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여성의 스마트폰을 통한 SNS 사용경험
The experiences of middle-aged woman using SNS through Smartphon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12, 2015년, pp.8616 - 8625  

김정선 (춘해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김혜경 (중원대학교 간호학과) ,  김덕진 (안동과학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스마트폰을 통한 SNS 사용경험 현상의 본질을 밝히고 경험하는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Colaizzi(1978)의 방법을 적용한 현상학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중년여성 10명(연령범위 42-52세)이었다. 본 연구결과 75개의 의미있는 진술, 22개의 주제와 5개의 주제모음을 확인하여 2개로 범주화 하였다. 5개의 주제모음은 '만남-소통의 공간', '정보 교류의 공간', '문화창조의 공간', '디지털 피로의 공간', '진정성 없는 소통' 이며 범주화된 2개의 주제군은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의 재구조화', '부정적인 사회적 관계의 재구조화' 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년여성의 SNS 사용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파악하고 중년여성의 사회적 관계 활성을 위한 중재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one to describe the experiences of middle-aged woman using SNS through smart phone.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1978)'s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middle-aged woman 10 participants(age 42~52). As result of research, 75 significant statements, 22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대인관계의 새로운 맥락으로 등장하게 된 스마트 폰을 통한 SNS의 이용경험의 의미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스마트폰을 통한 SNS 사용경험 현상의 본질을 밝히고 경험하는 의미를 이해하기위해 Colaizzi[15]의 방법을 적용한 귀납적이고 서술적인 현상학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스마트폰을 통한 SNS 사용경험의 의미를 규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의 재구조화’, ‘부정적인 사회적 관계의 재구조화’ 등의 2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 본 연구의 자료의 분석은 Colaizzi[15]의 분석 절차를 따랐다. 첫 단계로, 녹음한 모든 참여자의 면담내용을 듣고 필사하여 그것을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참여자들의 경험에 대해 공유하고자 하였다. 둘째 단계에서는 필사본에서 스마톤을 이용한 SNS 사용 경험과 관련된 문장을 파악해 반복되는 진술은 제외하고, 참여자의 의미있는 진술(significant statement)을 끌어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년기는 어떤 시기인가? 중년기의 연령 기준은 40-60세이며 인생의 목표를 성취하고 완성하는 시기이며, 노년기를 준비하는 중요한 단계이다[1]. 즉 중년기는 다양한 변화에 잘 적응해야 함과 동시에 자신의 인생을 되돌아보는 시기이다[2]. 오늘날의 중년여성은 예전과는 다른 새로운 문제와 기회에 직면하게 되는데 여성은 보다 복합적인 문제를 가지고 중년기에 접어들게 된다.
소셜 네트워크의 예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여성들은 사적 공간 이외의 사회적 교류를 위한 동기로 휴대성이 좋고 온ㆍ오프에 걸리는 시간이 짧은 작동법 때문에 스마트폰을 쉽게 이용하고 있으며[7], 이를 통해 소셜 네트워크를 사용 할 수 있는 공간이 확장되었다. 쌍방향으로 정보만을 제공하는 블로그, 다양한 방향으로 전 세계 사람들과 공유, 참여 할 수 있는 폐쇄형 SNS와 개방형 SNS가 대표적인 예이다[6]. 일반 휴대전화와는 달리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최근 확산되고 있는 스마트폰 조기 수용자에 대한 연구결과에서도 성별, 연령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고 있으며 여성들일수록 대인커뮤니케이션 매체로 휴대전화를 인식하고 있으며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재미나 긴장을 풀기 위해 더 긴 시간 휴대전화를 사용하며 이로 인한 중독 현상도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다[8].
우리나라 중년기 여성의 위기감이 다른 나라보다 심각하게 보고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중년기 여성의 위기감은 다른 나라보다 심각하게 보고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여성들은 남성위주의 사고방식에 따른 사회적 불이익을 경험하고 여성성을 극복하는데 정신적 고통과 분노감정을 경험하고 있기 때문이다[2]. 후반기 노년의 삶을 위한 새로운 변화의 시점[14]이지만 아직까지 중년여성의 SNS 사용에 따른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Y. M. Lee, G. M. Kim, Y. H. Jung, "Factors affecting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middle-aged women",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14, No. 10, pp. 570-582, 2014. 

