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과학용어에 대한 학생들의 단어 연상에 영향을 미치는 검사 환경 요인
Test Environment Factors Influencing Word Association about Science Terminology in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5 no.6, 2015년, pp.1031 - 1038  

윤은정 (경북대학교) ,  박윤배 (경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람의 머릿속에 어떤 단어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이들이 어떤 구조로 연결되어 있는지에 대해 심리학, 정신분석학, 언어학, 교육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과학 교육 분야에서는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학생들의 머릿속에 과학용어로 표현되는 개념들이 어떻게 자리 잡고 있는지가 관심 대상 가운데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용어들에 대한 학생들의 머릿속 의미 구조를 알아보기 위한 하나의 방법인 단어연상검사를 실시함에 있어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검사 환경 변인을 알아보았다. 학생들이 제시된 자극어를 과학적 상황으로 제한하도록 유도할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지는 변인을 4가지(자극어의 과학용어 여부 명시, 일상어와 섞어 제시, 검사자의 과학 교사 여부, 해당 개념의 학습 여부)로 정하고,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검사 결과 비교를 통해 이들 4가지 변인이 과학용어에 대한 단어연상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았다. 일상적 의미와 과학적 의미를 모두 포함하는 과학용어 9개를 정하고 중학교 학생 282명을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나누어 단어연상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검사지에 제시된 자극어들이 모두 과학용어임을 직접적으로 명시하는 경우에 학생들은 과학적 의미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나머지 변인에 대해서는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사이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list of words and the semantic structure that connects them have been important to the areas of psychology, psychoanalysis, linguistics, and education. Some researchers in constructivist perspectives of science education also have interests in the structure of science concepts expressed by sci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과 혼동을 피하기 위해 ‘머릿속 의미 구조’로 표현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검사 환경이 학생들의 단어 연상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므로 학생들이 다양하게 연상하는 과학용어를 고르기 위해 예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1차 검사 대상으로 선정된 과학용어를 이용하여 단어연상검사지를 만들었으며, 중학교 2학년 학생 140명을 대상으로 예비 검사를 실시하였다.
  • 과학 교육 분야에서는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학생들의 머릿속에 과학용어로 표현되는 개념들이 어떻게 자리 잡고 있는지가 관심 대상 가운데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용어들에 대한 학생들의 머릿속 의미 구조를 알아보기 위한 하나의 방법인 단어연상검사를 실시함에 있어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검사 환경 변인을 알아보았다. 학생들이 제시된 자극어를 과학적 상황으로 제한하도록 유도할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지는 변인을 4가지 (자극어의 과학용어 여부 명시, 일상어와 섞어 제시, 검사자의 과학교사 여부, 해당 개념의 학습 여부)로 정하고,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검사 결과 비교를 통해 이들 4가지 변인이 과학용어에 대한 단어연상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과학용어를 일상적 상황 또는 과학적 상황으로 인식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검사 환경 요인을 찾는 것이다. 따라서 학생들이 자극어를 보고 의미를 떠올림에 있어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과학적 상황임을 인지하는 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지는 변인들을 설정하였다.
