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의 Genome-wide 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에 의한 계통 분석
Genome-wid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based Assay for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the Flammulina velutipes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3 no.4, 2015년, pp.231 - 238  

우성이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김은선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한재구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장갑열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신평균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오연이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오민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조성환 (씨더스) ,  이정희 (씨더스) ,  김경수 (강원대 응용생물학과) ,  공원식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 25품종의 유전체 재분석 데이터를 표준유전체(KACC42781)와 비교하여 genomewid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를 선발하였다. 균주에 따른 mapping율의 차이는 균주간 변이를 반영하였으며, genome-wide SNP분포는 homozygous SNP, heterozygous SNP로 구분되었으며 모두 균주에 따른 변이가 크게 나타났다. 수집균주들 사이의 유연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계통수를 그려본 결과, Group I은 F. velutipes var. 계통인 ASI 4062, 4148, 4195이 묶여지고, Group II는 ASI 4188 F. elastica, ASI 4190 F. fennae, ASI 4194 F. rossica의 다른 종이 별도의 그룹을 형성하였다. 그 외 F. velutipes 19개 계통은 같은 그룹으로 나타났으며 그 유전적 자리를 잘 반영하였다. 한편 백색 group과 갈색 group을 유연관계로 분석하고자 시도하였으나 색깔에 따른 group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국 백색 품종인 ASI 4210, 4166, 4178과 일본 백색 품종인 ASI 4209, 4167을 분석한 결과 phylogenetic tree상에서 한국 백색 품종과 일본 백색 품종간의 유전적 상동성이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nome-wide reanalyzed data of 25 Flammulina strains were compared against the reference genome (KACC42780) to establish a genome-wid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The rate of mapping differences between the strains reflected in the strain variation in its result. Genome-wide SNPs distribu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번 연구에서는 본 연구진이 최초로 작성한 팽이버섯의 표준유전체 정보를 바탕으로[7], 팽이버섯 유전자원 중 대표적인 국내외 계통의 유전체 단일염기서열(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을 분석함으로써 유전적 상동성을 밝히고, 유전적으로 매우 유사한 종내 계통간의 형태적 또는 지리적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근래 발전되고 있는 유전체 분석기술을 바탕으로 자원의 기원과 품종을 구분하는 분자마커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팽이버섯이 winter mushroom이라고 알려진 까닭은 무엇인가?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은 국내에서 이용되는 대표적인 담자균류 주름버섯목(Agaricales) 뽕나무버섯과(Phy-salacriaceae)에 속하는 버섯으로 연중 재배 및 대량 생산이가능하여 시기에 관계없이 항상 식용 가능하다[1]. 팽이버섯은 winter mushroom이라고도 알려져 있는데 이는 팽이버섯의 자실체가 4~12oC의 저온에서 발생되며 자연상태에서는 11월에서 다음해 4월 사이의 겨울철에 발생하는 것에 기인한다[2]. 팽이버섯은 일본에서 에노키다케라고 불리우며 저온성 버섯으로 분포지역 중 특히 아시아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3].
팽이버섯은 어떤 버섯인가?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은 국내에서 이용되는 대표적인 담자균류 주름버섯목(Agaricales) 뽕나무버섯과(Phy-salacriaceae)에 속하는 버섯으로 연중 재배 및 대량 생산이가능하여 시기에 관계없이 항상 식용 가능하다[1]. 팽이버섯은 winter mushroom이라고도 알려져 있는데 이는 팽이버섯의 자실체가 4~12oC의 저온에서 발생되며 자연상태에서는 11월에서 다음해 4월 사이의 겨울철에 발생하는 것에 기인한다[2].
본 논문에서 팽이버섯의 품종의 색깔에 따른 유연관계는 어떠한 상관을 갖는가? velutipes 19개 계통은 같은 그룹으로 나타났으며 그 유전적 자리를 잘 반영하였다. 한편 백색 group과 갈색 group을 유연관계로 분석하고자 시도하였으나 색깔에 따른 group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국 백색 품종인 ASI 4210, 4166, 4178과 일본 백색 품종인 ASI 4209, 4167을 분석한 결과 phylogenetic tree상에서 한국 백색 품종과 일본 백색 품종간의 유전적 상동성이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Oh SI, Lee MS. Function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Flammulina velutipes. Kor J Food Nutr 2010;23:15-22. 

