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건조된 까마중(Solanum nigrum L.) 전초의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아글리콘 분획을 이용하여 항산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을 이용한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FSC_{50}$)은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아글리콘 분획에서 각각 $215.46{\mu}g/mL$, $42.43{\mu}g/mL$, $52.28{\mu}g/mL$이였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 계에서의 총항산화능($OSC_{50}$) 평가에서, 까마중 50% 에탄올 추출물은 $25.25{\mu}g/mL$,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7.05{\mu}g/mL$, 아글리콘 분획은 $6.25{\mu}g/mL$를 나타냈다. $^1O_2$로 유도된 적혈구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측정에서는 까마중 50% 에탄올 추출물 및 아글리콘 분획은 $5{\sim}25{\mu}g/mL$ 농도에서는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냈으나 높은 농도에서는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까마중 추출물 및 분획물들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지만, 세포 수준에서는 비교적 높은 농도에서 활성산소로 유도된 세포 손상을 촉진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화장품 등에 까마중 추출물을 응용할 때는 사용상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50% ethanol extract, ethylacetate fraction and aglycone fraction obtained from dried whole plant of Solanum nigrum L. were investigated.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SC_{50}$) were $215.46{\mu}g/mL$, $42.43{\mu}g/m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전자를 제공함으로써 라디칼을 소거하는 능력인 환원력을 통해서 시료의 자유라디칼 소거활성(free radical scavenging concentration, FSC50)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비교적 안정한 라디칼로 존재하는 DPPH를 이용하여 까마중 추출물 및 분획의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 그러나 열매를 제외한 까마중 전초 추출물의 각종 ROS(H2O2, O2⋅-, · OH 등)가 생성되는 계에서 이들 ROS에 대한 총항산화능 평가나 피부 광노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활성산소인 1O2으로 유도된 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 등 세포 수준에서 항산화나 항노화 활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까마중 전초 추출물 및 분획물들에 대하여 free radical 소거활성, Fe3+-EDTA/H2O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에 대한 총항산화능, 1O2으로 유도된 적혈구 세포 손상에 대한 세포보호효과를 측정함으로써 까마중 전초 추출물이 항산화 또는 항노화 화장품 소재로서 응용 가능한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 이들 항산화제는 열과 빛에 매우 불안정하여 화장품에는 ascorbic acid-2-glucoside나 tocopheryl acetate 등의 유도체 형태로 주로 사용되지만 항산화 활성 등은 많이 감소된다. 본 연구실에서는 광노화를 억제할 목적으로 피부 항산화방어망 구축에 적합한 항산화 소재들을 천연 식물 추출물로부터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들을 계속해오고 있다. 또한 활성소재의 안정화 및 효능 증대를 위한 피부흡수증진 시스템 개발 연구도 지속해오고 있다[12-14].
  • 특히 광증감반응의 주 생성물인 1O2는 반응성이 매우 강한 활성산소로써 피부 항산화제를 고갈시켜 항산화 방어망을 붕괴시키고, 세포막에서 라디칼 반응을 개시시켜 지질과산화반응을 유발하여 세포 손상을 촉진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세포막의 지질이중층과 유사한 적혈구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평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1O2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까마중 전초의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글리콘 분획의 1, 10, 25 및 50 μg/mL를 처리하고 광증감제인 rose- bengal로 1O2으로 유도된 적혈구 세포 파괴가 50%가 되는 시간(τ50, min)을 측정하여 세포보호효과를 평가하였다(Table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까마중은 무엇인가? 까마중(Solanum nigrum L.)은 가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초본으로 생약명으로는 용규라고도 한다. 열매에 해열작용을 하는 solanine과 solamargine이라는 알칼로이드가 주로 함유되어있고 잎과 줄기에는 사포닌류가 함유되어 있다[15-18].
자외선 노출 과잉으로 항산화 방어계가 무너지면 결과적으로 어떤 문제가 생기는가? 그러나 이들 방어계는 자외선량이 많으면 압도당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질, 단백질 및 DNA와 같은 세포 성분들은 활성산소종에 의한 손상을 받게되어 세포 기능이 변질되고 궁극적으로 피부노화가 일어난다. 이와 같이 자외선으로 유도된 피부노화를 광노화라고 한다[1-3].
ROS에는 어떤 것들이 포함되어 있는가? 이와 같이 자외선으로 유도된 피부노화를 광노화라고 한다[1-3]. 피부 노화의 주 원인으로 작용하는 ROS의 종류로는 superoxide anion radical(O2⋅-)과 hydroxyl radical(⋅OH)과 같은 라디칼종과 singlet oxygen(1O2) 및 hydrogen peroxide(H2O2)와 같은 비라디칼종, 그리고 이들 ROS와 생체 구성성분과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peroxyl radical(ROO⋅), alkoxyl radical(RO⋅) 등이 포함된다[4]. ROS는 자외선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대사과정에서도 생성되며, 질병상태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과잉으로 생성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M. Yaar and B. A. Gilchrest, Photoaging: Mechanism, Prevention and Therapy, Br. J. Dermatol., 157(5), 874 (2007). 

