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혼합용매를 이용한 진생베리 추출물 최적 공정 개발 및 추출물의 진세노사이드 분석
Process Optimization of Ginseng Berry Extract Using Mixed Solvent and its Ginsenoside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11, 2015년, pp.7794 - 7800  

하유진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유선균 (중부대학교 식품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진생베리에 포함이 되어 있는 진세노사이드들은 인체에 유용한 다양한 생리기능물질을 포함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진생베리는 진세노사이드 Re가 다량으로 함유된 것으로 알려 졌으나 추출공정은 비교적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진생베리로부터 복합 용매인 주정과 정제수를 이용하여 최적 공정 조건 확립을 수행하였다. 진생베리 추출물 제조를 위해서 건조 진생베리 분말 10 g를 부직포에 담아 250 mL 추출용 둥근 플라스크에 넣고 150 mL 용매를 넣어 내용물이 완전히 잠기게 한 후에 플라스크를 냉각 순환 수조에 연결을 하여 환류 추출하였다. 추출 과정은 주정과 정제수의 혼합비율, 복합용매의 추출 온도, 추출 시간 및 추출 회수에 따라 수행하였다. 추출 후 진세노사이드 Re, Rg1, Rd 및 조 진세노사이드의 함량 및 수율을 비교하였다. 최적 추출조건으로 주정 및 정제수 의 비율은 70% 대 30%, 추출온도는 $80^{\circ}C$, 추출 시간은 4시간, 추출 횟수는 2회로 결정되었다. 최적 추출 공정 조건에서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건조 진생베리 g 당 약 88.6 mg이었다. 주요 진세노사이드의 분포는 Rb1이 5.3%, Rc가 5.2%, Rd가 14.3%, Re가 51.5%, Rf가 8.1%, Rg1이 15.7%이었다. 전체 추출 진세노사이드 중에 protopanaxatriol 계통의 진세노사이드가 약 80%를 차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insenosides in ginseng berry has been known as functional materials showing physiological effect to the human. Specially, ginseng berry contains plenty of ginsenoside Re, but the study of extraction processes were not enough performed.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op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진생베리로부터 물이나 주정을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의 사포닌 조성에 관한 연구[9,11]는 있지만, 진생베리로부터 진세노사이드의 최적 추출 공정 수립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진생베리 추출조건에 따른 주요 진세노사이드인 Re, Rg1, Rd 및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분석하여 최적 추출 조건을 확립하고자 연구를 수행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연물로부터 생리 활성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천연물로부터 생리 활성 물질의 추출방법에는 Soxhlet 추출, 환류 추출, 초음파 및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추출, 초임계 추출방법들이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5,17,18]. 우리나라에서는 인삼을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로 고시되었고, 진세노사이드는 대부분 물 또는 주정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여 사용한다[17,19-22].
진세노사이드의 효능은 무엇인가? A. Meyer)은 Araliaceae 과의 Panax 속으로서 주성분인 진세노사이드들은 항산화, 항암, 항염증, 항바이러스, 기억력 개선, 신경조절, 간 보호, 혈당저하, 지방흡수 조절작용, 성기능 개선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1-4]. 인삼의 진세노사이드들은 다양한 약리 효능과 관계가 깊은 것으로 알려졌고 부위별로 분포가 다른 것으로 알려 졌다[5-7].
본 실험의 결과롤 미루어보아, 최적의 진세노사이드 추출 조건은 어떻게 되는가? 추출횟수에서는 1회 추출에서 전체의 진세노사이드의 약 78%를 수득하였고 2회 추출까지 포함하면 전체의 진세노사이드의 약 95% 이상 수득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최적추출 조건은 주정과 정제수의 비율은 70%, 추출온도는 80o C, 추출 시간은 4시간, 추출 횟수는 2회로 결정되었다. 최적 공정 조건에서 추출된 진세노사이드양은 건조 진생베리 g 당 약 8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D. Kiefer, T. pantuso, "Panax ginseng", Am. Fam. physician, Vol. 68, pp. 1539-1542, 2003. 

