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지 면에 따른 양측 상지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개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Upper Extremities Exercises Using Moving Surface in Sitting on the Function of Upper Extremities for the Patients with Strok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8, 2015년, pp.5132 - 5142  

진영미 (단국대학교 특수교육학과) ,  송브라이언병 (단국대학교 특수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지지 면에 따른 양측 상지 운동이 상지 기능의 개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기간은 2012년 7월 5일부터 8월 1일 까지 이다. 대상자는 뇌졸중 환자 20명을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움직이는 지지 면 군(10명), 고정된 지지 면 군(10명)으로 실시하였다. 움직이는 지지 면 군은 발란스 볼에 앉아 양측 상지 운동을, 고정된 지지 면 군은 고정된 의자에 앉아 양측 상지 운동을 4주간 주5회 30분 적용하였다. 실험 전과 후에는 상지 기능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상지 기능 검사(Manual Functional Test: MFT)와 상지 운동 기능 평가(Fugl-Meyer Motor Function Assessment: FMA)로 측정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움직이는 지지 면 군과 고정된 지지 면 군의 각 실험 전, 후 상지 기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둘째, 실험 전, 후 두 군 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상지 기능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움직이는 지지 면에서의 양측 상지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개선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effect of upper extremities exercises using two different supporting surface, mobile surface and fixed surface in sitting on the function of upper extremities for the patients with stroke. The study period was between July 5, 2012 and August 1 2012. The subjec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측 상지 움직임을 통해 몸통 회전, 기립 및 골반 외측 체중 이동에 도움이 되는 훈련과제를 공통적으로 적용하여 움직이는 지지 면에 앉아서 과제를 수행한 실험군과 고정된 지지 면에 앉아서 과제를 수행한 대조군의 치료 전, 후를 평가도구 MFT와 FMA를 사용하여, 두 군 간의 상지 기능의 변화와 상지운동 기능 회복의 변화를 비교 대조하여 그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했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중재가 발병 3개월 이내의 뇌졸중 환자 재활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3개월 이내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움직이는 지지 면에서 양측 상지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개선에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움직이는 지지 면에서 하는 양측 상지 운동이 고정된 지지면에서 하는 양측 상지 운동에 비해 상지 기능 개선에 효과적이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측 상지 움직임을 통해 몸통 회전, 기립 및 골반 외측 체중 이동에 도움이 되는 훈련과제를 공통적으로 적용하여 움직이는 지지 면에 앉아서 과제를 수행한 실험군과 고정된 지지 면에 앉아서 과제를 수행한 대조군의 치료 전, 후를 평가도구 MFT와 FMA를 사용하여, 두 군 간의 상지 기능의 변화와 상지운동 기능 회복의 변화를 비교 대조하여 그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했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중재가 발병 3개월 이내의 뇌졸중 환자 재활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뇌졸중은 발병 후 약 15%는 사망하고, 정상적으로 회복이 되는 비율은 전체 환자 중 10% 정도이다[3]. 뇌졸중 환자의 신체적 측면에서는 한 쪽 사지 근육의 약화나 마비, 공동 반응, 관절 간의 협응 문제 등, 비정상적인 근육의 긴장으로 인해 마비 측사지의 운동이 감소한다. 일상생활 활동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상지의 기능적 상실은 뇌졸중 환자의 80%이상 주된 요소로 상지에 장애가 남는다[4, 5].
  • 양측성 운동(bilateral movement)은 대칭적 움직임으로 인해 양쪽의 일치하는 근육들이 동시에 활성화 되어 양측 대뇌 반구에서 유사하게 신경계를 자극 시킨다는 가정을 기초로 한다. 지금까지 양측성 운동은 뇌졸중 환자의 재활 훈련에 적용한 대표적인 연구로 기능적 뻗기[16], 로봇 팔 상지 기구[17], 청각 신호를 포함한 양측성운동 등이 있다[18, 19, 5, 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요 5대 사망 원인 중 뇌졸중의 비율은 어떠한가? 특히, 신경학적 질환인 뇌졸중은 뇌혈관 장애로 인한 질환 및 사고를 모두 총괄하며, 오늘날 주요 5대 사망 원인 중에서 암 다음으로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있는 질환이며, 47.8%를 차지한다[2]. 뇌졸중은 발병 후 약 15%는 사망하고, 정상적으로 회복이 되는 비율은 전체 환자 중 10% 정도이다[3].
MFT는 주로 어떤 측정에 많이 사용되는가? MFT는 일본 동북 대학에서 개발한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및 동작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이다. 뇌졸중 환자의 조기 재활 중 상지 기능 및 동작 능력 측정에 많이 쓰이고 있다.
정상적인 상지의 움직임은 어떤 움직임이 있는가? 인간은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과제 수행과 기능적인 움직임을 위해 상지를 사용한다. 즉, 정상적인 상지의 움직임은 밥 먹기, 옷 입기, 목욕하기, 화장하기 등과 같은 섬세한 움직임과 어린 아이의 네발로 기기, 걷기, 움직이는 버스 안에서 균형 잡기 또는 위험한 상황에서 몸을 보호 하는 행위와 같은 대 단위 움직임이 있다. 하지만, 신경학적 문제 및 근 골격계 문제 등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움직임이 나타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S.Y., An, "Motor control: Theory and Dractical applications", Young Moon Publisher, 2006. 