  2. L. Packer, Ultraviolet Radiation (UVA, UVB) and Skin Antioxidants, In: Free Radical Damage and Its Control, (C. A. Rice-Evans and R. H. Burdon,eds), Elsevier Science B. V., 239 (1994). 

  3. S. N. Park, Effects of Flavonoids and Other Phenolic Compounds on Reactive Oxygen-mediated Biochemical Reactions,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9). 

  4. H.-U. Simon, A. Haj-Yehia, and F. Levi-Schaffer, Role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Apoptosis Induction, Apoptosis., 5, 415 (2000). 

  5. S. N. Park, Antioxidative Properties of Baicalein, Component from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and its Application to Cosmetics (I), J. Korean Ind. Eng. Chem., 14(5), 657 (2003). 

  6. Y. J. Ahn, B. R. Won, M. K Kang, J. H. Kim, and S. N. Park, Antioxidant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Fermented Lavendula Angustifolia Extrac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5(2), 125 (2009). 

  7. L. C. Magdalena and Y. A. Tak, Reactive oxygen species, Cellular Redox System, and Apoptosis, Free Radic. Biol. Med., 48(6), 749 (2010). 

  8. R. S. Sohala and W. C. Orrb., The Redox Stress Hypothesis of Aging, Free Radic. Biol. Med., 52(3), 539 (2012). 

  9. S. N. Park, Protective Effect of Isoflavone, Genistein from Soybean on Singlet Oxygen induc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3), 510 (2003). 

  10. L. Packer, Ultraviolet Radiation (UVA, UVB) and Skin Antioxidants, Free radical damage and its control., 28, 239 (1994). 

  11. K. Scharffetter-Kochanek, Photoaging of the Connective Tissues of Skin: Its Prevention and Therapy, Adv. Pharmacol., 38, 639 (1997). 

  12. S. N. Park, D. H. Won, J. P. Hwang and S. B. Han,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Dehydroeffusol Isolated from Juncus effusus L. and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se Effects, J. Ind. Eng. Chem., 20(5), 3046 (2014). 

  13. J. E. Kim, H. J. Lee, M. S. Lim, M. A Park, and S. N. Park, Cellular Protective Effect and Liposome Formulation for Enhanced Transdermal Delivery of Prsicaria hydropiper L. extrac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8(1), 15 (2012). 

  14. S. Jeon, C. Y. Yoo, and S. N. Park, Improved Stability and Skin Permeability of Sodium Hyaluronate-chitosan Multilayered Liposomes by Layer-by-Layer Electrostatic Deposition for Quercetin Delivery, Colloids Surf. B Biointerfaces, 129, 7 (2015). 

  15. D. Xia, Z. Fangshi, Y. Yun, and L. Min, Purification, Antitumor Activity in vitro of Steroidal Glycoalkaloids from Black Nightshade (Solanum nigrum L.), Food chemistry, 141, 1181 (2013). 

  16. X. Zhao, X. He, G. Wang, H. Gao, G. Zhou, W. Ye, and X. Yao, Steroidal Saponins from Solanum nigrum, J. Nat. Prod., 69, 1158 (2006). 

  17. A. E. Elsadig, S. A. Alia, and G. R. James,, Changes in The Steroidal Alkaloid Solasodine during Development of Solanum nigrum and Solanum incanum, Phytochemistry, 46, 489. (1997). 

  18. T. Ikeda, H. Tsumagari, and T. Nohara, Steroidal Oligoglycosides from Solanum nigrum, Chem. Pharm. Bull. (Tokyo), 48, 1062 (2000). 

  19. M. Sikdar and U. Dutta, Traditional Phytotherapy among The Nath People of Assam, Ethno-Med., 2(1) 39 (2008). 

  20. R. Jain, A. Sharma, S. Gupta, J. P. Sarethy, and R. Gabrani, Solanum nigrum: Current Perspectives on Therapeutic Properties., Altern Med Rev., 16(1), 78 (2011). 

  21. D. Glossman-Mitnik, CHIH-DFT Determination of The Molecular Structure and Infrared and Ultraviolet Spectra of Gamma-solanine, Spectrochim. Acta. A Mol. Biomol. Spectrosc., 66, 208 (2007). 

  22. U. S. Akula and B. Odhav, In Vitro 5-Lipoxygenase Inhibition of Polyphenolic Antioxidants from Undomesticated Plants of South Africa, J. Med. Plants Res., 2(9), 207 (2008). 

  23. K.S. Heo and K.T. Lim, Antioxidative Effects of Glycoprotein Isolated from Solanum nigrum L., 7(3), 349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