  2. C. Buettner, G. Y. Yeh, R. S. Phillips, M. A. Mittleman, T. J. Kaptchuk, "System aticreview of the effects of ginseng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n. Pharmacother, Vol. 40, pp. 83-95, 2006. DOI: http://dx.doi.org/10.1345/aph.1G216 

  3. S. Helms, "Cancer prevention and therapeutics: Panax ginseng", Altern. Med. ReV., Vol. 9, pp. 259-274, 2004. 

  4. A. S. Attele, J. A. Wu, C. S. Yuan, "Multiple pharmacological effects of ginseng", Biochem. Pharmacol, Vol. 58, pp. 1685-1693, 1999. DOI: http://dx.doi.org/10.1016/S0006-2952(99)00212-9 

  5. T. Ligor, A. Ludwiczuk, T. Wolski, "Isolation and determination of ginsenosides in American ginseng leaves and root extract by LC-MS", Anal Bioanal Chem., Vol. 383, pp. 1098-1105, 2005. DOI: http://dx.doi.org/10.1007/s00216-005-0120-8 

  6. L. W. Qi, C. Z. Wang, C. S. Yuan, "Ginsenosides from American ginseng: chemical and pharmacological diversity", Phytochemistry, Vol. 72(8), pp. 689-99, 2011. DOI: http://dx.doi.org/10.1016/j.phytochem.2011.02.012 

  7. T. S. C. Li, G. Mazza, A. C. Cottrell, "Ginsenosides in roots and leaves of American ginseng", J. Agric. Food. Chem., Vol. 44, pp. 717-720, 1996. DOI: http://dx.doi.org/10.1021/jf950309f 

  8. C. Z. Wang, J. A. Wu, A. McEntee, C. A. Yuan, "Saponins composition in American ginseng leaf and berry assay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Agric. Food. Chem., Vol. 54, pp. 2261-2266, 2006. DOI: http://dx.doi.org/10.1021/jf052993w 

  9. S. J. Kim, J. D. Kim, S. K. Ko, "Changes in ginsenoside composition of ginseng berry extracts after a microwave and vinegar process", J. Ginseng. Res., Vol. 37, pp. 269-272, 2013. DOI: http://dx.doi.org/10.5142/jgr.2013.37.269 

  10. J. T, Xie, S. Mehendale, C. S. Yuan, "Ginseng and Diabetes", The American Journal of Chinese Xie, T. Robin, C. H. Tong, C. H. Yuan, "Steamed American ginseng berry: ginsenoside analyses and anticancer activities", J. Agric. Food. Chem., Vol. 54, pp. 9936-9942, 2006. DOI: http://dx.doi.org/10.1021/jf062467k 

  11. K. M. Joo, J. H. Lee, H. Y. Jeon, C. W. Park., D. K. Hong, H. J. Jeong, S. J. Lee, S. Y. Lee, K. M. Lim, "Pharmacokinetic study of ginsenoside Re with pure ginsenoside Re and ginseng berry extracts in mouse using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ic method", Journal of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Analysis, Vol. 51, pp. 278-283, 2010. DOI: http://dx.doi.org/10.1016/j.jpba.2009.08.013 

  12. E. Y. Park, H. J. Kim, Y. K. Kim, S. U. Park, J. E.Choi, J. Y. Cha, H. S. Jun, "Increase in Insulin Secretion Induced by Panax ginseng Berry Extracts Contributes to the Amelioration of Hyperglycemia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Mice", J. Ginseng .Res., Vol. 36, pp. 153-160, 2012. DOI: http://dx.doi.org/10.5142/jgr.2012.36.2.153 

