, J. H., & Lim, N. Y. (2006).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secondary traumatic stress, burnout, and physical symptoms in firefighters. Jonur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3(1), 96 

  28. Park, K. H. (1995). Relations betwee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health conception, self efficacy, hardi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hwa Women's University, Seoul. 

  29. Sharma, P., Davey, A., Davey, S., Shukla, A., Shrivastava, K., & Bansal, R. (2014). Occupational stress among staff nurses: Controlling the risk to health. Indi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8(2), 52. https://doi.org/ 10.4103/0019-5278.146890 

  30. Suh, H. J., Kim, J. S., Kim, J. O., Kim, H. S., Cho, I. Y., & Kim, H. S. (2017). Effects of emotional labor, depression and self effica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axi driving work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8), 489-500. https://doi.org/10.14400/JDC.2017.15.8.4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