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eacher by Child Care Center's Typ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1, 2015년, pp.25 - 35  

윤경미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전병주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초록

본 연구는 대전, 세종, 충 남북 지역의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375명을 조사대상자로 하여 그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어린이집은 가정, 민간, 공공형, 법인 등의 4개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수준은 4개의 모든 집단에서 보통수준보다 높았으며, 집단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각 집단별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과 민간어린이집 보육교사는 직무스트레스의 영유아관리, 조직건강의 원장 리더십 영역으로 나타났다. 공공형 어린이집 보육교사는 직무스트레스의 행정업무, 조직건강의 원장 리더십 영역으로 나타났으며, 법인형태 어린이집 보육교사는 직무스트레스의 동료 및 학부모와의 관계, 조직건강의 교사능력 영역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를 감소할 수 있는 집단별 맞춤형 방안을 처음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nalyzed the factors which have an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375 childcare teachers who work at child care center in the Chungnam, Chungbuk area as the subjects of research.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urnover intention in childcare t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어떠한가?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공립을 제외한 어린이집의 유형에 따라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안정적인 근무환경을 조성하여 이직을 감소하고 재직의도를 높이기 위한 집단별 맞춤형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미래 국가의 성장 동력인 영유아들의 안정적인 보육환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 본 연구는 대전, 세종, 충남·북 지역의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375명의 보육교사에 대하여 가정·민간·공공형·법인 등의 4개 어린이집 유형으로 나누어 각 집단별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 지금까지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각 집단별로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고, 이에 따라 각 유형별 맞춤형 방안을 처음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몇 가지 연구결과 및 제언을 토대로 효과적인 정책이 마련되어 보육교사들의 이직이 감소하고, 전국의 영유아들이 보다 안정적인 보육환경에서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첫째,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는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일 평균 근무시간은 어떻게 되는가? 일 평균시간도 어린이집 유형 에 따라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 법인형태에 서는 일 평균 10시간 2분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민간 어린이집 9시간 40분, 가정 어린이집 9시간 13분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OECD가 발표한 근로자의 노동시간 조사 결과에서의 한국 근로자의 일일 평균 근무 시간(8시간 40분)과 비교해도 1시간 정도 더 길다고 할 수 있다.
2013년 기준으로 어린이집 유형별로 근무하는 보육교사 현황은 어떠한가? 2013년 기준으로 어린이집 유형별로 근무하는 보육교사 현황[3]을 보면 전국에는 21만2천명의 보육교사가 근무하고 있으며, 이중에서 19만3천명(약 91%)이 법인·민간·가정 등의 어린이집에 소속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평균 급여는 수당을 제외하고 162만8천원으로 나타났지만, 법인형태에서 는 160만4천원, 민간어린이집 121만7천원, 가정어린이집 115만5천원으로 나타났다.
2013년 발표된 영유아 보육·양육 지원 현황을 통해 어떤 것을 알 수 있는가? 2013년에 발표된 보건복지부의 ‘영유아 보육·양육 지원 현황’에 의하면, 전체 만 0∼5세 영유아 295만8천명 가운데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는 46%인 136만4천명으로 나타났고, OECD 회원국 중에서 영유아 보육시설 이용률이 영유아 자녀를 둔 여성의 취업률보다 높은 국가는 한국이 유일하다. 이와 같이 과거에 비하여 가족보다 어린이집에서의 보육비중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교사와 관련한 변인에 대한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고 할 수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O. K. Hyun & H. J. Lee, Perceived job difficulties and job attitudes of teachers by the types of child c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Vol. 8, No. 4, pp. 705-731, 2004. 

  2. D. L. Cassidy, J. K. Lower, V. L. Kintner-Duffy & J. Shim, The day-to-day reality of teacher turnover in preschool classrooms. Journal of Research on Childhood Education, Vol. 25, No. 1, pp. 1-23, 2011.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 Investigation on the Child Care Service. 2013. 

  4. Gyeonggido Family & Women Research Institute, A study on a development plans for the Korean childcare systems. 2013. 

  5. J. Y. Suh & Y. S. Suh, Influential Factors on Turnover Intention of Korean Kindergarten Teacher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22, No. 4, pp. 229-250, 2002. 