  • 따라서 검사 과정에서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자극어에 대해 일상적 상황인지 과학적 상황인지에 대한 단서가 제공된다면 검사 결과는 물론 결론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육 분야에서 과학용어에 대한 학생들의 머릿속 의미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단어연상검사를 활용하는 데에 있어, 학생들이 자극어를 과학적 상황 또는 일상적 상황으로 인식하는 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검사 환경 변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과학용어를 이용한 단어연상검사를 실시함에 있어 검사의 목적과 방법에 맞게 변인을 통제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집단 1과 집단 2의 검사 결과를 비교하여 과학용어만 연속적으로 제시하는 것과 일상어를 섞어서 제시하는 것이 단어연상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두 집단 모두 자극어들이 과학용어라는 별도의 안내는 주지 않았으며, 집단 1은 과학용어 9개만 연속적으로 제시하여 9문항으로 이루어진 검사를 수행했으며, 집단 2는 과학용어와 일상어를 번갈아 제시하여 총 18문항으로 이루어진 검사를 수행하였다.
  • 학생들이 과학용어와 관련하여 어떤 개념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도구로서 단어연상검사를 실시할 때,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 요인을 살펴보았다. 학생들의 사고를 과학적 상황으로 유도할 수 있다고 여겨지는 검사 환경 변인 4가지를 정하고 각각의 변인에 대해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집단별 응답평균을 비교하여 각 변인이 학생들의 단어연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용어를 일상적 의미가 아닌 과학적 의미로 인식하는 정도에 초점을 맞추었으므로 반응어를 분석할 때 자극어를 일상적 의미로 인식했는지 과학적 의미로 인식했는지 만을 구분하였으며, 과학적 개념 구조나 개념의 옳고 그름 등은 고려하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어연상검사는 무엇인가? 언급한 바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의 머릿속 의미 구조에 관심을 갖고 있는 만큼 이를 들여다보기 위한 노력이 이어졌는데, 가장 오래도록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방법 가운데 하나가 단어연상검사이다. 단어연상검사는 머릿속의 어휘가 어떻게 저장되어 있고 어떻게 서로 연관되어 있는지를 간단하게 알아볼 수 있는 방법으로서, Galton(1879)에 의해 처음 실시된 이후 Jung(1972)에 의해 활성화되어 최근까지도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Jiang, 2000). 초기에는 정신분석학에서 출발하였으나 점차로 심리학 및 언어학, 교육학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어휘 교육에 있어 단어 연상 결과를 바탕으로 단어와 단어의 연결 관계를 통해 학습시키는 것이 머릿속 사전의 작용과 가장 부합하는 효과적인 어휘 교육 방안이라는 주장(Aitchison, 1996)에 따라 단어연상검사가 어휘 교육 분야에서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학생들이 과학용어를 보고 일상적 의미를 먼저 떠올리는지 혹은 과학적 의미를 먼저 떠올리는지는 무엇에 의존하는가? 학생들이 과학용어를 보고 일상적 의미를 먼저 떠올리는지 혹은 과학적 의미를 먼저 떠올리는지는 학생들의 머릿속 의미 구조에서 해당 과학용어의 표현형에 어떤 의미가 더 가깝고 강하게 연결되어 있는가에 의존한다. 머릿속 의미 구조에서 단어 사이의 거리가 가깝고 연결 강도가 높을수록 단어에 알맞은 의미가 빠르고 강하게 활성화되어 신속하고 효율적인 의미처리가 일어난다(Collins & Loftus, 1975).
단어를 처음 익힐 때 독립된 단어 하나만을 인식할 수는 없으며, 다른 사물이나 상황, 혹은 다른 단어들과 연결 지어서 인식하게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렇다고 하여 과목 학습에 있어 과목의 지식을 이루고 있는 단어를 아는 것이 과목 학습의 전부라고 이야기하기는 어려우나, 해당 과목에서 사용하는 단어나 용어들을 충분히 아는 것이 학습에 중요한 요인이 됨은 여러 연구 결과들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Chall, Jacobs, & Bldwin, 1990; Gardner, 2007; Rupley & Slough, 2010). 그런데 언어의 종류를 막론하고 하나의 단어는 다른 단어나 사물, 상황과의 연결을 통해 의미를 지니게 되며 하나의 단어 자체만으로는 어떤 의미도 나타내지 못한다(Wittgenstein, 1958). 그러므로 단어를 처음 익힐 때 독립된 단어 하나만을 인식할 수는 없으며, 다른 사물이나 상황, 혹은 다른 단어들과 연결 지어서 인식하게 된다(Sternber & Ben-Zeer,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itchison, J. (1996). Words in the mind: An introduction to the mental lexicon. Blackwell. 