  2. C. K. Kim, "A Qualitative study on depression experiences of middle aged depressed women",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11, No.4, pp. 1783-1806, 2010. DOI: http://dx.doi.org/10.15703/kjc.11.4.201012.1783 

  3. A. L. Lee, "The effects of middle-aged women's self-esteem and marital intimacy on mid-life crisis". Graduate School of Kyungsung University:Busan. Doctorate Thesis. 2013. 

  4. H. Y. Jeong, "Influencing factors on subjective happiness of middle-aged women". Graduate School of Seonam University:Jeonlado. Master Thesis. 2013. 

  5. D. Y. Nam, "The influence of the interaction on facebook on the perceived intimacy".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Seoul. Doctorate Thesis. 2013. 

  6. H. R. Ma., I. H. Cho, "Effects of SNS communication on the interpersonal communicaion", Journal of Korea Enterainment Industry Association, Vol.5, No.10, pp. 56-61, 2014. 

  7. N. H. Hong, "Smartphones' Use of women in their early motherhood", Korean Women's Communication Association, Vol.12, pp. 135-164, 2012. 

  8. H. S. Hwang., S. H. Sohn., Y. J. Jang, "Exploring the way of news reporting and covering on the education issue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Vol.25, No.2, pp. 277-313, 2011. 

  9. H. J. Ja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ddictive Using Cellular Phone". Graduate School of sungshin Women's University:Seoul. Master Thesis. 2002. 

  10. J. Liang, "The Critical Factors of Smartphone App Addiction".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Seoul. Master Thesis. 2015. 

  11. Korea Information Society Agency, "Development of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Youth and Adults", 2011. 

  12. D. L. Kim., Y. J. Chung., Y. H. Lee., M. C. Kang., H. J. Jeon,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Psychological Problem by Mixed Regression Analysi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1 No.4, pp. 1783-1806, 2010. 

  13. H. B. Lee., D. W. Kim., J. Y. Choi., M. H. Shin, "A Study on Teenagers' SNS Use Features and Addiction - Focus on Middle School Student of Gyenggi-do & Gangwon-do", GRI Review, Vol.16, No.1, pp. 365-391, 2014. 

  14. K. S. Kim., S. Y. Sung, "A Phenomenological Study on middle-aged women's change in the understanding life through bibliotherapy", The Korean Journal of women Psychology, Vol.17, No.3, pp. 475-516, 2012. 

  15. P. F. Colaizzi,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6, 1978. 

  16. Y. S. Lincoln., E. G. Guba, Effective evaluation(4thed.).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cation. 1985. 

  17. Y. J. Kim., J. Y. Kim., J. M. Ha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user citizenship behavior, aberrant user behavior, social connectedness, privacy concern, and user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3, No. 11, pp. 4994-5004,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2.13.11.4994 

  18. S. K. Oh, "Development of Intelligent Services and Analyzing User Behavior Information Using",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4, No.12, pp. 6441-6446, 2013.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3.14.12.6441 

  19. J. S. Kang, "Phenomenological Study on Telepresence and Experience of Smartphone User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Vol.26, No.6, pp.7-45, 2012. 

  20. H. E. Kang, "The Impact of User Interface and Emotional Experience on Brand Identity: Focused on Social Network Service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Vol.18, No.1, pp. 1-12, 2012. 

  21. S. H. Park., H. J. Cheon, "A study on middle-aged women playing mobile casual games", Journal of Leisure Studies. Vol.11, No.2, pp. 1-29, 2013. 

  22. Korea Information Security Agency, "Smartphone Addiction Research Diagnostic Scale", 2011. 

  23. G. H. Hwang., Y. Y. Suk., O. H. Cho, "Upper extremity pain, according to the degree of use of the college smartphone addiction, anxiety,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2, No.10, pp. 365-375, 2012.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2.12.10.365 

  24. E. Y. Kim., S. H. Kim, "Pattern Study on smartphone addiction group",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6, No.2, pp. 1207-1215,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2.1207 

  25. Y. M. Kim., Y. S. Lim, "Structural Model of Democratic Parenting Style, Ego-resilience, Cell phone Dependency, Self-directed Learning", Korea Youth Studies, Vol.5, pp.273-299, 2012. 

  26. H. S. Kim, "A Study on Use Motivation of SNS and Communication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3, No. 2, pp. 548-553, 2012.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2.13.2.5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