  2. Tonomura H. Flammulina velutipes. In: Chang ST, Hayes WA, editors. Biology and cultivation of edible mushrooms. New York: Academic Press; 1978. p. 409-21. 

  3. Chang ST, Miles PG. Edible mushrooms and their cultivation. Boca Ration: CRC Press; 1989. 

  4. Kitamoto Y, Nakamata M, Masuda P. Production of a novel white Flammulina velutipes by breeding. In: Chang ST, Buswell JA, Miles PG, editors. Genetics and breeding of edible mushrooms. Philadelphia: Gordon and Breach; 1993. p. 65-86. 

  5. Kong WS, Jang KY, Lee CY, Koo J, Shin PG, Jhune CS, Oh YL, Yoo YB, Suh JS. Breeding progress and characterization of a Korean white variety 'Baek-A' in Flammulina velutipes. J Mushroom Sci Prod 2013;11:159-63. 

  6. Mitchell JI, Roberts PJ, Moss ST. Sequence or structure: a short review on the application of nucleic acid sequence information to fungal taxonomy. Mycologist 1995;9:67-75. 

  7. Park YJ, Baek JH, Lee S, Kim C, Rhee H, Kim H, Seo JS, Park HR, Yoon DE, Nam JY, et al. Whole genome global gene expression analyses of the model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reveal a high capacity for lignocellulose degradation. PLoS One 2014;9:e93560. 

  8. Cox MP, Peterson DA, Biggs PJ. SolexaQA: at-a-glance quality assessment of Illumina second-generation sequencing data. BMC Bioinformatics 2010;11:485. 

  9. Tamura K, Stecher G, Peterson D, Filipski A, Kumar S. MEGA6: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6.0. Mol Biol Evol 2013;30:2725-9. 

  10. Ness RW, Siol M, Barrett SC. De novo sequence assembly and charcacterization of the floral transcriptome in croossand self-fertilizing plants. BMC Genomics 2011;12:298. 

  11. Garg R, Patel RK, Tyagi AK, Jain M. De novo assembly of chickpea transcriptomeusing short reads for gene discovery and marker identification. DNA Res 2011;18:53-63. 

  12. Li H, Durbin R. Fast and accurate short read alignment with Burrows-Wheeler transform. Bioninformatics 2009;25:1754-60. 

  13. Li H, Handsaker B, Wysoker A, Fennell T, Ruan J, Homer N, Marth G, Abecasis G, Durbin R. 1000 Genome Project Data Processing Subgroup. The Sequence Alignment/Map format and SAMtools. Bioinformatics 2009;25:2078-9. 

  14. Kim JE, Oh SK, Lee JH, Lee BM, Jo SH. Genome-wide SNP calling using next generation sequencing data in tomato. Mol Cells 2014;37:36-42. 

  15. Tamura K, Peterson D, Peterson N, Stecher G, Nei M, Kumar S. MEGA5: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using maximum likelihood, evolutionary distance, and maximum parsimony methods. Mol Biol Evol 2011;28:2731-9. 

  16. Tamura K, Dudley J, Nei M, Kumar S. MEGA4: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MEGA) software version 4.0. Mol Biol Evol 2007;24:1596-9. 

  17. Jimenez-Gomez JM, Maloof JN. Sequence diversity in three tomato species: SNPs, markers, and molecular evolution. BMC Plant Biol 2009;9:85. 

  18. Jung JK, Park SW, Liu Wy, Kang BC. Discovery of single mucleotide polymorphism in Capicum and SNP markers for cultivar identification. Euphytica 2010;175:91-107. 

  19. Park YJ, Kim JK, Kong WS, Song ES, Lee CS, Kim H, Hahn JH, Kang HW, Lee BM. Electrophoretic karyotyping and construction of a bacterial artificial chromosome library of the winter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Microbiol Res 2010;165:321-8. 

  20. Hughes KW, McGhee LL, Methven AS, Johnson JE, Petersen RH. Patterns of geographic speciation in the genus Flammulina based on sequences of the ribosomal ITS1-5.8S-ITS2 area. Mycologia 1999;91:978-8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