  13. J. T. Xie, C. Z. Wang, M. Ni, J. A. Wu, S. R. Mehendale, H. H. Aung, A. Foo, C. S. Yuan, "American ginseng berry juice intake reduces blood glucose and body weight in ob/ob mice", J. Food. Sci., Vol. 72, pp. 590-594, 2007. DOI: http://dx.doi.org/10.1111/j.1750-3841.2007.00481.x 

  14. S. Mehendale, H. H. Aung, A. Wang, J. T. Xie, C. Z. Wang, J. T. Xie, C. S. Yuan, "American ginseng berry extract and ginsenoside Re attenuate cisplatin-induced kaolin intake in rats", Cancer Chemother. Pharmacol, Vol. 56, pp. 63-69, 2005. DOI: http://dx.doi.org/10.1007/s00280-004-0956-1 

  15. Y. J. Lee, Y. R. Jin, W. C. Urn, S. M. Ji, J. Y. Cho, J. J. Ban, S. K. Lee, "Ginsenoside Rc and Re Stimulate c-Fos Expression in MCF-7 Human Breast Carcinoma Cells", Arch Pharm Res Vol. 26, pp, 53-57, 2003. 

  16. G. S. Kim, D. Y. Hyun, Y. O. Kim, S. W. Lee, Y. C. Kim, S. E. Lee, Y. D. Son, M. J. Lee, C. B. Park, H. K. Park, S. W. Cha, K. S. Song, "Extraction and Preprocessing Methods for Ginsenosides Analysis of Panax ginseng C. A. Mayer", Korean J. Medicinal Crop Sci., Vol. 16(6). pp. 446-454, 2008. 

  17. W. Y. Choi, C. G. Lee, C. H. Song, Y. C. Seo, J. S. Kim, B. H. Kim, H. W. Lim, H. Y. Lee, "Comparison of Low Molecular Ginsenoside Contents and $CO_2$ Emission from Low Quality Fresh Ginseng by Low $CO_2$ Emission Processes", Food Engineering Progress, Vol. 16, No. 4. pp. 325-332, 2012. 

  18. R. M. Corbit, J. F. Ferreira, S. D. Ebbs, L. L. Murphy, "Simplified extraction of ginsenosides from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s L.) for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ltraviolet analysis", J. Agric. Food. Chem., Vol. 53, pp. 9867-9873, 2005. DOI: http://dx.doi.org/10.1021/jf051504p 

  19. G. S. Lee, K. Y. Nam, J. E. Choi, "Ginsenoside Composi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d Ginseng Extracts prepared with Different Extracting Method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ol. 21 No. 4, pp. 276-281, 2013. DOI: http://dx.doi.org/10.7783/KJMCS.2013.21.4.276 

  20. H. D. Hong, Y. C. Kim, J. H. Rho, K. T. Kim, Y. C. Lee, "Change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anax ginseng C. A. Meyer during Repeated Steaming Process", J. Ginseng Res., Vol. 31, No. 4, pp. 222-229, 2007. DOI: http://dx.doi.org/10.5142/JGR.2007.31.4.222 

  21. S. J. Yang, K. S. Woo, J. S. Yoo, T. S. Kang, Y. H. Noh, J. S. Lee, H. S. Jeong, "Change of Korean Ginseng Components with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38. No. 4, pp. 521-525, 2006. 

  22. J. Corthout, T. Naessens, S. Apers, A. J. Vlietinck,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ginsenosides from Panax ginseng roots and ginseng preparations by thin layer chromatography-densitometry", Journal of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Analysis, Vol. 21, No. 1, pp. 187-192, 1999. DOI: http://dx.doi.org/10.1016/S0731-7085(99)00109-0 

  23. J. H. Lee, K. R. Kwon, B. C. Cha, "Component analysis of cultivated wild ginseng, and red wild ginseng using HPLC method", Journal of Pharmacopuncture, Vol. 11, No. 2, pp. 87-95, 2008. DOI: http://dx.doi.org/10.3831/KPI.2008.11.2.08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