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찰의 재난위기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police disaster crisis management system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1 no.4 = no.30, 2015년, pp.556 - 569  

Chun, Yongtae (Department of Security Management, Kyonggi University) ,  Kim, Moonkwi (Department of Police Science, Korea National Police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민의 75%가 정부의 재난관리 정책을 비판하는 등 세월호 참사와 같은 대형 재난 관리실패는 정부 불신을 초래하고 있다. 세월호 참사와 같은 재난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재난안전에 있어 골든타임 확보가 중요하며, 주민의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경찰의 재난 위기관리 능력 개선이 필요하다. 재난 안전 역시 경찰 임무의 본질로서 다음과 같이 국가위기관리 단계별로 경찰의 재난안전 관리 시스템의 강화가 필요하다. 첫째, 예방단계에서는 과거 다중운집행사의 경우 수익성 행사의 경우 경찰력을 투입하지 않았으나, 앞으로는 기준을 수익성이 아닌 위험성 여부로 판단해야 한다. 그동안 교통 소통이 우선이었으나 안전 중심으로 교통 정책의 패러다임을 전화하고, 대형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수사 경찰은 비정상적 관행과 건축불법 하도급을 근절하며, 정보 경찰은 '안전'이라는 주제에 대한 정보 수집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대비단계와 관련 최근 경찰관 대상 설문 조사 결과 경찰관의 72%는 안전관리와 경찰이 업무연관성이 없다고 응답하는 등 재난안전에 대한 인식도 개선이 시급하므로 재난 안전 교육 훈련을 강화해야 한다. 위기상황에 대한 민간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민 관 경재난 안전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대응단계에서 신속한 초동 대응을 위해 재난 통신망을 일원화하고, 경찰기관 상황실에 실시간 영상정보망을 도입해야 하며, 넷째, 복구단계에서는 2차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복구지원팀을 운영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about 75% of the population of Korea criticizing the government's disaster policy and a failure to respond to large-scale emergency like the Sewol ferry sinking means that there is a deep distrust in the government. In order to prevent dreadful disasters such as the Sewol ferry sinking, it is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찰의 위기관리 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치안 혁신 전략을 제시하고자 2.에서 한국 사회가 다른 나라보다 특별하게 위험한 사회가 될 수밖에 없는 위험 요인, 재난 안전에 대하여 한국 국민이 느끼고 있는 인식, 인간의 존엄성을 위한 한국의 위기관리 체계 필요성, 세월호 사건에 대한 반성적 고찰과 함께 새롭게 출범하는 국민안전처의 향후 역할에 대하여 서술한다.
  • 벡 교수가 제시하는 방법론은 반성과 성찰이다. 사회가 실제로 진화하려면 국가위기 관리에 대한 반성과 개선 노력이 계속되어야 하므로, 우리 사회의 위기관리에 대한 반성과 경찰의 재난위기관리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관료주의의 부작용으로서의 부패 고리가 문제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민안전처는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세월호 참사 사고에 대한 대책으로 재난안전 컨트롤타워인 장관급 국민안전처가 총리 소속 정원 1만 명의 거대 조직으로 2014년 11월 출범하였다. 안전처는 차관급인 '중앙소방본부'와 '해양경비안전본부', 안전행정부의 안전관리 기능과 소방방재청의 방재 기능을 각각 이어받은 '안전정책실'과 '재난관리실', 항공·에너지·화학·가스·통신 등 분야별 특수재난에 대응하는 '특수재난실'로 구성된다.
울리힉 벡 교수는 현대사회를 무엇으로 정의하는가? 국가는 적의 침략, 각종 재난 등의 위기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존재하고, 위기가 발생하기 전에는 발생 가능성을 완화시키는 모든 조치를 취하여야 하고, 위기가 발생한 후에는 신속하고 즉각적인 대응조치를 취하여 발생한 위기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김흥수, 2014: 13). 독일의 사회학자 울리힉 벡(Ulich Beck) 교수는 현대사회를 위험사회(Risk Society)라고 정의한다. 풍요로워 질수록 위험(Risk)도 증가하는 사회다.
한국 사회는 어떤 위험이 가속화되고 있는가? 한국 사회는 ① 자연재해 증가 ② 복합재난의 등장 ③ 불확실성의 상승 ④ 국가적 위험의 일상화 등 위험사회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한국 사회의 위험요인은 ① 한국 전쟁 이후 압축 성장 중심의 정책 결정, ② 폐쇄적인 관료체제 등의 압축적 근대화로 인한 위험요인의 증가 ③ 사회가 다원화되고 소위 부의 불균형 현상에 따른 양극화로 인한 사회적 갈등요소의 증가 등의 다중적이고 복합적인 위험 요인에 의해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Hankook Research, Result of Investigation on the Public Awareness of Crisis Safety(2014. 6. 20-22). 

  2. Hong, W. S. (2014). "Legislative Review on the Sewol Ferry Disaster" Law Review, Vol. 56, pp. 327-348. 

  3. Institute for National Security Strategy (2009). Advisable National Crisis Management System, Institute for National Security Strategy Press. 

  4. Jeong, H. M. (2015).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at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system in Korea and the U.S." Korea Law Journal, Vol. 27, No. 3, pp. 71-92. 

  5. Kim, H. S. (2014). "Suggestion for national crisis management system of Korea" The Quarterly Journal of Defense Policy Studies, Vol. 105, pp. 129-164. 

  6. Kim, Y. H., & Kang, H. J. (2012). "Design of emergency management system for societal security network" The Journal of Korea Navigation Institute, Vol. 16, No. 5, pp. 879-884. 

  7. Kim, Y. M. (2010). Countries' crisis management system to establish safe society , Research Report of Police Science Institute. 

  8. Kim, Y. M. (2009). Organization of terms regarding anticipatory police crisis response, Research Report of Police Science Institute. 

  9. Korea National Police Agency.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2012). Crime Statistics. Seoul: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10. Korea National Police University (2015). Discourse on Police Crisis Management. Korea National Police University Press. 

  11. Korea National Police Agency (2014). Public Safety Master Plan. Seoul: Korea National Police Agency Press. 

  12. Korea National Police University.Korean Police Law Association (2009). Common Scholastic Seminar For The Advancement Of Police Crisis Management Ability. 

  13. Korea National Police Agency, Result of Investigation on the Awareness Regarding the Actual State of Police Safety Management(2014. 6. 11-17). 

  14. Lee, D. K., Min. Y. K. (2014). Effect that awareness of crisis safety has on the trust of the government after a government crisis, Winter Seminar,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tudies. 

  15. Lim, S. B. (2013). "A study on the co-support system on the crisis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e Korea Local Administration Review, Vol. 27, No. 1, pp. 3-24. 

  16. Lee, J. E. (2013), Recommendation of a conceptual framework for crisis management policy,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tudies, June 2013. 

  17. Lee, J. E.(2014). Sewol ferry disaster and advisable disaster management system, Seoul Associa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Forum, Vol. 2. 2014 

  18.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Press Release(2015. 1. 19). 

  19. Nho, J. C. (2014). Cause of social structure and limitations of disaster response system regarding Sewol ferry disaster, Maritime Korea, June Issue 2014. 

  20. Park, D. K. (2013),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Newsletter, 2013 Autumn Issue. 

  21. Park, N. K., & Lee, J. L. (2014). "A study on the building plan of disaster area network for establishment of crisis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0, No. 2, pp. 192-19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