  2. "The cause of death", 2010. http://www.nso.go.kr 

  3. Luke., C., Dodd., K., J., & Brock., K., J, "Out Comes of the bobath concept on upper limb recovery following stroke", Clinical Rehabilitation, vol 18(8), pp. 888-898, 2004. DOI: http://dx.doi.org/10.1191/0269215504cr7930a 

  4. Gowland C., Bruin de H., Basmajian V J., Plews N., Burcea lon, "Agonist and antagonist activity during voluntary upper limb movement in patients with stroke", Physther, vol 72, pp. 624-633, 1992. DOI: http://dx.doi.org/content/7219/624 

  5. McCombe Waller, S., & Whitall, J, "Fine motor control in Adults with and without chronic hemiparesis: Baseline comparison to nondisabled adults and effects of bilateral arm training", Arch Phys Med Rehabil, vol 85, pp. 1076-1083, 2004. DOI: http://dx.doi.org/10.1016/i.apmr.2003.10.020 

  6. Feys, H., M., De Weerdt, WJ., Seiz, BE., Cox Steck, GA., Spichiger, R, Wereeck, LE., Putaman, K, D., & Van Hydonck, G., A, "Effect of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e hemiplegic upper limb in the acute phase after stroke", Stroke, vol 29, pp. 785-792, 1998. DOI: http://dx.doi.org/10.1161/01.STR.29.4.785 

  7. J. B., Yang, "A study on the disease-related, psycho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elderly stroke survivors",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Sungkyunkwan University, 2009. 

  8. Sivenius J, Pyoala K, Heinonen OP, Salonen J, Riekkinen P, "The significance of rehabilitation of stroke-A controlled trial", Stroke, vol 16, pp. 928-931, 1985. DOI: http://dx.doi.org/10.1161/01.STR.16.6.928 

  9. Y. S., Jan, "The effect of dual task performance on the trunk contral ability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of patients with strok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Dong Shin University, 2012. 

  10. Van Delden AEl, Peper CE., Beek., Pj., Kwakkl G, "Unilateral Versus bilateral upper limb exercise therapy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J Rehabil Med, vol 44(2), pp. 106-17, 2012. DOI: http://dx.doi.org/10.2340/16501977-0928 

  11. Van der Burg, J. C., Van wegen, E. E., & Van Dieen, J. H, "Postural control of the trunk during unstable sitting in Pakinson's disease", Pakinsonism Relat Disord, vol 12(8), pp. 492-498, 2006. DOI: http://dx.doi.org/10.1016/j.gaitpost.2006.11.077 

  12. Edwards, S., "Neurological Physiotherapy: A Problem-solving approach",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1996. 

  13. Kwakkel, G., Wagenaar, R., C., Kollen, B., J., & Lankhorst, G., J., "Predicting disability in stroke-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ge Ageing vol 26(6), pp. 479-489, 1996. DOI: http://dx.doi.org/10.1093/ageing/25.6.479 

  14. Gregory J Lehman, Trish Gordon, et al, "Replacing a swiss ball for and exercise bench causes variable changes in trunk muscle activity during upper limb strength exercise", Dynamic Medicine, vol 4(6), pp. 1-7, 2005. DOI: http://dx.doi.org/10.1186/1476-5918-4-6 

  15. Akuthota V., & Nadler SF, "Core strengthening", Arch Phys Med Rehabil, vol 85(1), pp. 86-92, 2004. DOI: http://dx.doi.org/10.1053/j.apmr.2003.12.005 

  16. Summers JJ., Kagerer F.A., Garry M,I., Hiraga C.Y., Loftus Andrea, Cauraugh J.H., "Bilateral and unilateral movement training on upper limb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TMS study", Journal of the Neurological Sciences, vol 252, pp. 76-82, 2007. DOI: http://dx.doi.org/10.1016/j.jns.2006.10.011 