  6. Smith, Anne B. Is Quality a Subjective or Objective Matter? Paper presented at the National Seminar. Assessing and Improving Quality in early Childhood Centers, Vol. 399, No. 1, pp. 15-16, 1996. 

  7. N. H. Kim, A Study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Working Conditions in Different Types of Early Childhood Program.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Vol. 13, No. 2, pp. 347-364, 2009. 

  8. H. J. Seong & H. S. Kwon,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Job-Related Tensio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s between Public and Private Social Workers. Journal of Institute for Social Sciences, Vol. 24, No. 3, pp. 361-383, 2013. 

  9. B. J. Jeon, An Empirical Study on the Level and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in Social Welfare Official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4, No. 4, pp. 168-179, 2014. 

  10. B. J. Jeon & K. M. Yun, A Comparative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 and Moderator Effect of Organizational Health.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4, No.10, pp.34-44, 2014. 

  11. T. L. Stanley, Burnout: A manager's worst nightmare. Supervision, Vol. 65, pp. 11-13, 2004. 

  12. H. Kim & M. Stoner,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social worker.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Vol. 32, Vol. 3, pp. 5-25, 2008. 

  13. J. G. Youn, The Development of the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Description Questionnaire.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22, No. 2, pp. 469-483, 2004. 

  14. W. K. Hoy and A. E. Woolfolk,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organizational health of school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Vol. 93, No. 4, pp. 355-372, 1993. 

  15. K. J. Meier & A. Hicklin, Employee turnover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Vol. 18, No. 4, pp. 573-590, 2008. 

  16. K. G. Park,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Local Governments. Journal of Local Government, Vol. 22, pp. 171-202, 2008. 

  17. T. Cox & L. Howarth, Organizational health, culture and helping. Work Stress, Vol. 4, No. 2, pp. 107-110, 1990. 

  18. Y. M. Han & Y. H. Kim, Contributors of Child Caregiv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Vol. 62, pp. 79-96, 2010. 

  19. E. M. Goo & S. H. Park, The Influence of Teachers' Health and Organizational Health on Child Care Teachers' Turnover Intention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Vol. 17, No. 4, pp. 34-53, 2013. 

  20. J. J. Kim & H. S. Park, An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he Social Support Environment for Child Care Teachers upon Their Organizational Dedication and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Journal of Research on Childhood Education, Vol. 14, No. 4, pp. 145-164, 2010. 

  21. A. Stremmel & D. Powel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emotional exhaustion among child care center staff.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Vol. 8, pp. 221-233, 1993. 

  22. M. Whitebook, C. Howes, D. Phillips & C. Pemberton, Who cares? Child care teachers and quality of care in America. Young Children, Vol. 45, pp. 41-45, 1989. 

  23. S, Cohen & T. A. Will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Vol. 98, No. 2, pp. 310-357, 1985. 

  24. R. D'Arienzo, Stress in Teaching: A Comparison of perceived occupational stress factors between special education and regular classroom teach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usburn University. 1981. 

  25. S. Y. Cho & H. A. Koo, A Job Stress and Self-Efficacy of Child Care Teachers. Journal of Korean Child Studies, Vol. 26, pp. 55-70, 2005. 

  26. S. B. Yang, Determinants of Local Government Employee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Vol. 21, pp. 187-251, 2009. 

  27. E. M. Goo, A Study on Health Perceptions,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2, No. 4, pp. 97-113, 2007. 

  28. I. O. Kim & G. C. Jeong, Study on the Influence of Health Status on Turnover Intention of Child Care Teacher.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Vol. 68, pp. 147-169, 2011. 

  29. E. M. Goo & S. H. Park, The Influence of Teachers' Health and Organizational Health on Child Care Teachers' Turnover Intention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Vol. 17, No. 4, pp. 34-53, 2013. 

  30. S. K. Lee, D. G. Choi, D. Y. Kim, E. G. Kang & S. M. Lee, A Study on the Influence of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to Job Satisfac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7, pp. 113-121, 2014. 

  31. S. Y. Jeon & H. S. Choi, The Relations among Directors' Leadership, Child-care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urnover Intentions.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Children's Media, Vol. 12, No. 1, pp. 203-220, 2013. 

  32. S. G. Kim, A Study on EAP Introduction & Activ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10, pp. 331-340,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