  2. Bahar, M., Johnstone, A. H., & Sutcliffe, R. G. (1999). Investigation of students' cognitive structure in elementary genetics through word association tests.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33, 134-141. 

  3. Chall, J. S., Jacobs, V. A., & Baldwin, L. E. (1990). The reading crisis: Why poor children fall behind.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4. Channell, J. (1990). Vocabulary acquisition and the mental lexicon in meaning and lexicography. In J. Tomaszczyk, & B. Lewandowska-Tomaszczyk (Eds.), Meaning and lexicography. Amsterdam: John Benjamins. 

  5. Cramer, G. (1915). Rural directory of Knox. County, 48. 

  6. Collins, A. M., & Loftus, E. F. (1975). A spreading-activation theory of semantic processing. Psychological Review, 82(6), 407-428. 

  7. Galton, F. (1879). Psychometiric experiments. Brain, 2, 149-162. 

  8. Gardner, R. C. (2007). Motivation an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Porta Linguarum, 8, 9-20. 

  9. Geeslin, W. E., & Shavelson, R. J. (1975). An exploratory analysis of the representation of a mathematical structure in students' cognitive structur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12, 211-239. 

  10. Gussarsky, E., & Gorodetsky, M. (1988). On the chemical equilibrium concept: Constrained word associations and concep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5(5), 319-333. 

  11. Itza-Ortiz, S. F., Rebello, S. & Zollman, D. (2003). Students' models of Newton's second law in mechanics and electromagnetism. European Journal of Physics, 25, 81-89. 

  12. James, W. (1890). The principles of psychology. New York : Holt. 

  13. Jiang, W.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language. ELT Journal, 54(4), 328-334. 

  14. Johnson, P. E. (1969). On the communication of concepts in scie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60, 32-40. 

  15. Johnstone, A. H., & Moynihan, T. F. (1985).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s in word association tests and achievement in chemistry.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7(1), 57-66. 

  16. Jung, C. G. (1972). Experimental researches: Collected works 12. Princeton University Press. 

  17. Kempa, R. F., & Nicholls, C. E. (1983).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ognitive structure: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5(2), 171-184. 

  18. Langacker, R. W. (1997). Consciousness, construal and subjectivity. In M. I. Stamenow (Ed.), Language structure, discourse and the access to consciousness. Amsterdam: John Benjamins. 

  19. Lee, J. C. (1996). The way and the material to teach the associative meaning of words.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6(1), 137-155. 

  20. Lee, C. H. (2007). An effective English vocabulary teaching method through the responses by word association tests. Journal of Studies in Language, 23(2), 287-303. 

  21. Lee, D. H. (2007). A construction of semantic category system and its application to dictionary. Korean Semantics, 24, 51-82. 

  22. Lee, G. H. (2009). An experimental study for building a Korean associative thesaurus. Korean Studies, 45, 177-206. 

  23. Lee, Y. J. (2015). Science teachers' word association of science terminologies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unit 'Force and Motion' and their comparisons with students' association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4. Miller, G. A. (1986). Dictionaries in the mind. Language and Cognitive Processes, 1(3), 171-185. 

  25. Miller, G. A. (1998). The science of words. Scientific American Library. 

  26. Nation, K., Nation, K., & Snowling, M. J. (2004). Beyond phonological skills: Broader language skill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eading. Journal of Research in Reading, 27, 342-356. 

  27. Oh, D. S., Lee, S. H., Lee, I. S., & Kim, A. R. (1984). Analysis of science terminology by associ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0(2), 67-72. 

  28. Park, S. O. (2008). Research and analysis for word association meaning of Koreans and Chinese, and training methods applying the lexicon of Korean. Korean Semantics, 25, 71-98. 

  29. Preece, P. F. W. (1978). Exploration of semantic space: Review of research on the organization of scientific concepts in semantic memory. Science Education, 62(4), 547-562. 

  30. Putz, M. (1997). Language choices: Conditions, constraints, and consequences. Amsterdam: John Benjamins. 

  31. Rupley, H., & Slough, S. (2010). Building prior knowledge and vocabulary in science in the intermediate grades: Creating hooks for learning. Literacy Research and Instruction, 49(2), 99-112. 

  32. Shavelson, R. J. (1974). Methods for examining representations of a subject matter structure in a student's memo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1(3), 231-249. 

  33. Sternber, R. J., & Ben-Zeer, T. (2001). Complex cognition: The psychology of human thought. Oxford University Press. 

  34. Tsai, C. C., & Huang, C. M. (2002). Exploring students' cognitive structures in learning science: A review of relevant methods.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36(4), 163-169. 

  35. Wittgenstein, L. (1958).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Owford: Basil Blackwell. 

  36. Yun, E. J. & Park, Y. (2013a). Analysis of students' word association about the science terminologies used in the "Force and Motion" unit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3), 573-582. 

  37. Yun, E. J. & Park, Y, (2013b) Analysis of physics terminology used in science textbook 'Force and Motion' unit in 7th, 2007 & 2009 national curriculum - a method to select science terminology for teaching. Korealex, 22, 193-2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