  17. Kahn Leonard E., Lum peter S., Rymer W. Zev., MD, Reinkensmeyer David J., "Robot-assisted movement training for the stroke impaired arm: Does it matter what the robot doe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Development, vol43(5), pp. 619-630, 2006. DOI: http://dx.doi.org/10.1682/JRRD.2005.03.0056 

  18. Whitall, J., McCombe Waller, S., Silver, K. H., & Macko, R. H., & Macko, R. F., "Repetitive bilateral arm training with rhythmic auditory cueing improves motor function in chronic hemiparetic stroke", Stroke, vol 31(10), pp. 2390-2395, 2000. DOI: http://dx.doi.org/10.1161/01.STR.31.10.2390 

  19. Luft, A. R., McCombe-Waller, S., Whitall, J., Forrester, L. W., Macko, R., Sorkin, J. D., et al, "Repetitive bilateral arm training and motor cortex activation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vol 292(15), pp. 1853-1861, 2004. DOI: http://dx.doi.org/10.1001./jama.292.15.1853 

  20. Aruin, A., S., Santos Marcio J, "Role of lateral muscles and body orientation in feedforward postural control", Exp Brain Res, vol 184(4), pp. 547-559, 2008. DOI: http://dx.doi.org/10.1007/s00221-007-1123-9 

  21. Hall, J., M., & Dean, C., M., Channon, E., F., "Sitting training early after stroke improves sitting ability and quality and carries over to standing up but to walking: a randomised trial", Aust J Physiother, vol 53(2), pp. 97-102, 2007. DOI: http://dx.doi.org/10.1016/S0004-9514(07)70042-9 

  22. S. J., Lee, "The effects of symmetrical bilateral upper-limb training on upper-limb function & Activity of daily living for chronic hemiplegic patients", Dept. of Special Education, Dan kook university, 2010. 

  23. J. Y., Lee, J. S., Park, J., et. "The Effects of exercising on unstable surfaces on the balance ability of stroke patient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vol 23(5), pp. 789-792, 2011. DOI: http://dx.doi.org/10.1589/jpts.23.789 

  24. Akshatha Nayak, S., Karthikbabu, K., Vijayakumar, ZK., Misri, BV., Suresh, Sailakshmi Ganeshmi Ganeshmi., et al, "Comparison of physio ball and plinth trunk exercises regimens on trunk control and functional balance in patients with acute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ical Rehabilitation, vol 25(8), pp. 709-719, 2011. DOI: http://dx.doi.org/10.1177/0269215510397393 

  25. J. H., Lee, "The effect of task-oriented movement therapy on upper motor function patterns and reorgazation of motor network for stroke patients", Dept.. of Rehabilitation Science Grauate School, Daegu University, 2002. 

  26. S. H., Jang, Y., H., Kim, S., H., Cho, J., H., Lee, J., W., Park, & Y., H., Kwon, "Cortical reorganization induced by task-oriented training in chronic hemiplegic stroke patients", Neuroreport, vol 14(1), pp. 137-141, 2003. DOI: http://dx.doi.org/10.1097/01.wnr.0000051544.96524.f2 

  27. Nakamura R., Moriyama S., "Rehabilitation manual 8: Manual Function Test(MFT) and functional occupational therapy for stroke patients",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Disabled, 2000. 

  28. Fugl-Meyer, A., R., Jaasko, L., & Leyman, I., "The post-stroke hemiplegic patient", Scandinavian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 7(1), pp. 13-31, 1975. 

  29. Grade stone, D., J., Danells., C., J., & Black., S., E, "The fugl-meyer assessment of motor recovery after stroke: a critical review of its measurement properties", Neurorehhabil Neural Repair, vol 16(3), pp. 232-240, 2002. DOI: http://dx.doi.org/10.1177/154596802401105171 

  30. S. Y., An, "The effect of core stability exercise on function of upper extremities and activities daily of living in patients with stroke", Dept. of Physic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Rehabilitation Health Science Yong in University, 2009. 

  31. S. H., Yu, "The effects of stability of the lower trunk strength exercise on muscle activity and the functions of the upper limbs in stroke patients", Dept. of Physic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Dongshin University, 2008. 

  32. J. H., Lee, "The effect of dual motor task training on sitting for trunk control ability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Dept. of physical therapy graduate school suhmyook university, 2011. 

  33. Kaminski, T., Bock, C., & Gentile, A., "The coordination between trunk and arm motion during pointing movements", Experimental Brain Research, vol 106(3), pp. 457-466, 1995. DOI: http://dx.doi.org/10.1007/BF002310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